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 월화 드라마(2001~2005))] ||<-5>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FFFFFF '''TV부문 드라마 작품상'''}}}}}} || || [[꽃보다 아름다워]][br](2004년) || {{{+1 →}}} || '''미안하다, 사랑한다[br](2005년)''' || {{{+1 →}}} || [[토지(SBS)|토지]][br](2006년) || ||<-3>
{{{#fff '''KBS 2TV [[KBS 월화 드라마|{{{#fff 월화 드라마}}}]]'''[br]{{{+2 '''미안하다, 사랑한다'''}}} (2004) [br] ''I Am Sorry, I Love You''}}}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g.kbs.co.kr/wall_02.jpg|width=100%]]}}} || ||<-2> '''장르''' ||[[멜로]], [[드라마]] || ||<-2> '''방영 시간''' ||[[월요일]], [[화요일]] 21:55 ~ || ||<-2> '''방영 기간''' ||[[2004년]] [[11월 8일]] ~ [[2004년]] [[12월 28일]] || ||<-2> '''방영 횟수''' ||16부작 || ||<-2> '''제작사''' ||에이트픽스[* 現 그룹에이트의 전신.] || ||<-2> '''채널''' ||[[KBS 2TV]] || ||<|3> '''제작진''' || '''프로듀서''' ||정성효 || || '''연출''' ||이형민[*A 전작이 [[상두야, 학교가자]]였다.] || || '''극본''' ||[[이경희(각본가)|이경희]][*A ] || ||<-2> '''출연''' ||[[소지섭]], [[임수정]], [[서지영]], [[정경호]] 外 || ||<-2> '''스트리밍''' ||[[wavve]]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K02_T2004-0922|▶]] || ||<-2> ''' 시청 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2> '''링크''' ||[[http://program.kbs.co.kr/2tv/drama/misa/|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
어린시절 호주에 입양된 후 다시 양부모에게서도 버림받은 한 남자의 운명적 복수를 그린 드라마. || [[2004년]] [[11월 8일]]부터 2004년 [[12월 28일]]까지 [[한국방송공사|KBS]]에서 방영한 16부작 드라마. == 기획의도 == [[파일:미안하다사랑한다기획의도.jpg]] ||'''{{{+1 {{{#00BFFF '죽음도 두렵지 않은 지독한 사랑의 기록'}}}}}}''' '''정말 슬픈 사랑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다.''' 영화나 소설, 만화에나 있을 법한 그런 슬픈 사랑이야기. 현실에서는 좀처럼 만나기 힘든, 그래서 몇 백년에 한 번쯤 삼류잡지의 '믿거나 말거나 코너'에 실릴 법한 기막힌 사연이 필요했다. 남여 주인공이 겪게 되는 운명의 고통이나 서로를 향한 사랑의 지독함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엄청난 파워의 사랑이야기를 해보고 싶었다. ''''미안하다, 사랑한다'는 한 남자의 운명적 복수극으로 시작된다.''' 어린시절 호주에 입양된 후 다시 양부모에게서도 버림받아 거리의 아이로 자란 들개 같은 남자 차무혁. 그는 첫사랑의 생명을 구해내고 훈장처럼 두발의 총탄을 맞게 된다. 멜버른 거리를 떠돌던 그를 보살펴주었던 첫사랑은 자신에게서 떠나가라고 그를 떠민다. 낳아주기만 했지 비정하게 그를 내팽개쳤던 고국으로 돌아가라 한다. 한국에 돌아온 그는 자신의 출생에 얽힌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다. ''''미안하다, 사랑한다'는 두 남자와 한 여자가 쓴 지독한 사랑의 기록이다.''' 은채에겐 소중한 남자 윤이 있다. 사랑하지만 가까이서 쳐다볼 수 밖에 없는 내 사랑 윤.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지만 언젠가 윤이 철들면 자기 곁에 늘 은채가 있었음을 알게 되리라 생각하고 기다리기로 한다. 어느 날 재수없는 한 인간이 그녀 앞에 나타났다. 윤의 매니져란다. 거칠 것 없는 무례함에 안하무인의 그 남자. 볼수록 꼴불견이지만 왠지 자꾸 그 남자에게 시선이 간다.