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말 그대로 미사에 쓰이는 음악이다. 미사의 음악은 교황 [[첼레스티노 1세]]가 시편창을 [[로마]]로 받아 들인 이후라고 한다.[* P.Jeffery의 ''The introduciton of psalmody into the Roman Mass by Pope Celestine 1(422~432)'', 148페이지] 미사의 음악은 '낭송식(accentus)'과 '노래식(concetus)'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낭송식은 한 음을 중심으로 억양을 넣어주며 가사를 빠르게 읽는 것을 말하며, 노래식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음악]]이 변하더라도 가사는 절대 변하지 않는 '통상문'과 절기나 축일에 따라 변하는 '고유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통상문 == [include(틀:미사)] === 자비송(Kyri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비송)] === 대영광송(Glori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영광송)] ===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Credo)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 거룩하시도다(Sanctus-Benedictu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거룩하시도다)] ===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느님의 어린양)] == 고유문 == === 입당송 === === [anchor(영성체송)]영성체송 === === 본기도, 예물기도, 영성체 후 기도 === == 미사 독서 == === 화답송 === === 부속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속가)] === 복음 환호송(알렐루야 또는 연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알렐루야)] == 그밖의 전례 음악 == === 레퀴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퀴엠)] === 봉헌송 === == 여담 == * 적잖은 [[클래식(음악)|클래식]] 작곡가 가운데 미사의 입당송, [[자비송|Kyrie]], [[대영광송|Gloria]],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Credo]], [[거룩하시도다|Sanctus-Benedictus]],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를 작곡한 경우가 많다. 심지어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나 [[정교회]] 신자인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도 미사곡을 작곡하였다. 바흐의 경우 그의 후원자가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그를 위하여 특별히 [[미사 B단조|미사곡]]을 작곡하였다고 한다.[* 이는 [[루터교회]]도 [[루터교회/예전|미사 전례 순서에 맞춰서 예배를 드리기 때문에]] 호환이 쉬운 면도 있었다.] 그래서 성가집 미사곡의 작곡가를 보면 교과서에 나오는 대 음악가인 경우가 꽤 있다. [[분류:미사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