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몽골 국가대후랄의 원내 구성)] ||<-2> [[파일:몽골 민주당 로고(그라데이션).png|width=200&height=200px]] || ||<-2> {{{#fff '''Ардчилсан Нам'''}}} || || '''영문 명칭''' ||Democratic Party|| || '''한글 명칭''' ||민주당|| || '''창당일''' ||[[2000년]] [[12월 6일]]|| || '''중앙당사 소재지''' ||[[울란바토르]]|| || '''당대표''' ||[[할트마깅 바트톨가]][br](Халтмаагийн Баттулга) || || '''사무총장''' ||이시잠칭 뭉흐자르갈[br](Ишжамцийн Мөнхжаргал) || || '''국회의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469e 14.5%, #bbb 14.5%)" {{{#000 '''12석 / 76석 (15.8%)'''}}}}}} || || '''지방의원'''[* [[http://1212.mn/tables.aspx?TBL_ID=DT_NSO_0200_002V1|2020년 지방선거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469e 39.3%, #bbb 39.3%)" {{{#000 '''321석 / 816석 (39.3%)'''}}}}}} || || '''스펙트럼''' ||[[중도우파]] || || '''이념''' ||몽골 [[내셔널리즘]][br][[자유보수주의]][br][[자유주의]] ([[몽골의 자유주의|몽골]])[*A 몽골은 반공독재를 겪었던 한국과 반대로 공산주의 독재를 겪었다. 따라서 민주화 리버럴 세력이 중도좌파 진영을 차지한 한국과 반대로 중도우파 진영을 형성한다.][br][[경제적 자유주의]] || || '''국제 조직''' ||[include(틀:국제민주연합)] || || '''사이트''' ||[[http://www.demparty.m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px]]]] [[https://www.facebook.com/demparty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empartym, 크기=24px)] || [목차] [clearfix] == 개요 == {{{+1 Ардчилсан Нам}}} [[몽골]]의 [[정당]]. 1990년 [[몽골]]의 [[민주화]] 이후 본격적인 정당정치가 활성화됨에 따라 2000년에 창당되었다. 중도우파 정당으로, [[공화당(미국)|미국의 공화당]]과 [[보수당(영국)|영국의 보수당]] 등이 주도하는 국제 보수정당 연합체 '[[국제민주연합]]'의 회원정당이다. 다만 66년가량 [[공산주의]] 독재 국가였던 [[몽골]]의 정치 지형 특성상 자국 내 정치적 스탠스는 범우파임에도 진보 개혁 진영에 속한다.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가 당선되며 오랫동안 우위를 보여온 [[좌파]]의 대표 정당 [[몽골 인민당]]을 제치고 정권교체를 실현하였다. 이후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할트마깅 바트톨가]]를 당선시키면서 정권 재창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거의 내내 [[몽골 인민당|인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던 의회와 사사건건 충돌하였고, 결국 2021년 대통령 선거에서 인민당의 [[오흐나깅 후렐수흐]]에게 패하며 다시 야당으로 밀려났다. == 역사 == 2000년 12월 6일 [[몽골 인민당|몽골 인민혁명당]] 중심의 [[좌파]] [[사회주의]] 진영에 반대하는 리버럴 포함 여타 정당들과의 단일화를 계기로 공식 창당하였다.[*A] 2004년 총선에서 여타 야당들과 단일화해서 선전했고 잠깐 동안 인민혁명당과 연립정권을 구성할 수 있었지만, 2005년 대선에서 단일후보를 내는데 실패하면서 참패, 연립여당 의원도 일부가 빠져나간 탓에 2006년부터 다시 정권을 상실하게 된다. 2008년 총선에서 당시 여당이었던 인민혁명당의 부정선거 논란이 거세지자, 이듬해인 2009년 국민의 지지를 등에 업고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후보가 51.24%를 득표, 재선에 도전한 [[남바링 엥흐바야르]] 대통령을 누르고 당선되면서 집권여당으로 올라섰다. 엘벡도르지는 '''몽골인민혁명당/인민당 당적을 갖지 않았던 최초의 몽골 대통령'''이며, 몽골 최초의 해외 [[유학]]파 출신 대통령이기도 하다. 이 기세를 몰아 경제 성장과 함께 2012년 총선에서 연립정권을 구성하면서 안정적인 정권을 구축하고, 2013년 대통령 선거에서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이 재출마하여 50.23% 득표로 재선되었다. 