|| == 등장인물 == * [[차무혁]] 역 - [[소지섭]] * [[송은채]] 역 - [[임수정]] * [[강민주(미안하다, 사랑한다)|강민주]] 역 - [[서지영]] * [[최윤(미안하다, 사랑한다)|최윤]] 역 - [[정경호]] * [[오들희]] 역 - [[이혜영(1962)|이혜영]] * [[송대천]] 역 - [[이영하(배우)|이영하]] * 장혜숙 역 - [[김혜옥]] * [[민현석]] 역 - [[신구|신구]] * [[윤서경]] 역 - [[전혜진(1976)|전혜진]] * [[문지영(미안하다, 사랑한다)|문지영]] 역 - [[최여진]] * [[송숙채]] 역 - [[옥고운|옥지영]] * [[송민채]] 역 - [[정지안|정화영]] * [[김갈치]] 역 - [[박건우(1996)|박건태]] * 민주 모 역 - [[홍여진]] == 시청률 == 1화 방영 시청률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0014814|16.1%(전국 기준, TNS미디어)로 출발했다]]. 당시 MBC [[영웅시대]], SBS [[러브스토리 인 하버드]]와 경쟁해, 20% 전후의 시청률을 유지하며 월화 드라마 1위 자리를 유지했다. 방영 내내 조금씩 시청률이 오르며 매회 자체 최고 시청률을 갱신했다. 하지만 당시 경쟁 드라마들의 시청률이 15% 전후를 꾸준히 유지해 압도적인 격차를 내진 못했다. 15화 시청률은 25.6%로, 미사폐인들에 의해 시청률 30% 돌파 운동이 벌어졌다. 하지만 마지막화인 16화가 30%를 넘지 못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0000831|29.2%로 집계되었다.]] == OST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niadb.com/136094_1_f.jpg|width=100%]]}}} || || '''트랙''' || '''곡명''' || '''아티스트''' || '''듣기''' || || 1 || Intro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4u1HipXasn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눈의 꽃(박효신)|눈의 꽃]]''' || [[박효신]] || [[https://youtu.be/BY4sHNaV4W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처음 그때로 || [[정재욱]] || [[https://youtu.be/z6F1277T0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가슴에 누가 살아요 || [[J.ae]] || [[https://youtu.be/205nhYNzmm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하루가 지나고 || [[바다(S.E.S.)|바다]] || [[https://youtu.be/Nb-UvujuJH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 돌아가줘 || [[정재욱]] || [[https://youtu.be/ja598qQgpf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 [[거인]] || [[J.ae]] || [[https://youtu.be/9iYUMIGN-0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 [[Flying Without Wings]] || [[Westlife]] || [[https://youtu.be/CWej_P7mqc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 || 소중한 사람 || 김성필 || [[https://youtu.be/DNhsfuNB5K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 지워진 기억 || [[이소정(뮤지컬 배우)|이소정]] || [[https://youtu.be/ydgduyuT5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 Wherever You Will Go || [[더 콜링|The Calling]] || [[https://youtu.be/iAP9AF6DCu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 처음 그때로 (Inst.)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zrieRreTZp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3 || 하루가 지나고 (Inst.)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l2mIBzgch2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 눈의 꽃 (Inst.)