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파일:external/img15.shop-pro.jp/59089985.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미래 사무라이'''|| || 일어판 명칭 ||||||||'''[ruby(未来, ruby=みらい)]サムライ'''|| || 영어판 명칭 ||||||||'''Future Samurai'''|| |||||||||| [[듀얼(유희왕)|듀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전사족]] || 1600 || 1200 || ||||||||||이 카드는 묘지 또는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일반 몬스터로 취급한다.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일반 소환으로 취급하여 다시 소환하는 것으로, 이 카드는 효과 몬스터로 취급되며,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는 의외로 강력하다. 패 소모 없이 1턴에 1번 몬스터를 박살낼 수 있고, 빛 속성 전사족이라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 [[증원(유희왕)|증원]] 등 서포트도 많이 받는다. 문제는 1600이라는 공격력이 너무나도 애매하다. 그럭저럭 전투를 할 수 있는 정도긴 하지만 불안한 건 여전한지라 차라리 [[전술의 발전]]에서 나온 초기 듀얼들처럼 리쿠르트해서 바로 재차소환이 가능한 1500이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빛 속성이라 어니스트로 상대 턴에 버틴 후 재차소환을 할 수 있긴 하지만 그렇게 되면 또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할만한 몬스터가 없어진다.(…) 어니스트 대신 [[고철의 허수아비]] 같은 걸로 지키면 되겠지만, 이렇게 쓰는걸 생각해봐도 또 라이벌들이 버티고 있다. 보통 어택커 클래스의 공격력을 지닌 [[다크 발키리어]]야 뭐 속성이 다르고 1회용이라는 점이 있으니 그렇다쳐도, 종족/속성/[[리크루트]] 불가라는 점은 똑같으면서 공격력이 100 높은 [[프리드(유희왕)|방랑의 용사 프리드]]가 강력한 라이벌이 된다. 이놈은 묘지 코스트를 1장 더 먹고 자기보다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만 파괴할 수 있지만 대신 귀찮게 재차소환이 필요 없고, 또 파괴 대상이 한정되어있는 점도 전투파괴 내성을 지닌 벽 몬스터를 썰 때가 아니면 크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래도 [[듀얼 스파크]]나 [[슈퍼바이스]], [[포스 릴리스]] 등 각종 듀얼 서포트를 받는다는 점을 살리면 낮은 공격력과 속공성을 어느정도 때울 수 있으니, 쓴다면 빛 속성 중심의 듀얼 덱에서 각종 서포트 카드와 함께 써보자.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 [[나이트 데이 그레퍼]] 등 이 카드와 종족과 속성을 공유하는 듀얼 몬스터들이 많다. 자신이 듀얼은 아니지만 [[에너지 브레이브]] 역시 듀얼 관련 효과를 지닌 빛 속성 전사족이다. [[사무라이]]랍시고 [[여섯 무사]]들과 함께 TCG 전용 [[스트럭처 덱]] [[SAMURAI WARLORDS]]에 들어가있다. 이 카드처럼 몸에 기계 장치가 달린 여섯 무사들도 몇몇 있긴 하지만 역시 뭔가 분위기가 다르다는 느낌을 감출 수 없다. ~~그렇다고 [[기습공격 마타자]]나 [[중무장무사-벤 케이]]를 넣어주자니 야리자가 너무 딸려 보여서 차마 넣을 수 없었나보다~~ [[유희왕 ARC-V]]에서는 126화에서 [[아카바 레오]]의 회상을 통해 등장. 작중에서는 No.9라는 단역 듀얼리스트가 사용하여 [[폴 가이즈(유희왕 ZEXAL)|마그넷 카멜레온]]이라는 몬스터를 쓰러뜨리는 것으로 나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환영의 어둠]] || PTDN-KR027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 -[[전사의 일격]]- || SD17-KR017 || [[노멀]] || 한국 || ||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 PTDN-JP027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전사의 일격|워리어즈 스트라이크]]- || SD17-JP017 || [[노멀]] || 일본 || ||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 PTDN-EN02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전사의 일격|Warrior's Strike]] || SDWS-EN014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SAMURAI WARLORDS]] || SDWA-EN013 ||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