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금시 시기.svg|width=100%]]}}} || || {{{#fff '''미금시(1989~1995)의 시기'''}}} || ||<-4> '''[[경기도|{{{#000000,#dddddd 경기도}}}]]의 [[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000000,#dddddd 폐지된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미금시 CI.svg|width=90]]||{{{#000,#fff '''{{{+1 미금시}}}'''[br]渼金市[br]{{{-1 Migŭm City[* 폐지 당시 표기법 기준]}}}}}} ||}}} || ||<-4> [include(틀:지도, 장소=남양주시 금곡동, 너비=100%, 높이=100%)] || ||<-2> '''시청 소재지''' ||<-2> [[금곡동(남양주)|금곡동]] || ||<-2> '''지역''' ||<-2> [[경기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0[[동(행정구역)|동]] || ||<-2> '''면적''' ||<-2> 46.01㎢ || ||<-2> '''인구''' ||<-2> 74,232명(1994년 12월 기준) || ||<-2> '''현재 인구''' ||<-2> 252,010명(2023년 2월 기준 해당지역 인구) || ||<-2> '''인구밀도''' ||<-2> 1,613.39명/㎢(1994년 기준) || ||<-2> '''지역전화''' ||<-2> 0346(현재 031) || ||<-2> '''존속기간''' ||<-2> '''1989년 1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금시.jpg|width=100%]]}}} || || '''행정 구역도''' || ||<#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금시2.jpg|width=100%]]}}} || || '''시가지 전경''' || [목차][clearfix] == 개요 == [[1989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6년간 존속한 [[경기도]]의 행정구역. [[1994년]] 5월 [[남양주군]]과의 통합을 결정하고 [[1995년]] [[1월 1일]]부로 [[도농복합시]]인 [[남양주시]]로 통합되었다. 이후로도 남양주시의 행정 중심지이다. 시청사는 현재의 [[남양주시청]] 제1청사 건물이다. == 역사 == * [[1979년]] [[5월 1일]] : [[양주군]] 미금면이 미금읍으로 승격하였다. * [[1980년]] [[4월 1일]] : [[남양주군]]이 양주군에서 분리되며 남양주군 미금읍이 되었다. * [[1989년]] [[1월 1일]] : 미금읍이 미금시로 승격하여 남양주군과 분리되었다. * [[1994년]] * [[1월 5일]] : [[https://www.nyj.go.kr/photo/1786?action-value=NWU2NTk0ZTU4YjlkOGEzNTFkNGFmZjcyMTI2YTgyMTU%3D&search_field=TiCoEd&action=read&search_word=%EB%AF%B8%EA%B8%88|미금시청사]](현 남양주시 1청사)가 완공되어, 기존 임시 시청사(시 승격 전 미금읍사무소를 개조하여 임시청사로 사용)에서 이전했다. * [[5월 3일]] : 주민들을 대상으로 미금시와 [[남양주군]] [[진건읍]]·[[화도읍|화도면]]·[[와부읍|와부면]]·조안면·수동면, [[구리시]]와 [[남양주군]] [[진접읍]]·[[별내면]]·[[퇴계원읍|퇴계원면]] 식인 시군통합 찬반 의견조사를 실시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881986|#]] 의견조사 결과 미금시와 남양주군 통합 찬성 의견이 높게 나왔다. 반면에 구리시와 통합에 대해 조사했던 지역은 반대가 높게 나왔다.[* 당시 의견조사는 주민투표 성격도 갖고 있었는데 주민투표 치고는 방식이 특이했다. 세대별 투표방식이었는데 반장, 이장, 통장 등 주민대표가 각 가정을 방문하면서 연명부에 세대주 도장을 찍어 찬반을 선택하게 했다. [[https://www.nyj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354|#]]] * [[5월 12일]] : [[구리시]] 편입에 반대한 [[남양주군]] [[진접읍]], [[별내면]], [[퇴계원읍|퇴계원면]]에서 재조사를 실시해 미금시와 통합함을 확정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1994/05/13/1994051373007.html|#]] * [[1995년]] [[1월 1일]] : 미금시와 남양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도농복합]] [[남양주시]]가 설치되었다. == 관련 외부 자료 == * [[https://www.youtube.com/watch?v=_YtYXR7E6ac|89년의 미금시 풍경(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atch?v=eEhmcZ5tggw|미금시 승격 기념식(유튜브)]][* 시로 승격되어도 [[시청(행정)|시청]]이 하루아침에 뚝 떨어지는게 아니므로 승격 직후에는 미금읍사무소를 임시 청사로 썼다. [[1994년]]에 시청을 완공하였다.] * [[https://www.youtube.com/watch?v=w9xw5cwEdAs|1994년의 미금시청 풍경(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atch?v=OHQN-5zvjlA|1994년 구리-미금-남양주 통합 주민투표 관련 풍경(유튜브)]] * [[https://memory.library.kr/konan-search?originalKeyword=%EB%AF%B8%EA%B8%88%EC%8B%9C+%ED%86%B5%EA%B3%84%EC%97%B0%EB%B3%B4&queryOption=&query=%EB%AF%B8%EA%B8%88%EC%8B%9C+%ED%86%B5%EA%B3%84%EC%97%B0%EB%B3%B4|90~94년 미금시 통계연보]][* 1989년에 승격되었으므로 1990년도 자료부터 있고 1995년 1월 1일부로 남양주와 통합되었으므로 미금시 명의로 발간된 1995년도 통계연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 [[https://www.nyj.go.kr/photo/296|남양주시 사진 갤러리]] - 현 남양주시의 풍경은 물론 (구)미금시와 남양주군 사진도 검색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남양주시]] * [[남양주시/행정]] [[분류:1989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1995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경기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남양주시]][[분류:향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