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_gP0AfpeRB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5 || Outro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DxymmJoXeo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미안하다 사랑한다 OST - Vol.2 Never Ending Story}}} || || '''트랙''' || '''곡명''' || '''아티스트''' || '''듣기''' || || 1 || Main Title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Qn1NzMQuck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은채&무혁 첫키스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lryoSmcPZ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눈의 꽃(박효신)|눈의 꽃]] (Acoustic ver)''' || [[서영은(가수)|서영은]] || [[https://youtu.be/tGgVG1Ul_W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멜버른 거리에서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3bXgH4RNVp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마지막 선택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A9oBLCrA1p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 윤아 괜찮아 (은채 Nar.)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fOigdunFR7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 소중한 사람 || [[정경호]] || [[https://youtu.be/Vy_UWqzFjz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 아들과 엄마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TO_GpfNW1c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 || [[이방인]]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51oKgtf_6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 무혁의 기도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umQf4cOu3r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 나 당신에게 약속합니다 (무혁 Nar)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k2EO63MFQT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 눈의 꽃 (Inst.)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59dtpune0R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3 || [[운명]]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0N71I4aRQT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 [[진실]]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C_-BE8Hc0C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5 || 은채의 방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WyAaYD8VkX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6 || 은채의 고백 (은채 Nar.)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9ZLRKW3Q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7 || [[설레임]]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qiLKyxrTZp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8 || 엄마의 사진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e0fPUMeMWI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9 || Talk to Me || Machan || || || 20 || 가려진 세월 || Various Artists || [[https://youtu.be/ECP5P73uQC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OST가 출중한 드라마로 유명하다. 