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2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아르한겔스크 주 출신 인물]][[분류:러시아의 축구선수]][[분류:PFC CSKA 모스크바/은퇴, 이적]][[분류:FC 우파/현역]][[분류:FC 텍스틸시크 이바노보/은퇴, 이적]] [include(틀:FC 우파/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adimKarpov.jpg|width=100%]]}}} || ||<-2> '''{{{#ffffff FC 우파 No. 62}}}''' || ||<-2> '''{{{#ffd700 바딤 유리예비치 카르포프[br]Вадим Юрьевич Карпов}}}''' || || '''{{{#ffffff 생년월일}}}''' || [[2002년]] [[7월 14일]] ([age(2002-07-14)]세) || || '''{{{#ffffff 국적}}}'''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러시아]] || || '''{{{#ffffff 출신지}}}''' ||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아르한겔스크 주]] [[코틀라스]] || || '''{{{#ffffff 포지션}}}''' || [[센터백]] || || '''{{{#ffffff 신체 조건}}}''' || 190cm, 73kg || || '''{{{#ffffff 주발}}}''' || 오른발 || || '''{{{#ffffff 유소년 클럽}}}''' || [[FC 스메나 상트페테르부르크]] (2009~2010)[br][[DYuSShOR 제니트]] (2010~2017) [br] [[PFC CSKA 모스크바]] (2017~2019) || || '''{{{#ffffff 소속 클럽}}}''' || [[PFC CSKA 모스크바]] (2019~)[br][[FC 텍스틸시크 이바노보]] (2021~2022, 임대)[br][[FC 우파]] (2023~, 임대) || || '''{{{#ffffff 국가 대표}}}'''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U-17]] (2018~) 7경기 || [목차] == 소개 == 러시아의 축구 선수. == 클럽 경력 == === 유년기 === 어렸을때는 아마추어 농구 선수였던 아빠를 따라, 농구를 했었다. 축구도 병행했었으나, 이후 가족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사를 가면서 본격적으로 축구에 매진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에는 스메나 축구 학교에 가서 골키퍼로 있다가, 아버지가 이 결정에 반발하면서 제니트로 스포츠학교로 이적하였다. 15살에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관심도 받았으나, 결국 CSKA 모스크바 유스 팀에 초대를 받아 이적하게 된다. === [[PFC CSKA 모스크바]] === 2018년부터 유스 챔피언십에서 CSKA 소속으로 뛰었다. 2019년 9월 19일에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를 상대로 한 유로파리그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풀타임을 뛰었으며 경고 한장을 받았다. 3일 뒤 [[FC 크라스노다르]]와의 경기에서도 풀 타임 출장을 기록하였다. 이 경기에 출장하면서 17세 70일의 '''역대 최연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수비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빅토르 곤차렌코 감독은 카르포프에 대해서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해 선택을 잘 내리는 선수라고 평가하였다. 2020년 10월 18일에는 디나모 모스크바와의 경기에서 뱌체슬라프 그룰료프와 몸싸움을 벌이다가 코피가 나 16분에 교체되었다. 이후 코뼈가 부러진 것이 확인되었다. 2020년 11월 4일에는 2025년 여름까지 계약을 연장하였다. 이후, 성장세가 더뎌지면서 22-23시즌에는 임대로 데려갈 팀도 구하지 못해 유스리그에서 한 시즌을 통으로 보냈다. 23년 9월 14일, 3부리그의 우파로 임대되었다. == 국가대표 == 2019 유러피언 U-17 챔피언십 예선 스쿼드에 포함되어 경기를 뛰었으나, 정작 본선 스쿼드에는 포함되지 못하였다. == 수상 경력 == [[PFC CSKA 모스크바]](2019~) * [[러시아 컵]] : 2022-23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