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단순히 '재현' 이라고 지칭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이상으로 복잡하고 확장되어 있는 용어다. 미메시스의 경험이라는 표현으로 쓰이기도 하며, 이러한 경험을 '침잠(沈潛)'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 [[미학]] 용어 == [[고대 그리스]] 예술 문화를 이야기할 때 사용했던 용어. 단어 자체는 모방자, 연기자를 의미하는 mimos에서 따왔는데, 사용했던 의미는 지극히 포괄적이었다. 모방이라는 이름이지만 말 그대로 현실을 표절하거나 정밀묘사한다는 의미에서의 모방이라는 개념보다는 보통 사람들이 공유하고 생각했던 것들을 통해 특정한 추상적 개념을 보여주는 데 가까웠다. 그런 이유로 '재현'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여기서 재현한다는 것은 상황을 그대로 재현하되, 미학적인 틀에 맞춰서 재현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유명인이 불륜을 저지른 사건이 벌어졌는데, 그 사건을 극작가들이 서술하는 과정 속에서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나 지혜의 여신 [[아테나]] 등이 출현해 그들의 내면세계 속에서 벌어지는 심리적 갈등을 그대로 '''재현'''해서 보여준다. 이러한 재현은 곧 현실을 미학적인 틀로서 환원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이 과정 속에서 여태껏 통용되어오던 그것의 사용 방식을 '''모방'''하기도 하기 때문에 재현이기도 하고 모방이기도 한 것이다. 같은 시대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위의 용어를 이용해 만든 철학적 용법의 이름이기도 한데, 당대 [[철학자]]들 사이에서 이쪽 용법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플라톤이 사용한 용법은 [[이데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에 가까웠다. 이를테면 인간을 예술을 통해 표현할 경우 인간의 모습을 딴 조각상을 만들거나 인간의 행동을 묘사한 이야기를 짓는 등 현실에 존재하는 인간을 "모방"하여 만들듯이 현실 또한 이데아의 모습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 플라톤은 예술을 저평가했는데 여기에는 이러한 생각도 영향을 미쳤다. 이데아의 모방품인 현실도 이데아를 찾기 위한 도구일 뿐인데 그 현실의 모방품인 예술은 이데아의 모방품의 모방품이니 가치를 둘 필요가 없는 것. 반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메시스가 재현하고자 하는 대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eidos)만을 떼어내어 재현하는 것이라고 말했으며, 플라톤과 달리 미메시스야 말로 이데아[* 물론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데아란 말을 사용하진 않았다.]를 보여주는 참된 예술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김헌, '인문학의 뿌리를 읽다', 이와우, 2016, pp.145-150.] 국내에서는 [[블루 아카이브]]의 [[마에스트로(블루 아카이브)|마에스트로]]라는 캐릭터가 이 개념을 직접 언급함에 따라 서브컬처 커뮤니티에서 유명해졌다. 하다못해 해당 게임의 캐릭터를 이용해 이 개념을 설명하는 글까지 생길 지경.[[http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0231933|#]] == [[만화 출판사#s-3.3.1|출판사]] == [[열린책들]] 계열의 예술서적 사업부. 자세한 사항은 [[만화 출판사#s-3.3.1|항목]] 참조. [[분류: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