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황실)] [목차] == 개요 == 미야고\[[ruby(宮号, ruby=みやご)], 궁호(宮號)]는 [[일본 황실]]에서 [[미야케]]의 당주인 황족 남성이 갖는 칭호이다. '~노미야(宮)'라는 식으로 이름 앞에 붙는다. 남자 황족이 혼인을 하거나 분가하여 새 미야케를 창설할 때 [[천황]]이 하사한다. == 대상 == 미야고는 [[미야케]]의 '''남성 당주 개인에게만 붙는 칭호로, 당주의 아내나 자녀는 미야고를 갖지 않는다.''' 당주의 아내는 '~노미야 비(~宮妃)'로 불릴 때도 있는데, 이는 궁호가 아니다. 언론에서 가끔씩 당주가 아닌 미야케 구성원에게 이름 앞에 '~노미야'라는 호칭을 붙이는 것은 정식 표기가 아니다. [[다이쇼 덴노]]의 막내아들인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과 그의 장남인 [[토모히토]] 친왕의 경우, 토모히토 친왕이 당주인 아버지 다카히토 친왕보다 먼저 죽었다. 따라서, 토모히토 친왕은 생전 미카사노미야의 당주가 된 적이 없으므로, '미카사노미야 토모히토 친왕'이 아닌, 그저 '토모히토 친왕'이 정식 표현이다.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자녀인 [[카코 공주|카코]] 내친왕과 [[히사히토]] 친왕은 '아키시노노미야 카코 내친왕',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아닌, 그냥 '카코 내친왕'과 '히사히토 친왕'이 올바른 호칭이다. 다만, 궁호를 물려받을 당주의 장남은 '~노와카노미야(若宮)'를 붙일 수 있다. 히사히토 친왕은 아키시노노미야 가문을 승계받을 장남이라서 '아키시노노와카노미야(秋篠若宮)'라는 칭호를 쓸 수 있다. == 계승 == '''아버지의 미야고는 [[장남]]이 물려받고, [[차남]] 이하의 아들은 결혼하여 가장이 되면 새 [[미야케]]를 창설하여 새로운 미야고를 받는다.''' 궁호를 물려받을 당주의 장남은 '~노와카노미야(若宮)'라는 칭호를 사용할 수 있다. [[히사히토]] 친왕은 후미히토 사후 아키시노노미야 가문을 승계받을 장남이라서 '차기 아키시노노미야'라는 의미에서의 '아키시노노와카노미야(秋篠若宮)'라는 칭호를 쓸 수 있다.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의 경우, 다카히토 친왕이 죽으면 장남인 [[토모히토]] 친왕이 아버지의 미야고인 '미카사노미야'를 물려받아야 했으나, 토모히토 친왕은 아버지보다 먼저 죽고 말았다. 3남 [[노리히토]] 친왕은 '다카마도노미야'라는 미야고를 새로 받았다. 차남 [[요시히토 친왕]]은 결혼하지 않고 독신이었는데도 '가쓰라노미야'라는 미야고를 받았다. 토모히토 친왕은 두 딸 [[아키코 공주]]와 [[요코 공주]]만을 남기고 죽어, 현행 [[황실전범]]에 따르면 '미카사노미야'라는 미야고를 물려받을 후손이 없다. [[노리히토]] 친왕도 [[쓰구코 공주]], [[센게 노리코]], [[모리야 아야코]]만을 남기고 죽어, '다카마도노미야'라는 미야고를 물려받을 후손도 없다. == 미야고와 [[어칭호]]의 구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칭호)] || [[어칭호]]: || 히로노미야(浩宮) || 아야노미야(礼宮) || - || || __미야고__: || - || __아키시노노미야(秋篠宮)__ || - || || 휘: || [[나루히토]] || [[후미히토]] || [[히사히토]] || [[나루히토]](德仁) 천황은 [[황태자]]로 책봉되기 전까지 '히로노미야(浩宮)'란 칭호를 썼는데 이는 미야고가 아니다. '히로노미야'는 미야고가 아닌 [[어칭호]](御稱號)이다. 이는 천황과 황태자의 자녀에게만 주어지는 것이다. 나루히토 천황, [[후미히토]] 친왕, [[구로다 사야코]]는 출생 당시 [[아키히토]] '황태자'의 자녀였기에 어칭호를 받았다. [[아이코 공주]]도 나루히토 '황태자'의 딸로 태어났기에 '도시노미야(敬宮)'라는 어칭호를 받았다. 반면 후미히토 '친왕'의 자녀로 태어난 [[코무로 마코]], [[카코 공주]], [[히사히토]] 친왕은 어칭호를 받지 않았다. 차남 이하의 아들들은 결혼하여 미야케를 창설하여 가장(家長)이 되면서 어칭호 대신 미야고를 새로 받으며, 딸들은 결혼하면 어칭호 대신 남편의 성씨를 따른다. 민간에서는 남편이 아내의 성씨를 따르는 [[데릴사위]]도 가능하지만, 황실에서는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미히토 친왕은 결혼 전까지 '아야노미야(礼宮)'라는 어칭호를 쓰다가 1990년 [[키코 비|가와시마 키코]]와 결혼 후 '아키시노노미야(秋篠宮)'라는 미야고를 새로 받았고, 사야코 공주는 결혼 전까지 '노리노미야(紀宮)'라는 어칭호를 쓰다가 결혼 후 남편의 성씨를 따라 [[구로다 사야코]]가 되었다. == 성씨 취급 == 이름 뒤에 '-노미야(宮)'라는 미야고를 쓰는데, 마치 [[성씨]]처럼 보이지만 성씨는 아니다. 일본 황족들은 성씨가 없고, 원칙상 방계 황족의 자녀들 역시 성처럼 쓸 수 있는 칭호가 없다. [[후미히토]] 친왕의 자녀인 [[카코 공주]]와 [[히사히토]] 친왕은 그냥 '카코 내친왕', '히사히토 친왕'이라고 부르는 게 맞다. 다만 학교에 다닐 때나 사회 생활을 할 때 등 칭호나 미야고를 성씨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노미야(宮/~궁)’ 라는 칭호는 빼고 사용한다. 그 예로, 후미히토 친왕의 두 딸 마코 공주와 카코 공주는 학교에 다닐 때 ‘아키시노노미야’에서 ‘~노미야’ 를 뺀 ‘아키시노’라는 호칭을 성씨처럼 사용했다. 마코 공주는 2021년 평민 [[코무로 케이]]와 결혼하면서, [[부부동성|남편의 성씨]]를 따라 [[코무로 마코]]가 되었다. 일본 미야고와 비슷하게 [[영국 왕실]]등 유럽 왕실들도 [[프린스]]나 [[프린세스]](미혼일 시) 칭호를 보유한 직계 왕족일 경우, 대개 본인이나 (미혼이거나 본인의 [[작위]]를 받지 않은 경우) 부친(혹은 모친)의 [[작위|봉지명]]을 성씨처럼 사용한다. [[영국]]의 [[조지 알렉산더 루이|조지 왕자]]의 경우 아버지 [[윌리엄 왕세자]]의 작위인 웨일스 공에서 따서 사회생활 시 조지 웨일스로 지칭한다. 단 왕실 공식행사에선 엄연한 [[왕족]]이므로 '웨일스의 조지 공자 전하(His Royal Highness Prince George of Wales)로 지칭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미야케, version=160)] [[분류:이름]][[분류:미야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