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민사당]]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d, #0070C8)" [[일본/정당|{{{#FFF '''일본의 혁신·보수정당'''}}}]]}}}|| ||<|2> [[일본사회당(1945년)|{{{#173283 일본사회당}}}]] ||<|2> {{{+1 →}}} ||<|2> {{{#ffffff '''민사당'''}}} ||<|2> {{{+1 →}}} || [[신진당|{{{#cf0a2c 신진당}}}]] || ||<-3> {{{#333,#ccc {{{-2 ※ 아래 정보는 해산 당시를 기준으로 함}}}}}} || ||<-3> [[파일:일본 민사당 로고.svg|width=60%]] || ||<-3> {{{+1 {{{#ffffff '''[ruby(民社党,ruby=みんしゃとう)] | 민사당'''}}}}}} || ||<-2><:> '''영문 명칭''' ||Democratic Socailist Party || ||<-2> '''한글 명칭''' ||민사당 || ||<-2> '''창당일''' ||[[1960년]] [[1월 14일]] || ||<-2> '''해산일''' ||[[1994년]] [[12월 9일]] ,,([[신진당]]과 합당),, || ||<-2> '''전신''' ||[include(틀:일본사회당(1945년))] ,,([include(틀:우파사회당)]),, || ||<-2> '''이념''' ||[[사회민주주의]] (우익 사민주의)[br][[반공주의]][* 반공 외에도 자민당보다 외교적 [[친미]]성향이 훨씬 강했다. 또한 [[CIA]]의 비밀리 후원을 받았다. 그래서인지 중일수교당시에는 미국과 중국과의 관계가 호전되었던때인지라 이를 환영하는 논평을 냈다.][br][[일본 내셔널리즘]][* 당대에는 매우 적극적으로 [[일본의 재무장]]을 지지했고, 당시에 온건했던 자민당보다 내셔널리즘 성격이 강했다.][br][[보수주의]][* 보수주의 관련 출처: [[https://books.google.com/books?id=pxGjDwAAQBAJ&dq=Japan+%22conservative+Democratic+Socialist+Party%22&pg=PT126|#]]][* 민사당은 공식적으로 민주사회주의를 내세우는 등 혁신정당이였으나 안보,외교,사회문화 정책에서 혁신정당인 [[일본사회당]]이 아닌 보수정당인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 더 가까워 이쪽으로도 평가받는다.] || ||<-2> '''스펙트럼''' ||[[중도주의|중도]] ~ [[중도좌파]]|| ||<-2>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E0000; border: 1px #FE000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FFF 빨간색 {{{-2 (#FE0000)}}}}}}}}} || ||<-2> '''주소'''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토라노몬 2초메 3-13[br](東京都港区虎ノ門2丁目3-13)|| ||<-2> '''중앙집행위원장''' ||요네자와 타카시 ,,/ 8선 ([[중의원|중]], 33~40대),,|| ||<-2> '''중앙집행부위원장''' ||요시다 유키히사 ,,/ 재선 ([[참의원(일본)|참]], 15~16대),,[br]아베 모토오 ,,/ 3선 ([[중의원|중]], 37~38·40대),,[br]니시무라 쇼조 ,,/ 5선 ([[중의원|중]], 34~38대),,[br]누키야마 에이코 ,,/ 초선 ([[참의원(일본)|참]], 13대),,|| ||<-2> '''집행부서기장''' ||나카노 칸세이 ,,/ 7선 ([[중의원|중]], 34~40대),,|| ||<-2> '''정책조사회장''' ||이토 에이세이 ,,/ 4선 ([[중의원|중]], 37~40대),,|| ||<-2> '''국회대책위원장''' ||아오야마 타카시 ,,/ 5선 ([[중의원|중]], 34~38·40대),, || ||<-2> '''참의원 의원회장''' ||요시다 유키히사 ,,/ 재선 ([[참의원(일본)|참]], 15~16대),,|| ||<-2><:>'''[[일본 참의원|{{{#fe0000 참의원}}}]]'''||{{{#!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0000 1.6%, transparent 1.6%)" {{{#fff 4석[* 지역구 1석, 비례대표 3석] / 252석 (1.6%)}}}}}} || ||<-2><:>'''[[중의원|{{{#fe0000 중의원}}}]]'''||{{{#!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0000 2.9%, transparent 2.9%)" {{{#fff 15석[* 지역구 15석] / 511석 (2.9%)}}}}}} || ||<-2> '''국제 조직''' ||[include(틀: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2> '''후계 정당''' ||[include(틀:신진당)] || ||<#fff><-3> 1994년 12월 9일 기준||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5953949-ml.jpg|width=100%]]}}} || 1959년부터 1994년까지 존속한 일본의 사민주의 정당. 이후 [[일본신당]]과 함께 [[신진당]]으로 합당되었다. == 역사 == 1959년 지방선거와 참의원 선거에서 사회당이 개헌저지선 확보에 실패하여 부진하자 [[우파사회당]] 일부 세력이 [[1960년]]에 탈당해서 만든 정당이었다. 