딱히 설명이 필요없는 [[박효신]]의 [[눈의 꽃(박효신)|눈의 꽃]]은 물론이고, 엔딩 씬에 항상 쓰인 [[정재욱]]의 '처음 그때로' 뿐만 아니라 [[바다(S.E.S.)|바다]], [[서영은(가수)|서영은]]의 눈의 꽃[* 다만, 서영은의 눈의 꽃은 본방송에 나온 적이 없으며 16화의 그 유명한 지하철역 입구의 사랑해요 장면 이전 [[청안]]이 부른 눈의 꽃이 나온다. 그런데 정작 이 노래는 OST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아 의아해했다.], 현재도 자주 사용되는 테마 OST 등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봐도 될 정도의 호화 구성으로 유명하다. 박효신의 '눈의 꽃'은 [[나카시마 미카]]의 원곡을 리메이크한 곡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유명한 OST로는 '[[https://youtu.be/A9oBLCrA1pY|마지막 선택]]'이 있는데, 상황이 급반전되는 상황에 쓰인다. [[일본 드라마]] [[하늘에서 내리는 1억개의 별]]의 OST [[https://youtu.be/8mKw_HkdtY4|Resolver]]와 비슷해 편곡해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한 네티즌이 resolver의 작곡가 [[요시마타 료]]에게 이에 대해 사실인지 묻는 메일을 보내자, 요시마타 료 측에서는 resolver의 사용을 허락한 적 없으며 이에 대해 최근에 알았지만 미안하다, 사랑한다가 방송한지 이미 10년이 넘어 대응하기 늦었다는 판단하에 대응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여 자신의 곡을 표절한 것으로 판단했다. [[파일:메일 번역.png]] > 항상 요시마타 료를 응원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저는 요시마타 료가 소속되어 있는 STATELESS의 이케우치입니다. > >이번에 문의주신 사항은 당사도 최근에 파악한 바이지만, 당연히 사용을 허가한 적은 없습니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비슷한 일이 자주 있는 듯 합니다만, 오히려 요시마타가 도용한 것이라는 오해가 생길까 걱정됩니다. >다만, 10년이 넘은 작품이기도 하고 하여, 이제 와서 문제 제기를 할 계획은 없습니다. > >지적해 주신 점은 대단히 감사드리오나, 당사는 이러한 입장을 표명하는 바입니다. > >앞으로도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STATELESS >----- >번역본 == 평가 == 감동적인 시나리오, 애잔한 사연, 매력적인 캐릭터와 연기자들의(중간에 폭탄들이 있긴 했지만) 호연, 우수한 음악 등에 힘입어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웹상에서 큰 지지와 애정을 받아 미사폐인이라는 단어를 탄생시켰다. [[소지섭]]과 [[임수정]]의 대표작으로, 이 작품으로 주연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됐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youtube(O13v7-N6-Us)] [[연필로 명상하기]]에서 제작, 안재훈이 담당한 2006년 애니메이션으로 드라마의 외전격에 해당하며, "Between the One Year"라는 부제가 붙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2407442|관련 기사]] 일본에 발매한 드라마 DVD에 수록되었으며, 국내에는 VOD 형식으로 판매했다. 약 33분 짜리로, 드라마 하이라이트(회상 장면)와 함께 드라마의 결말과 에필로그 사이인 차무혁이 죽고 송은채가 그의 묘비 옆에서 죽기까지의 1년간의 내용을 담았다.[* 33분짜리 애니메이션 치고는 내용이 꽤 알찬 편이다. 드라마에 나오는 내용들 전부가 함축적으로 들어갔다. 죽은 무혁을 그리워하는 은채의 이야기와 오들희가 죽었다고 생각한 자신의 아이들의 관한 진실을 양아들 최윤을 통해 알게 되자 남아있는 무혁의 누나 서경과 아들 갈치가 오들희와 최윤과 같이 살게 되는 이야기, 송은채가 무혁, 서경 남매가 버려진 진실과 거기에 관련된 자신의 아버지 송대철의 만행을 알게 되는 내용이 담겼다.] 내용은 원작가의 감수를 거쳤으나, 소지섭과 임수정의 캐스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대부분 전문 성우들이 맡았는데 성완경, 은영선, 김장, 윤소라, 오세홍, 문선희, 임주현이 참여했다. 드라마와는 다른 애니메이션 OST가 존재한다. 