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독립유공자, rd1=민영수(1921))] [include(틀:역대 감사원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eded, #ededed 20%, #ededed 80%, #ededed)" '''[[감찰위원장|{{{#000000 대한민국 초대 감찰위원장}}}]][br]{{{#000000 {{{+1 민영수}}}[br]閔泳壽 | Min Young-so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영수.png|width=100%]]}}} || ||<|2> '''출생''' ||[[1901년]] || ||[[충청북도]] [[충주시|충주군]] 엄정면 신만리[* [[http://db.history.go.kr/id/gb_1923_02_24_a31600_0290|#]]][br](現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 ||<|2> '''사망''' ||[[1968년]] [[8월 26일]] (향년 66~67세)||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자택 || ||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 선영 || || '''본관''' ||[[여흥 민씨]][* 소경공파 28세 영(泳) 항렬.] || ||<|2> '''재임기간''' ||초대 [[감찰위원장]] || ||[[1961년]] [[3월 28일]] ~ [[1961년]] [[5월 15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민준호(閔準鎬)[* 초명 민경호(閔京鎬).], 어머니 [[전주 이씨]] || || '''형제자매''' ||형 민영한(閔泳翰)[* 초명 민영우(閔泳禹). 1884년 ~ 1948년 9월 28일.], 민영각(閔泳珏)[* 1887년 ~ 1963년 4월 11일.], 민영희(閔泳熙)[* 1891년 ~ 1963년 3월 30일.] || || '''배우자''' ||[[경주 이씨]][* 1901년생.], [[남양 홍씨]][* 1916년생.] || || '''자녀''' ||아들 민천식(閔天植)[* 1926년 ~ 1991년 9월 16일.], 딸 민명덕(閔明德)[* 1953년생.] || || '''학력''' ||[[경성고등보통학교]] {{{-2 ([[본과]] /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경성법학전문학교]] {{{-2 (졸업 / 2회)}}}[br][[도호쿠제국대학]] {{{-2 ([[학사]])}}} || || '''경력''' ||국회법제위원장[br]초대 감찰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관료. == 생애 == [[1901년]] [[충청북도]] [[충주시|충주군]](현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에서 아버지 민준호(閔準鎬, 1848 ~ 1918. 4. 4)[* 초명 민경호(閔京鎬).]와 어머니 [[전주 이씨]](1864 ~ 1923. 2. 7) 사이의 4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전주 이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이며, 첫째 부인 [[청주 한씨]](1852 ~ 1878. 12. 6)는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하고 요절했다.] 1921년 3월 [[경성고등보통학교]] [[본과]]를 졸업하고[[http://db.history.go.kr/id/gb_1921_05_23_a26330_0140|#]], 1924년 3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경성법학전문학교]]를 2회로 졸업했으며[[http://db.history.go.kr/id/gb_1924_03_29_a34850_0500|#]], [[일본]] [[도호쿠대학|도호쿠제국대학]]을 졸업했다. [[고등문관시험]] 사법과 합격 후 1929년 [[부산지방법원]]에서 사법관 시보로 근무하기 시작하여, 1930년부터 1931년까지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판사, 1932년부터 1934년까지 평양지방법원 판사, 1935년 함흥지방법원 판사 등을 역임하는 등 [[법조인]]으로 활동했다.[[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8&totalCount=8&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B%AF%BC%EC%98%81%EC%88%98&brokerPagingInfo=SnUpYrZZuHIxMzHLMdPQRSiQQRXYVpXXYEFCwEEzMNcReMQRiUVWXn0p0r&selectedTypes=&selectedSujectClass=&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B%AF%BC%EC%98%81%EC%88%98&searchKeywordConjunction=AND|#]] 그러다가 1935년 10월 24일 평양지방법원 검사국에서 [[변호사]] 등록이 허가되었고[[http://db.history.go.kr/id/gb_1935_11_04_a26430_00170|#]], 사무소를 개업하여 활동했다. [[8.15 광복]] 이후 국회 법제위원장으로 활동하다 [[4.19 혁명]] 이후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이 출범하자 초대 [[감사원장|감찰위원장]]이 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장면 내각]]의 정부요인들이 모두 강제로 교체되며 [[1961년]] [[5월 16일]] 감찰위원장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이후 [[1968년]] [[8월 26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https://news.joins.com/article/1171350|당시 기사]] [[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여흥 민씨]][[분류:1901년 출생]][[분류:1968년 사망]][[분류:장면 내각/인사]][[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감사원장]][[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도호쿠대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법학전문대학원]][[분류:고등문관시험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