당시에는 '''민주사회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하였다.[* [[1969년]] 11월 당명을 대폭 줄여 민사당이란 이름으로 정식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1960년 중의원 총선과 1962년 참의원 선거에서 잇따라 참패하면서 야당표만 까먹는 정당이라는 욕을 들이먹기도 했다. 다만 1970년대 들어서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세를 어느정도 확보하게 된다. 창당 초기에는 [[민주사회주의]]를 주창했지만 [[1960년대]] 중반 방위산업 관련 노조가 민사당에 가입하면서 특히 외교, 국방정책에서 자민당보다 우파라고 불릴 정도로 우측으로 기울어졌다.[* 참고로 프락치라고 욕을 먹기도 했지만 민사당은 엄연히 '''[[안보투쟁]]에 참여했던 정당'''이었다.] 자위대의 존재와 집단 자위권 행사가 현행 헌법상의 해석으로 가능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창당 당시 [[미국 중앙정보국]]의 개입이 있었다는게 2006년 미 국무부 안건에서 발견되었다. 창당 년도인 59년부터 64년까지 매년 CIA의 7만 5천불 규모의 원조가 있었다고 한다. 이후 좌우의 [[전체주의]]를 배격하겠다는 당의 규약을 [[안드로메다]]로 날려먹고 '''[[칠레]]를 [[살바도르 아옌데#s-5|피바다로 만든]]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를 [[반공주의]]를 국시로 했다는 이유로 옹호했고'''[* 이 때문에 2005년 칠레 대선에서 반 피노체트 투사였던 [[미첼 바첼레트]]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의 [[민사협회]][* 옛 민사당 - [[신진당]] - [[신당우애]] 출신 인사들이 만든 파벌이다.] 출신 인사들이 칠레 대사관에 사과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본인들의 선배 정치인이 했던 잘못을 반성하는 차원에서 한 것.], 심지어는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당시 [[전두환]]에게 [[김대중]]을 석방하지 않으면 북한과 수교협상을 하겠다고 압박을 넣은 [[스즈키 젠코]] 총리를 '''한국의 내정에 간섭한다'''고 비판했으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 당내에서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공명당]]과의 연대를 주장하는 자공민 연대파와 공산당, 자민당 빼고 다 뭉치자는 사공민[* 일본사회당, [[공명당]], 민사당] 연대파가 대립해서 내분이 있었다. 다만 그와 별개로 복지를 중시하는 경제정책과 노조의 영향력 때문에 대도시 지역[* 특히 [[나고야시]]가 있는 [[아이치현]]에서.]에서는 지지율이 그럭저럭 있었던 편이었다. 아이치현 출신 중앙집행위원장(카스가 잇코, 츠카모토 사부로, 오우치 케이고) 재직시에는 자민당, 공명당과의 연대쪽으로 기울어졌고, 반대로 [[간사이]] 출신 중앙집행위원장(사사키 료사쿠, 나가스에 에이이치) 재직시에는 사공민 연대쪽으로 기울어진 것이 특징이다. 어쨌든 그 1970년대 중, 후반에 세가 강해졌고 이를 바탕으로 1980년 중, 참의원 동시선거에서 일본사회당, [[공명당]]과 연합전선[* 1970년대말 사회당이 반자민/비공산 야권연합 정부 수립을 주장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을 짜서 정권교체까지 노렸으나 오히라가 선거운동기간 중에 사망하는 바람에 실패했다. 이후 1983년 중의원 선거에서 38석을 확보해 세를 확보했을 때도 있었지만 [[나카소네 야스히로]] 수상 하에서 세가 약해졌고, 특히 [[리크루트 사건]]에 츠카모토 사부로 민사당 중앙집행위원장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1990년 [[중의원]] 선거에서의 정권교체 실패의 원인이 되었다.[* 이 당시 일본 야당연합[* 일본사회당, '''민사당''', 공명당, 사회민주연합]이 얻은 표 자체는 1983년 중의원 총선때와 비슷한 수준이이었지만 일본사회당으로 표가 쏠리면서 효율적인 표 배분에 실패했다(...)] 그 직후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과 정책적으로 연합을 꾀하기도 했지만 별 이득을 보지 못했고, 1993년 자민당이 과반확보에 실패하자 [[일본사회당(1945년)|일본사회당]], [[공명당]], [[일본신당]], [[신생당]], [[사회민주연합]], [[신당 사키가케]]와 함께 7당 연립정권 [[호소카와 내각]]에 참여했다. 그러나 1994년 신생당, 일본신당과 연합해서 새로 원내 [[교섭단체]]를 만들자 일본사회당과 신당 사키가케가 이에 반발해서 연립정권에서 이탈했고 [[하타 내각]]이 단명으로 끝나면서 다시 야당으로 전락했다. 그리고 1994년 12월에 [[신진당]]에 합류하면서 해산되었다. 