대본도 출판했다. === 드라마 === [youtube(33WpX0hUdvs)] ==== 2013년 튀르키예 드라마 ==== Bir aşk hikayesi (비르 아슈크 히카예시, '사랑 이야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BiraskHikayesi_afis.jpg]] 총 20부작. 2012년 터키에서 리메이크 판권을 구매하여, 2013년 터키 FOX TV에서 방영했다. [[파일:external/img.haberler.com/bir-ask-hikayesi-son-bolum-fragmani-fox-tv_4401_b.jpg]] 차무혁은 '코르쿠트 알리(Korkut Ali)', 송은채는 '제일란(Ceylan)' 등으로 이름이 현지화되었으며, 호주 멜버른은 [[독일]] [[슈투트가르트]]로 바뀌었다. 1화 맨 처음, 일본 여자 관광객을 털면서 [[일본인]] 시늉을 내던 차무혁 설정은 여기서도 그대로 나오는데 여기선 [[이탈리아]] 여자 관광객을 이탈리아인이라고 속여 태워 털어버린다. ==== 2016년 태국 드라마 ==== [youtube(DTvzzkp-Ai8)] ==== 2017년 일본 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안하다\, 사랑한다(일본 드라마))] === 영화 === ==== 2014년 중국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안하다\, 사랑한다(중국 영화))] == 여담 == * 쓰레기통 옆에 남녀 주인공이 나란히 있는 포스터는 의도한 것이 아니라, 호주 로케이션 촬영 중간에 우연히 찍은 사진을 포스터로 제작한 것이다. 소지섭과 임수정의 표정과 거리 풍경이 드라마 분위기와 절묘하게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다. [[https://news.nate.com/view/20090922n07369?mid=e01|참고]] * 당시 큰 인기를 끌어 '미사 폐인'이라는 열성팬을 낳았다. 드라마가 끝날 무렵, 시청자 게시판에는 50여만건의 글이 게시되었으며, 종영을 앞두고는 시청률 30% 돌파 운동이 벌어졌다. 드라마 종영 이후에는 근조리본 릴레이가 이어졌으며[* 이는 당시 연기대상 수상을 기원하는 응원으로 이어져 연말까지 지속되었다.], 감독판 DVD을 출시하라는 서명운동을 벌였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06780|기사]] * 드라마 방영 중 언론들의 과도한 경쟁에 의해 결말과 반전이 모조리 스포일러 되었다. 당연히 맹비난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해당 언론사는 사과문을 게재하였다. 작가는 내용을 고쳐야할 지 고민된다고 이야기했지만 내용 변경 없이 그대로 진행했다. 결국 드라마의 결말을 알면서도 보는 사태가 벌어졌다. * 소지섭이 연기한 차무혁이 오들희를 바라볼 때의 눈빛 연기는 오들희에 대한 슬픔, 분노, 쓸쓸함, 질투, 동경 들이 모두 담긴, 그의 연기 인생을 통틀어 극찬을 받을 정도의 압도적인 연기라는 평을 받았다. * 이혜영은 15년만의 TV 복귀작이었는데, 그 공백이 무색할만큼 어마어마한 연기를 보여줬다. 세상에 윤이 밖에 바라보지 못하는, 드라마 중후반에 가서는 그 마음이 이해가 되는, 왜 아들바보가 될 수 밖에 없었는 지에 대한 연기를 뚝심있게 처음부터 끝까지 밀어붙였다. 드라마 초기에는 오버톤이라는 의견도 있었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부터는 사실상 이 드라마 최고의 피해자인 오들희의 연기 톤이 왜 그 톤이어야만 했는지 시청자들도 공감이 됐고, 이해할 수 있는 악역 캐릭터로 완벽히 설명될 정도로 훌륭했다. 압도적인 발성과 완벽한 발음은 덤. "아들~" 같은 대사는 많은 성대모사와 패러디를 가져올만큼 인상적이었다. * 차무혁의 대사 "밥 먹을래! 나랑 같이 죽을래!"는 숱한 패러디를 낳았다. * 호주 하면 [[시드니]]만을 떠올리는 한국인들에게 [[멜버른]]을 홍보한 드라마이기도 하다. 이는 호주관광청의 지원을 받은 결과물. 드라마 방영 이후 [[대한항공]]이 [[멜버른 국제공항]] 직항편을 운행했으나 생각보다 이용객이 많지 않았던지 2008년 금융위기쯤에 시드니 경유로 대충 굴리다 2010년쯤에 단항했다. 반대로 멜버른보다 규모가 작은 브리즈번 행은 주간 운행횟수가 3~4회로 적음에도 꾸준히 운행한다. * 미사 폐인들의 서명운동에 의해 2005년 감독판 DVD를 출시했다. 1부는 4:3 비율로 제작한 원본 영상을 16:9 비율로 늘린 스트레치 화면으로 추가 구성했으며, 사운드 리마스터링으로 음향이 향상되었다. 작가, PD 및 주연 배우 인터뷰, 메이킹 영상, NG 장면 등 추가 영상도 포함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TV 방영판보다 수십여 초 짧아졌다. 원래 감독판을 만들 계획이 없었던 터라 미방영분 테이프 영상을 폐기 처분해 벌어진 일. * 2005년 5월, 제4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부문 드라마 작품상과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소지섭)을 수상하였다. KBS에서는 수상 기념으로 재방영했는데 감독판으로 방영하였다. * 2005년 [[대만]]에 이어, 2006년 [[일본]] [[TV 도쿄]]에서 방영했으며[* [[쿠와시마 호우코]]의 전설을 이어갔다.