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폰토스 국왕)] ||<-3><#FF8C00> '''{{{#FFF 폰토스 왕국 초대 군주}}}''' [br] {{{+2 {{{#FFF '''Mιθριδάτης Kτίστης | 미트리다테스 1세 크티스테스'''}}}}}} || ||<|3><#FF8C00> '''{{{#FFF 제호}}}''' ||<#FF8C00> '''[[한국어|{{{#FFF 한국어}}}]]''' ||미트리다테스 1세 || ||<#FF8C00> '''{{{#FFF 그리스어}}}''' ||Mιθριδάτης || ||<#FF8C00> '''[[영어|{{{#FFF 영어}}}]]''' ||Mithridates I || ||<-2><#FF8C00> '''{{{#FFF 존호}}}''' ||[[바실레프스]] || ||<-2><#FF8C00> '''{{{#FFF 별명}}}''' ||크티스테스(Ctistes) || ||<-2><#FF8C00> '''{{{#FFF 가족}}}''' ||키오스의 미트리다테스 2세(아버지)[br][[아리오바르자네스 1세]](아들) || ||<-2><#FF8C00> '''{{{#FFF 생몰 년도}}}''' ||미상 ~ 기원전 266년 || ||<-2><#FF8C00> '''{{{#FFF 재위 기간}}}''' ||기원전 281년 ~ 기원전 26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폰토스 왕국]]의 초대 군주. [[안티고노스 1세]]에 의해 가족을 잃고 도망자 신세가 되었지만,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 1세가 전사한 틈을 타 세력을 갖추었다. [[리시마코스]]와 [[셀레우코스 1세]]의 전쟁으로 소아시아가 혼란한 틈을 타 폰토스에서 독립하여 15년간 통치했다. == 생애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와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키오스의 [[사트라프]]였던 미트리다테스 2세의 아들이라고 한다. 별명인 크티스테스(Ctistes)는 "창시자"를 의미한다. 아버지 미트리다테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가 페르시아를 침공했을 때 귀순했고, 알렉산드로스3세가 사망한 뒤에도 키오스의 지배자로서 명맥을 유지했다. [[에우메네스]]와 [[안티고노스 1세]]가 아시아의 패권을 놓고 맞붙었을 때 에우메네스를 지지했으나, 에우메네스가 패하자 안티고노스 1세에게 귀순하고 아들 미트리다테스를 인질로 넘겼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그는 동갑이며 안티고노스의 아들인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와 친구가 되었다고 한다. 기원전 302년, 소아시아를 지배하고 있던 [[디아도코이]] [[안티고노스 1세]]는 미트리다테스가 자신의 경쟁자인 [[카산드로스]]와 내통하고 있다고 의심하여 그를 죽여버렸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안티고노스는 어느날 밤 꿈에서 밭에 황금 씨앗을 뿌렸고 나중에 황금을 수확하려고 방문했다. 그러나 황금은 이미 수확되었고, 미트리다테스가 범인이라는 목소리가 들렸다. 안티고노스는 이 꿈을 꾼 뒤 미트리다테스를 죽이기로 마음 먹었다. 하지만 데메트리오스는 미트리다테스에게 이 사실을 알려 안티고노스 1세의 궁정에서 도망치게 했다고 한다. 미트리다테스는 파플라고니아로 도망친 뒤 키미아타 요새를 근거지로 삼은 뒤 그리스인 도시 아마시아를 점거했다. 그는 점차적으로 폰틱 카파도키아 전체, 즉 소아시아의 흑해 연안을 따라 영토를 확장했다. 기원전 301년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 1세가 전사한 뒤 [[리시마코스]]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기원전 281년 리시마코스가 [[셀레우코스 1세]]와 클루페디온 전투를 치르다 전사하면서 소아시아 일대가 혼란해지자, 그는 폰토스 국왕을 칭하고 셀레우코스 1세에 대항하여 비티니아의 도시 헤라클레이아 폰티케와 동맹을 맺었다. 이후 소아시아를 침략한 [[켈트]]족을 물리쳤다. 기원전 266년 사망했고, 아들 [[아리오바르자네스 1세]]가 뒤를 이어 폰토스 왕이 되었다. [[분류:폰토스 국왕]][[분류:기원전 26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