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2> '''{{{+1 미로슬라브 스코릭}}}[br]Мирослав Скорик | Myroslav Skory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미로슬라브 스코릭.jpg|width=100%]]}}} || || '''본명''' ||미로슬라프 미하일로비치 스코리크 [br]Мирослав Михайлович Скорик || ||<|2> '''출생''' ||1938년 7월 13일|| ||[[폴란드 제2공화국]] [[르부프]][* 현 [[우크라이나]] [[르비우]]]|| ||<|2> '''사망''' ||2020년 6월 1일 (향년 81세)|| ||[[우크라이나]] [[키이우]]|| || '''국적'''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5]] [[폴란드 제2공화국]] →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br]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직업''' ||작곡가 || || '''배우자''' ||아드리아나 스코릭^^(2000년 결혼)^^|| || '''자녀''' ||1남 1녀|| [목차] [clearfix] || [youtube(I1uriKGQmLc)] || || 그의 대표작 "멜로디"의 연주 영상 || == 개요 == 미로슬라브 스코릭는 [[우크라이나인]] 작곡가이다. 그의 음악은 그의 주 활동 시기가 20세기 후반인 만큼 당대 러시아-소련 근현대음악, 특히 [[스트라빈스키]]의 영향을 받되 [[국민악파|우크라이나 민속음악의 특징들을 반영하는 것]]이 주 특징이다. 스코릭는 우크라이나 인민예술가 훈장[* 1988년 수훈]과 우크라이나 영웅훈장[* 2008년 수훈]을 비롯한 훈장들을 수차례 받았으며 현대 우크라이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여겨진다. 또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와 지지의 의미로 스코릭의 작품들 - 특히 대표작 "멜로디" - 이 더욱 알려지고 공연되고 있다. == 생애 == 스코릭은 1938년 당대 폴란드의 일부였던 르부프에서 태어났다. 부모님 두분 모두가 [[빈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아버지는 [[역사학자]]에 어머니는 [[화학자]]인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고 두분 모두 직업으로 음악은 하지 않을지라도 아버지는 [[바이올린]]을, 그리고 어머니는 [[피아노]]를 치시는 지라 어렸을 적부터 좋은 환경에서 음악을 접할 수 있었다. 더군더나 친척 중에는 명망있는 소프라노 성악가 [[https://ko.wikipedia.org/wiki/%EC%86%94%EB%A1%9C%EB%AF%B8%EC%95%BC_%ED%81%AC%EB%A3%A8%EC%85%B8%EB%8B%88%EC%B8%A0%EC%B9%B4|솔로미야 크루셸니츠카]]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 힘입어 미로슬라브는 [[1945년]]에 르비우 음악학교에 입학하지만 2년 후 가족이 시베리아로 강제이주를 당하면서 그곳에서 유년기를 보내게 되며 [[1955년]]이 되어서야 르비우로 돌아온다. 1955년에서 1960년 사이에는 리비우 음악원에서 학사과정을 수학하고 1960년부터는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한다. 1964년 모스크바 음학원 졸업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작곡가 연맹에 최연소 멤버로 가입하고 르비우 음악원의 최연소 작곡 교수로서 교편을 잡는다. 이후 1966년에는 키이우 음악원으로 옮겨가 1980년대까지 교수로 있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에서 주로 활동하다가 [[1996년]]에는 [[호주]]로 떠나 호주 시민권을 얻었다. 하지만 2000년대 경부터 우크라이나로 복귀, 키이우 오페라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음악계에서 꾸준한 활동을 보였다. == 여담 == * 여타 소련시기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영화 음악도 다수 작곡했다. 스코릭이 음악을 작곡한 영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E%8A%ED%98%80%EC%A7%84_%EC%A1%B0%EC%83%81%EB%93%A4%EC%9D%98_%EA%B7%B8%EB%A6%BC%EC%9E%90|잊혀진 조상들의 그림자]][* 우크라이나 영화 중 가장 잘 알려진 것들 중 하나이며 도브젠코 센터의 설문조사에서 최고의 우크라이나 영화로 꼽히기도 했다.]가 있다. * 스코릭의 친구들은 그를 매우 내향적이고 비꼼섞인 유머 감각을 가졌다고 평했다. * 내향인에 음악가라 운동과는 별 인연이 없을 것 같지만 운동을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주로 [[탁구]], [[배드민턴]]과 [[체스]]를 즐겼다고. [[분류:1938년 출생]][[분류:2020년 사망]][[분류:우크라이나의 작곡가]][[분류:르비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