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미야기현 제3구}}}}}}'''[br]{{{-1 {{{#ffffff 宮城県第3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Miyagi3.svg|width=100%]][br]}}}|| ||<-2><:>'''선거인 수'''||<-2><:>282,793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미야기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br][[이와누마시]], [[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br][[와타리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니시무라 아키히로]]|| [목차] [clearfix] == 개요 == [[미야기현]]의 남부 지역 및 [[후쿠시마현]] 인접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민당 소속 니시무라 아키히로. == 상세 ==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과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경합을 벌이는 [[미야기현 제1구|1구]], [[미야기현 제2구|2구]]와는 달리 이 지역구는 자민당 지지도가 강한 곳이다. 미쓰즈카 히로시 전 대장대신이 은퇴한 뒤 치러진 제 43, 44, 45회 총선에서는 그나마 자민당과 민주당이 비등비등했으나, 민주당 정권이 무너진 2012년 제 46회 총선부터는 자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지역구로 다시 돌아왔다. 특히 [[2017년]] 제 48회 총선에선 현직 의원인 니시무라 아키히로 후보가 이 지역구 역대 최다격차인 33.91% 차이로 압승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미야기현 제3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미쓰즈카 히로시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니시무라 아키히로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하시모토 기요히토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니시무라 아키히로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 이와누마시,[br]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쓰즈카 히로시''' || '''81,78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3.14%'''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무카데 겐이치 || 53,150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34.5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토모 히로미 || 18,97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3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3,906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 이와누마시,[br]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쓰즈카 히로시''' || '''84,27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1.9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오야마 가쓰히로 || 40,89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5.23% || 낙선 || ||<|2>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호리 마코토 || 22,501표 || 3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13.8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토 미키오 || 14,42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9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2,104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 이와누마시,[br]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아키히로''' || '''74,04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6.35%'''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시모토 기요히토 || 73,80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6.20%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카하시 고지 || 11,91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4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9,763표 ||<|2> '''투표율'''[br]57.93% || || 선거인 수 || 285,294인 || 자민당의 거물인 미쓰즈카 히로시 전 대장상이 정계를 은퇴했다. 미쓰즈카 전 대장상의 비서인 니시무라 아키히로 후보가 신인으로 출마했다. 아무래도 전임자 만큼의 기반이 없어서인지 당선은 되었지만 격차가 26.76%에서 0.15%까지 확 줄어들었다.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 이와누마시,[br]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아키히로''' || '''98,26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2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시모토 기요히토 || 78,50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1.7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카하시 고지 || 11,25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9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8,028표 ||<|2> '''투표율'''[br]66.51% || || 선거인 수 || 287,647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 이와누마시,[br]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시모토 기요히토''' || '''108,718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5.04%'''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아키히로 || 85,89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3.49%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고바야시 무쓰아키 || 2,895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4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7,510표 ||<|2> '''투표율'''[br]69.57% || || 선거인 수 || 289,304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 이와누마시,[br]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아키히로''' || '''88,80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58.24%'''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시모토 기요히토 || 47,29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1.0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고 || 16,37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7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2,469표 ||<|2> '''투표율'''[br]55.89% || || 선거인 수 || 283,645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시로이시시, 나토리시, 카쿠다시, 이와누마시,[br]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아키히로''' || '''76,24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54.4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시모토 기요히토 || 48,95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4.9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고 || 14,71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5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9,915표 ||<|2> '''투표율'''[br]50.57% || || 선거인 수 || 283,873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센다이시 타이하쿠구 일부, 시로이시시, 나토리시,[br]카쿠다시, 이와누마시, 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아키히로''' || '''92,89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일본의 마음)] 추천] || '''60.31%'''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치조 요시히로 || 40,670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6.4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고 || 20,46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2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4,032표 ||<|2> '''투표율'''[br]54.06% || || 선거인 수 || 292,288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미야기현 제3구}}}}}}'''[br]{{{#fff 센다이시 타이하쿠구 일부, 시로이시시, 나토리시,[br]카쿠다시, 이와누마시, 캇타군, 시바타군, 이구군, 와타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아키히로''' || '''96,21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9.27%'''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오노 소노코 || 60,237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7.11%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아사다 고지 || 5,890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6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2,337표 ||<|2> '''투표율'''[br]57.71% || || 선거인 수 || 286,936인 || 현역 자민당 니시무라 아키히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33세의 젊은 신예 정치인인 오노 소노코를 지역구 총지부장으로 임명했다. 이후 오노 지부장이 공천을 받았다. [[일본공산당|공산당]]이 처음부터 후보를 공천하지 않아, 이 지역구는 자연스레 오노 후보로 야권 단일화가 되었다. 2012년 이후부터 유독 이 지역구는 다른 [[도호쿠]] 지역보다 더 급격하게 야당 지지율이 폭락했는데, 젊은 신인 후보를 내세운 입헌민주당이 이번에 반등의 기회를 잡을지 주목된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은 가운데, 전직 [[일본항공]] 사원이자 현재 지역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아사다 고지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니시무라 후보가 압승을 거두었다. 입헌민주당 오노 후보는 지난 총선의 희망의당 및 공산당 표를 집결하는데는 성공했지만, 자민당을 찍은 표를 빼앗아오는데는 실패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이 선거구에 있던 [[센다이시]] [[타이하쿠구]] 서부 지역이 1구로 관할 구역이 바뀌었다. 자민당에서는 니시무라 아키히로 의원의 7선 도전이 예상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지난 총선의 후보인 오노 소코가 2022년 10월 4일 지역구 지부장직에서 물러나면서 대체 인물을 못찾고 있다. 다른 야당에서도 아직까지 지역구 지부장이나 후보를 내정하지 않고 있다. [[분류:선거구/일본]][[분류:미야기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