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호주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 || [[호주|{{{#ffffff '''호주'''}}}]][br]''{{{#fff Australia}}}''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과 [[호주]]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호주는 [[영국-호주 관계|영국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미국과의 관계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양국은 [[파이브 아이즈]]에 속하기 때문에 호주는 미국과 협력관계중이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미국과 호주는 20세기에 수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과 [[ANZAC|호주-뉴질랜드 연합군]]이 태평양 전선에서 [[일본제국군]]에 맞서 [[태평양 전쟁|전쟁]]을 치루었다. 미군은 [[과달카날 전투]] 이래 호주에 주둔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양국은 [[냉전]] 시절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멤버로서 협력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호주는 미국과 함께 [[남베트남]]군을 지원하기 위해 호주군을 파병하였던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호주군]] 문서 참조.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이 [[뉴질랜드]]의 반발로 해체된 이후, 1987년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호주를 주요 비[[나토]] 동맹국으로 지정하였다.[* 호주는 [[태평양]] 한가운데 위치한 국가라서 [[북대서양 조약기구|북'''대서양''' 조약기구]]에 가입하기 애매한 입장이다.] === 21세기 === '''21세기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신냉전]] 시대에 접어들면서 미국과 호주의 동맹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있다.''' 호주에는 [[미군]]이 주둔 중이다. 호주는 [[영연방]] 국가이면서 미국과의 협력이 많은 편이고 신냉전에서 아시아 태평양 방향에서 [[서방]] 진영을 대표하고 있다. 물론 호주가 이례적으로 미국을 비판하기도 한 적도 있었는데 2003년 [[이라크 전쟁]] 관련한 비판이었다.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106010002147|#]] 하지만 2003년 이라크 전쟁이 워낙 명분이 없던 전쟁이다보니 당시 미국을 비판한 서방 국가는 호주 뿐만이 아니었고,[* 당시 캐나다조차 이라크 전쟁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았으며, 미국을 가장 강도높게 비판하던 국가가 반서방 진영 국가가 아니라 서방 진영 국가였던 프랑스였다.] 이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호주가 미군 측에 협조하였기 때문에 미국-호주 동맹 관계 자체가 흔들리지는 않았다. 중국이 [[일대일로]]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방향으로 영향력 확대를 시도하자 미국은 호주, 인도, 영국과 함께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513074|#]] 미국과 호주는 이미 [[인도-태평양]]에 참여중이다. 2019년에 미국과 호주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희토류 안정 공급 협력을 하고 계획을 발표했다.[[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920_0000775316&cID=10101&pID=10100|#]] ==== 2020년대 ==== 2020년 5월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9월로 연기된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정상회의에서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를 초청하고 싶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644917|#]] 이에 호주측은 환영의 뜻을 밝혔고 참여하겠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4668148|#]] 6월 2일, 호주는 미국의 G7 정상회의 초청을 수락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4672422|#]] [[코로나19]]로 인해 호주의 항공사 버진 오스트레일리아가 미국의 사모펀드에 인수될 예정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1706273|#]] 스콧 모리슨 총리는 미국 안보 포럼에서 틱톡을 금지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794400|#]] '''2020년부로 미국과 인도, 호주와 일본 이렇게 4개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안보회담 이른바 [[Quad|쿼드]]를 개최했다.''' 2021년 2월 1일, 미국 정부는 호주 회사에 3,000만 달러를 투자해 희토류 공장을 세웠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160819?sid=104|#]] 미국과 호주, 영국이 [[AUKUS]]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2022년 12월 6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은 호주 북부에 주둔한 미군을 증원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80041?sid=104|#]] 그리고 미국과 호주는 대만의 국제기구 진출을 지원한다는 뜻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28668?sid=104|#]] == 문화 교류 == 호주와 미국이 [[영어권]] 국가들이기 때문에 문화교류도 많은 편이다. [[호주인]]들중에도 [[미국]]으로 이주한 경우도 있고 [[미국인]]들의 호주 여행도 많은 편이다. 또한, [[미국 영화]]도 호주에서 인기가 많은 편이다. 할리우드에는 호주 출신의 배우들이 많이 활약하고 있다. [[니콜 키드먼]], [[휴 잭맨]] 등이 [[호주]] 출신의 배우 중 대표적 예이다. 호주 출신 록밴드 [[AC/DC(밴드)]]가 미국에서도 유명했으며, 영화 아이언맨의 배경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호주 영화계와 미국 영화계 사이의 교류가 활발한데 대표적인 사례로는 영화 [[매드 맥스]]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호주 영화]] 문서 참조. == 경제 교류 == 호주 입장에서 미국은 중국 다음으로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다. 호주로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는 중국(29%), 두 번째가 미국(11%)으로 나왔다.[[https://tradingeconomics.com/australia/imports-by-country|#]] 호주가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 역시 중국(43%)이었고 미국은 다섯번째(4.1%)였다. [[https://tradingeconomics.com/australia/exports-by-country|#]]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엄청난 무역 적자를 보는 반면, 호주와의 무역에서는 흑자를 보고 있고, 호주는 미국과의 무역에서는 적자를 보고 있지만 중국과의 무역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흑자를 내고 있는 삼각 관계라고 볼 수 있다. 미국은 [[미국 달러]], 호주는 [[호주 달러]]를 사용한다. [[호주 달러]]는 [[미국 달러]] 수준으로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대신 [[오세아니아]]에서 널리 통용이 되고 신뢰를 받고 있다. 미국과 호주는 경제적으로도 긴밀한 관계를 맺다보니 인적자원 교류도 많은 편이다. 2019년 기준 호주를 방문한 외국인 중 미국인은 764,000명으로 중국과 뉴질랜드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 교통 교류 == 양국을 이어주는 항공노선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호주는 항공노선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양국을 왕래하는 관광객들도 많은 편이며 미국인들의 호주 관광도 많은 편이다.[* [[호주빠]] 문서 참조] 양국은 무비자협정을 체결했다. 미국인들과 호주인들은 상대국을 자유롭게 왕래가 가능하고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하다. == 대사관 == [[캔버라]]에 주 호주 미국 대사관, [[워싱턴 D.C.]]에 주 미국 호주 대사관이 존재한다. 캐럴라인 케네디가 호주 대사로 임명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11&aid=0003997723|#]]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호주/외교]] * [[AUKUS]] *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 [[파이브 아이즈]] * [[인도-태평양]] / [[Quad]] / [[IPEF]] * [[미국/역사]] * [[호주/역사]] * [[미국/경제]] * [[호주/경제]] * [[미국/문화]] * [[호주/문화]] * [[미국인]] / [[호주인]] / [[호주계 미국인]] * [[영어]] / [[미국식 영어]] / [[호주식 영어]] * [[미국 요리]] / [[호주 요리]]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호주/외교, version=97, paragraph=5.2)] [[분류:미국-호주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