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1955년 출생]][[분류:나주 김씨]][[분류:보령시 출신 인물]] [[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대법관]] ||<-2> [[대법관|{{{#fff '''前 대한민국 대법관'''}}}]][br]{{{+1 '''민일영'''}}}[br]'''閔日榮 | Min Il Yo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운로드파일_20231114_230001.jpg|width=100%]]}}} || ||<|2> '''출생''' ||[[1955년]] [[4월 15일]] ([age(1955-04-15)]세)|| ||[[경기도]] [[여주군]][br](現 [[경기도]] [[여주시]]) || ||<#005596> {{{#fff '''현직'''}}}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br]방일영문화재단 이사|| ||<|2><#005596> {{{#fff '''재임기간'''}}} ||대법관 {{{-2 ([[이용훈|이용훈 대법원장]] 제청 / [[이명박|이명박 대통령]] 임명)}}} || ||[[2009년]] [[9월 17일]] ~ [[2015년]] [[9월 16일]]|| || '''학력''' ||[[경복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서울대학교]] {{{-2 (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서울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석사]])}}}||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본관은 [[여흥 민씨|여흥]](驪興)[* 늑암공파 31세 영(榮) 항렬. 참고로 늑암공파는 돈녕공파, 공목공파와 함께 대동항렬이 아닌 별도로 제정한 항렬을 쓴다. 그러나 그의 아들들은 늑암공파 32세 광(光) 항렬이 아닌 대동항렬 32세 경(庚) 항렬을 써서 이름이 각각 민경호(閔庚浩), 민경준(閔庚俊, 족보명 민경어閔庚漁)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민일영 아들들 명단.png]]], 호는 우민(又民). 부인 [[밀양 박씨]][*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민일영 족보 내용.png]]] [[박선영(1956)|박선영]]은 [[제18대 국회의원]]([[자유선진당]])을 지냈다. 따라서 [[김진태]] 전 국회의원은 그의 손아래처남, [[정형식(법조인)|정형식]] 판사는 그의 손아래동서가 된다. == 생애 == 1955년 4월 15일 [[경기도]] [[여주시|여주군]](現 [[여주시]])에서 아버지 민승갑(閔承甲, 1924 ~ 2010)과 어머니 [[평산 신씨]](1931 ~ 2019) 사이에서 2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74년 [[경복고등학교]], 1978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74학번)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1983년 [[민법]] 전공으로 [[법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53731|行爲基礎論에 관한 硏究]](행위기초론에 관한 연구).]를 취득했으며, 2004년에는 법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645739|住宅 競賣에 있어서 賃借人 保護에 관한 硏究]](주택 경매에 있어서 임차인 보호에 관한 연구).]를 각각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 1978년 제20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이어 1980년 [[사법연수원]]을 10기로 수료하였다. 1980년부터 1983년까지 [[대한민국 해군|해군]]에서 [[군법무관]]으로 병역을 마친 뒤 1983년 9월부터 판사에 임용돼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민사지방법원]]에 첫 발령을 받았고, 1985년까지 근무했다.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형사지방법원]] 판사를 지냈고, 이 사이 1987년부터 1988년까지 1년간 [[독일]]로 유학해 [[본 대학교]]에서 [[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법]]을 연수했고, 본 지방법원에서 연수를 받기도 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대구고등법원]] 판사,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서울고등법원]] 판사 겸 [[법원행정처]] 송무심의관,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직무대리,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장,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사법연수원]] [[교수]],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대전고등법원]] 부장판사,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2006년 8월 28일부터 2009년 2월 9일 제12대 [[법원도서관]]장, 2009년 2월 9일부터 2009년 9월 6일까지 [[https://cheongju.scourt.go.kr/cheongju/intro/intro_01/chiefcourt_03/index.html|제48대]] [[청주지방법원]]장 등으로 재직했다. 이후 충청북도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지내다가 2009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대한민국 대법원|대법원]] [[대법관]]을 지냈다. 이후 2015년 9월부터 2018년까지 [[사법연수원]] 석좌교수, 2016년 2월 13일부터 2018년 2월 12일까지 [[https://www.peti.go.kr/frmChrm.do;jsessionid=4idIp1CLpT9Xzbb-4l27KAgI.ho_22|제15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장관급)을 지냈다. 2019년부터 [[법무법인(유) 세종|법무법인 세종]]에서 대표[[변호사]]로 근무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1955년 출생]][[분류:경복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여주시 출신 인물]][[분류:여흥 민씨]][[분류:대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