(항목 참고)], 이후 [[중국]], [[인도네시아]], [[UAE]] 및 아랍 등지에서도 방영했다. * 가끔씩 일부 매체에서 "미안하다, __이다" 형식으로 패러디한다. * [[다음 카페]]에 팬카페 미사가연(cafe.daum.net/sorrybutlove)이 있다. * 온라인 게임 [[그라나도 에스파다]]의 삽입곡 'M.I.S.A'의 이름의 모티브이다. * KBS 예능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통해 이 드라마가 재조명됐다. 멜버른으로 간 [[샘 해밍턴]]이 촬영 장소 골목을 찾아가는 장면이 나왔고, 샘의 어머니 잰 러스가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드라마라고 인터뷰도 했다. * KBS [[개그콘서트]]의 코너 [[달인(개그콘서트)|달인]]에서 소지섭은 배추, 임수정은 양배추로 패러디했다. [[뮤지컬(개그콘서트)|뮤지컬]]에서도 패러디했는데 소지섭은 [[이동윤(코미디언)|이동윤]][* 개그맨 지망생 시절 [[폭소클럽]] 록기&루키에서 패러디하면서 [[소지섭]] 역을 맡았다. 당시 콤비 [[김재롱]]이 임수정 역을 맡았다.], 임수정은 [[신봉선]]이 맡았다. [[유민상]], [[노우진]], [[김재롱]]이 악당을 맡았다. * 극중 임수정이 입은 무지개 니트와 어그 부츠는 완판에 완판을 이뤘을 정도로 당시 여성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 극중 오들희의 집은 10년 후 SBS 드라마 [[상속자들(드라마)|상속자들]]에서 [[최영도]] 가족과 [[유라헬]] 가족의 가족사진 촬영 장소로 다시 등장했다. 또한, JTBC 드라마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의 여주인공 [[정혜윤]]이 과거 사랑했으나 철저히 배반당한 변호사 전상진과 오랜만에 재회하는 장소로 재등장했다. * 임수정이 지하철역에서 소지섭에 날리는 '사랑해요 21연타' 장면을 본 [[조혜련]]이 당시 남편(현재는 이혼)에게 저 장면을 따라했더니 '피곤하면 들어가서 자'라고 무심하게 말했다는 일화를 방송에서 언급했다. === 캐스팅 관련 === 원래 캐스팅 물망에는 소지섭과 임수정이 오르지 않았다고 한다. 차무혁 역에는 [[이동건]], 송은채 역에는 [[김희선]]이 물망에 올랐다고 한다.[* 이동건은 작가의 [[상두야 학교가자|전작]]에 출연한 인연이 있고, 김희선은 이후 이경희가 드라마 [[꼭지(드라마)|꼭지]] 이후로 오랜만에 집필한 KBS 주말 드라마 [[참 좋은 시절]]에 출연하였다.] 임수정이 캐스팅되자 KBS 관계자는 [[듣보잡]] 배우라며 반대했다고 한다.[* 이 작품을 하기 전인 2003년에 [[청룡영화상|여러]] [[대한민국 영화대상|영화 시상식]]에서 영화 [[장화, 홍련]]으로 신인여우상을 받았지만, 인지도는 현저하게 낮은 것이 사실이었다. 이 드라마가 첫 미니시리즈 주연작이니... 여기에 드라마 [[학교 4]] 출연 당시 샤워신과 관련한 마찰에 임수정이 맡은 배역 오혜라가 [[김보경(1976)|김보경]]의 중도 하차로 인해 허공에 떠 버리면서 비중이 급격히 줄어드는 등 KBS와 감정이 나빴던 점도 있었다.] 하지만 임수정은 이 작품을 통해 엄청난 인기를 얻어 주연 배우로 입지를 다졌다. 소지섭과 임수정은 이 드라마로 2004년 [[KBS 연기대상]]에서 인기상, 베스트커플상, 네티즌상을 함께 받았다. 당시 두 배우는 우수연기상 후보에 올랐으며, 소지섭은 남자 우수연기상을 공동 수상했고 임수정은 여자 신인연기상을 공동 수상했다. 한편, 혼성그룹 [[샾]] 출신의 [[서지영]]이 샾 해체 사건으로 인해 두문불출하다 이 작품으로 연기자로 데뷔해 우려를 모았다. 가수 출신치고는 연기가 그다지 나쁘지 않은 편이었으나, 주연 배우들의 호연으로 인해 몰입에 방해가 되긴 했다. 극이 진행될수록 나아졌는데 사실, 진짜 [[발연기]]를 한 배우는 [[최윤(미안하다, 사랑한다)|최윤]] 역의 [[정경호]]다. [[최여진]]도 이 작품이 데뷔작이다. 1화에서 서지영과 키스신을 찍은 단역 배우는 [[신동욱(배우)|신동욱]]이다. 그리고 서지영의 남자친구로 [[심지호]]가 카메오로 출연했다. [각주][[분류:2004년 드라마]][[분류:2004년 종영]][[분류:KBS 월화 드라마]][[분류:16부작 드라마]][[분류:한국방송대상 대상 수상작]][[분류: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수상작]][[분류:제목이 같은 드라마]][[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드라마 원작 애니메이션]][[분류:튀르키예 드라마]][[분류:2013년 드라마]][[분류:안재훈(애니메이션 감독)]][[분류:연필로 명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