||<-2> '''{{{#fff {{{+1 미국흰불나방}}}(흰불나방)[br]Fall webwor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yphantria cune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Hyphantria cunea'' '''[br]Drury, 1773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나비목(Lepid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태극나방과(Ereb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Hyphantri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미국흰불나방(''H. cunea'')''' || [[나비]]목 태극나방과 [[곤충]]으로 줄여서 흰불나방이라고도 한다. [[이름]]처럼 몸과 날개가 대체로 [[흰색]]인데, [[날개]]에 검은 점이 있는 것은 1화기 성충만이며 2화기 성충은 날개에 점이 없다.날개 길이는 [[암컷]]이 약 16mm, [[수컷]]이 약 14~15mm이다. 새하얘서 나방치고 예쁘다는 반응도 많다. 무더기로 [[알]]을 낳으며, 알도 흰 털로 덮여 있다. [[애벌레]]는 몸빛깔이 자주 변하지만,검고 광택있는 머리와 수많은 털을 특징으로 가지며, 송충이로 잘못 불리는 경우가 많디 [[미국]]과 [[캐나다]]가 원산지인데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여러 나라에 퍼졌다. 현재는 [[대한민국]], [[일본]], [[유럽]], [[캐나다]], [[러시아]], [[멕시코]], [[미국]] 등지에 서식한다. 한국에서는 1958년 서울의 용산 외국인 주택에서 처음 발견된 후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20년에는 [[매미나방]], 붉은매미나방 등과 함께 대량발생해 시민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심각한 문제는 해충을 잡아먹는 '''닭은 물론이오 포식자의 제왕인 거미나 사마귀도 어지간하면 이들을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 그러나 천적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것은 아니며, 일부 거미류나 양서류, 딱정벌레류, 개미들은 잘만 잡아먹는다. 기생파리같은 기생생물의 숙주가 되는 경우도 많은 편.] 초기 애벌레 때는 각종 과일나무에 서식하면서 실을 토하여 잎을 싸고 떼 지어 살다가 후기에는 실을 토하지 않고 분산하는데 잎맥만 남기고 잎을 모조리 먹어 치운다. 나무가 모두 앙상해지면 땅으로 내려와 다른 나무로 이동하여 피해를 주는데 기어다니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서 피해가 금방 확산된다. 따라서 [[해충]]으로 분류한다. 월동할 때는 나무껍질 사이, 판자틈 등에서 [[번데기]]로 지낸다. 그러므로 나무둥치에 잠복소를 설치하여 제거하는 것도 좋은 방제법이다. [[가로수]]나 주요 산림지대에서는 나무둥치를 [[짚]]이나 가마니로 싸 놓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보온을 위한 것도 있지만 흰불나방 등 해충 방제용 잠복소인 경우도 많다. [[분류:태극나방과]][[분류: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