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Edictum Mediolanense [[이탈리아어]]: Editto di Milano [[영어]]: Edict of Milan 밀라노 勅令 [목차] == 개요 == 서기 313년 2월 3일에 발표된 걸로 알려진,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의 그리스도교를 포함한[* 구체적으로 표현된 종교집단은 그리스도인밖에 없고, 다른 종교인은 뭉뚱그려서 표현되었다.] 모든 종교에 대한 관용령. [[디오클레티아누스]] 이래의 박해 시기에 몰수한 교회의 재산 등을 다시 돌려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상세 == 현재까지 전해지는 전문은 [[락탄티우스]]가 저술한 "박해자의 최후(L: De Mortibus Persecutorum)"에 기록된 [[라틴어]]판과 [[에우세비우스]]가 저술한 "교회사(G: Ἐκκλησιαστικὴ ἱστορία / L: Historia Ecclesiastica)"에 기록된 [[그리스어]]판이 있다. 둘 다 기본적인 내용은 같고 일부 세부 서술에 차이가 있다. 그 합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바로 "그리스도인들을 포함한 모든 이들이 전적으로 [[종교의 자유|자유롭게 종교를 택하도록 한다.]]"와 "그리스도인이 몰수당했던 집회 장소들을 무상으로 반환한다."이다. 일반적으로는 이 칙령이 콘스탄티누스 1세가 단독으로 밀라노에서 발표한 것처럼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은 전문에는 콘스탄티누스 1세뿐만 아니라 동방 정황제인 [[리키니우스]]도 같이 언급되고 있다. 왜냐하면 제국 전체에서 시행해야 할 사항이었기 때문에 서방의 정황제에 불과했던 콘스탄티누스 1세 혼자서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당대 그리스도교 교세는 제국의 동방, 특히 팔레스타인과 소아시아를 중심으로 했다. 칙령의 전문이 라틴어판과 그리스어판이 같이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밀라노 칙령이라고 이름이 붙어 있지만 정작 이 칙령이 선포된 곳은 제국 동방 정황제의 수도인 [[니코메디아]]였다. 밀라노에서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회담을 했었고 여기서 그리스도교 공인을 결정한 뒤에 리키니우스가 비티니아의 총독에게 회의 내용을 보내서 칙령으로 공포된 것이다. 그런데 당시에 [[막시미누스 2세]]의 선공으로 시작된 내전 때문인지 니코메디아에서의 반포는 [[6월 13일]]로서, [[2월 3일]]의 합의일보다 많이 늦어졌다. 학자들에게 밀라노 칙령은 [[칙령]](edictum)이라기보다는 [[황제]]의 '친서'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라크란티우스는 리키니우스가 비티니아의 [[총독]]에게 친서를 보내어 그 내용을 공포하게 한 것을 인용한 것으로 여겨지며,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팔레스타인]] 총독에게 보낸 친서에서 전문을 인용했을 것이라고 본다. [[갈레리우스]]가 내린 관용령은 로마법적으로 본다면 황제의 명령에 해당되는 칙령에 해당되지만,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의 경우에는 칙령이 아니라 친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있다. 즉 로마 황제가 권고하는 내용을 보낼 때 쓰던 방식이라는 이야기다. 그런면에서 '밀라노 칙령'의 내용은 다른 황제들이 이전부터 시행해온 제국 내 '종교 관용령'을 재확인하는 연장선상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전문의 내용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있어 유익한'''이라는 언급이 있는데 [[배교]]자로 악명을 떨친 [[율리아누스]] 황제는 이 구절을 근거로 '''밀라노 칙령의 폐기를 선언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차라리 칙령이 아니었다고 했다면 더 법리적으로 타당했을 텐데. 그러나 이미 그리스도교가 널리 퍼진 상황에서 율리아누스의 조치는 제국의 혼란만 더 부채질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밀라노 칙령을 기점으로 그리스도교의 경직화가 일어났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이전까지 비주류였던 그리스도교는 황제의 [[공인#s-1]]을 받으면서 박해를 받지 않게 되었고,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 권력과 부를 얻는 길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그리스도교 신앙은 그 순수한 의미를 잃고 '''그리스도인이 되는 게 하나의 문화이자 관습'''이 되어버렸다는 것이다. 이를 가장 강력하게 비판했던 사람이 근대의 [[개신교]]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였다. 다만 그리스도교가 공인을 넘어 [[국교]]화 된 것은 더 후대인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 때였다. [[분류:고대 로마의 종교]] [[분류:콘스탄티누스 1세]] [[분류:4세기]] [[분류:기독교의 역사]] [[분류:로마법]] [[분류:칙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