그러나 이후 포퓰리즘 공약들을 다수 이행하지 않고 연간 GDP도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2013년에서 2016년까지 꾸준히 하락해, 결국 2016년 6월 29일 총선에서는 의회 전체 76석 중 단 9석만 얻으며 참패하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다. 이때의 패배가 매우 치명적이어서 정권 재창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지만, 의회를 장악한 인민당이 내각을 구성한 뒤 긴축정책에 나서자 국민적 반발이 커졌고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결선투표까지 간 끝에 [[할트마깅 바트톨가]] 후보가 50.6%의 득표율로 승리하면서 정권 재창출에 성공했다. 다만 의회는 여전히 인민당 단독 과반 구도인 탓에 여소야대의 [[동거정부]]가 구성되었다. [[2020년]] [[6월 24일]] 총선에서는 역대 최저 득표율인 24.5%를 기록했지만 그래도 2석이 추가된 11석을 확보했다. [[2021년]] [[몽골인민혁명당]]이 인민당과 합당할 때 유일한 의원이었던 생후깅 강바타르가 합당에 참여하지 않고 민주당에 입당하며 의석이 12석이 되었다. 그러나 의회 원내 의석의 단독 과반을 점유한 인민당 내각과의 마찰이 잦아졌고, 결국 인민당 의원들이 밀어붙여 통과시킨 헌법개정안으로 인해 대통령 임기가 4년 연임에서 6년 단임으로 바뀌어 바트톨가 대통령이 재선에 도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찬반 논란 끝에 법원의 판결로 바트톨가 대통령은 결국 재선 출마 자격을 얻지 못했고, 법원의 판결이 부당하다며 그의 재출마를 밀어붙여야 한다는 의견과 그래도 법원 판결을 존중하여 대체자를 후보로 내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나뉘면서 당내 갈등이 격화되었다. 갈등을 겨우 수습하면서, 바트톨가 대통령 대신 서드넘존도잉 에르덴(Содномзундуйн Эрдэнэ) 당대표를 2021년 대통령 선거 후보로 내세웠다. 그러나 에르덴 후보가 6.37%라는 처참한 득표율로 인민당의 [[오흐나깅 후렐수흐]] 후보에게 10배 이상의 격차로 패한 것은 물론이고 의회에 단 1석만 보유한 군소정당 [[인간당|민족노동당]]의 당가수렝깅 엥흐바트 후보에게도 3배 이상의 격차로 패해 낙선하면서 야당으로 전락했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통령 선거 === ||
'''연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2001년 || 라드나숨베렐링 곤칙도르지 || 365,363표 || 37.2% || 낙선 || || 2005년 || 멘드새하니 엥흐새항 || 186,646표 || 20.3% || 낙선 || || 2009년 ||<|2>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 562,718표 || 51.9% || '''{{{#ffffff 당선}}}''' || || 2013년 || 622,794표 || 50.9% || '''{{{#ffffff 당선}}}''' || || 2017년 || '''[[할트마긴 바트톨가]]''' || 611,226표[*결선] || 55.2%[*결선] || '''{{{#ffffff 당선}}}''' || || 2021년 || 서드넘존도잉 에르덴 || 72,832표 || 6.4% || 낙선 || === 국가대회의 선거 === 과반수를 차지한 경우 푸른 바탕으로, 원내 1당이었던 경우 흰 바탕에 푸른 글자로 표시. ||
'''연도''' || '''당수''' || '''의석수''' || '''득표수'''[* 몽골의 경우 한 선거구에서 여러 명의 후보에 투표하는 연기투표제가 실시와 폐지를 반복한 연유로 총선 투표 때마다 총 투표수의 변동이 심하다.] || '''득표율''' || || 2004년 ||<|2>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 34/76석 || 474,977표 || 44.3% || || 2008년 || 28/76석 || 701,641표 || 40.4% || || 2012년 || 너러윙 알탕호약 || '''{{{#14469e 31/76석}}}''' || 399,194표 || 33.3% || || 2016년 || 잔다후깅 엥흐벌드 || 9/76석 || 467,191표 || 33.1% || || 2020년 || 서드넘존도잉 에르덴 || 11/76석 || 978,890표 || 24.5%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민주당, version=199, paragraph=8)] [[분류:2000년 정당]][[분류:몽골의 정당]][[분류:자유보수주의 정당]][[분류:자유주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국제민주연합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