여하튼 구 민사당 출신 의원과 민사당을 지지했던 노조 '동맹' 등의 조직은[* 실질적으로 민사당 지지 노총이었던 전일본노동총동맹은 사회당 지지성향의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와 통합을 하여 렌고(연합)이라는 명칭으로 통합되었고, 참의원 선거에서 사회당-민사당-공명당과 별개로 공천을 내기도 했다. 1989년 참의원 선거에서 11석의 당선자를 내면서 선전을 거두기도 했지만 1992년 참의원 선거에서 PKO법을 둘러싼 민사당-공명당과 사회당과의 갈등과 사회당 내의 혼란으로 의석을 얻지못하면서 참패. ] 신진당 해산후 이합집산을 거쳐 대다수가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으로 이적했고, 이는 현재의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나, 일부는 자유연합을 거쳐서 자민당으로 흡수되었다. [[혐한]], [[혐중]] 발언으로 악명이 높은 [[카와무라 타카시]]가 민사당 중앙집행위원장이었던 카스가 잇코의 비서 출신이다. 사실 민사당의 노선 자체로만 본다면 [[노다 요시히코]] 수상 당시의 민주당의 노선과 비슷하다.[* 물론 노다 요시히코는 민사당 출신은 아니다.] == 역대 선거결과 ==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의석 증감은 직전회차 선거 의석 수와의 비교임. ||<|2> '''{{{#ffffff 연도(회차)}}}''' ||<-2><|2> '''{{{#ffffff 후보자}}}''' ||<|2> '''{{{#ffffff 당선자 [증감]}}}''' ||<-2> '''{{{#ffffff 정당투표}}}''' || || '''{{{#ffffff 득표수}}}''' || '''{{{#ffffff 득표율}}}''' ||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60(29회)]] ||<-2> 105 || 17 [{{{#blue,#0000ff ▼23}}}] || 3,464,148 || 8.77% ||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63(30회)]] ||<-2> 59 || 23 [{{{#red,#ff0000 ▲9}}}] || 3,023,302 || 7.37% ||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67(31회)]] ||<-2> 60 || 30 [{{{#red,#ff0000 ▲7}}}] || 3,404,464 || 7.40% ||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69(32회)]] ||<-2> 68 || 31 [{{{#black,#0000ff -}}}] || 3,636,591 || 7.74% ||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72(33회)]] ||<-2> 65 || 19 [{{{#blue,#0000ff ▼10}}}] || 3,660,953 || 6.98% ||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76(34회)]] ||<-2> 51 || 29 [{{{#red,#ff0000 ▲10}}}] || 3,554,076 || 6.28% ||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79(35회)]] ||<-2> 53 || 35 [{{{#red,#ff0000 ▲7}}}] || 3,663,692 || 6.78% ||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80(36회)]] ||<-2> 50 || 32 [{{{#blue,#0000ff ▼4}}}] || 3,896,728 || 6.60% ||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83(37회)]] ||<-2> 54 || 38 [{{{#red,#ff0000 ▲8}}}] || 4,129,908 || 7.27% ||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86(38회)]] ||<-2> 56 || 26 [{{{#blue,#0000ff ▼11}}}] || 3,895,858 || 6.44% ||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0(39회)]] ||<-2> 44 || 14 [{{{#blue,#0000ff ▼11}}}] || 3,178,949 || 4.84% ||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3(40회)]] ||<-2> 28 || 15 [{{{#red,#ff0000 ▲1}}}] || 2,205,682 || 3.52% || ||<-6> ▼ [[신진당|정당 해산 (신진당 창당에 합류)]] || == 여담 == 민사당이 창당되기 13년 전인 [[1947년]]에 같은 [[추축국]]이었던 [[이탈리아]]에서도 [[이탈리아 민주사회당|민사당]]이 창당되었는데, 기존에 있던 [[사회당]][* [[일본사회당(1945년)|일본사회당]],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이탈리아 사회당]]]에서 [[공산당]][* [[일본공산당]], [[이탈리아 공산당]]]과의 협력에 반대하는 당내 우파가 탈당하여 민주사회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했다는 점이 유사했는데, 둘다 [[미국]] [[CIA]]의 공작 결과라는 걸 생각하면 딱히 놀라울 건 없다. == 관련 문서 == * [[민주사회당]] * [[일본사회당(1945년)]] * [[혁신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