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패닉의 음반, rd1=밑(음반))] [목차] == 개요 == 어떤 대상의 [[아래]]쪽. '[[밭]]', '[[팥]]'과 같은 [[ㅌ]] 받침 단어들이 대부분 그렇듯 '[[은]]', '[[을]]' 조사가 붙었을 때 [츤], [츨]로 발음하기 쉬우나[* 이웃 [[일본어]]의 경우 구개음화는 아니나 파찰음화가 일어나 た행의 う단인 [[つ]]가 [t͡s\]로 변해버렸다.][* 이 중 '팥'은 중세에 {파ᇧ}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돛'과 같은 예처럼 애초에 형태소가 {팣}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구개음화]]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튼], [틀]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이다. 단 '-이'와 결합될 때는 [[한국어]]의 [[구개음화|구개(파찰)음화]] 현상 때문에 [미치]로 발음된다. == 용례 == [[아래]]와 마찬가지로 [[남쪽]]을 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람의 밑은 대개 다리 사이를 뜻한다. 사람 몸 전체의 밑은 발바닥이겠지만 관념상 [[다리(신체)|다리]]는 부속품에 속하고 몸통이 사람의 핵심 부위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대개는 여성의 [[음문]]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오랫동안 쪼그리고 일하는 경우 '밑이 빠진다'라고들 하는데 이는 대체로 [[자궁탈출]]을 의미한다. 수학에서는 [[로그(수학)|로그]] [math(\log_a x)]나 [[지수(수학)|지수]] [math(a^x)]에서 [math(a)]를 가리키는 말이다. 영어로는 [[베이스|base]]라고 한다. 이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으로 [[자연로그의 밑]] [math(e)]가 있다. [[기수법]]의 기준이 되는 수를 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020년대 인터넷 유행어로는 'A가 B보다 못하다'라는 의미로 'B밑A' 식의 표현을 쓰곤 한다. 주로 한 글자를 떼어서 쓴다. '메밑호'라고 하면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호)가 [[리오넬 메시]](메)보다 밑이다(못하다)라는 뜻이다. == 복합어 == * 밑바닥 * 밑동 * 밑천 * 밑창 * 밑뿌리 * 밑구멍 * 밑지다 * 밑짝 * 밑자락 * 밑칠 * 밑바탕 * 밑그림 == 기타 == [[일본어]] もと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 관련 문서 == * [[아래]] * [[위]] * [[남쪽]] [[분류:동음이의어]][[분류:순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