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82A1M}}}'''[br]''Barrett M82A1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2a1m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대물 저격소총]]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미 해병대|[[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height=23]]]][br][[2002년]]~현재 || || '''개발''' ||<|2>[[바렛 파이어암즈 매뉴팩처링]] || || '''생산'''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White '''기종'''}}} || || '''원형''' ||[[바렛 M82|M82]] || || '''파생형''' ||M82A3 SASR[br][[M107 LRSR]] || ||<-2> {{{#White '''제원'''}}} || || '''탄약''' ||[[.50 BMG|12.7×99mm NATO]] || || '''급탄''' ||1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단주퇴 반동작용식[br]노리쇠 회전식 || || '''총열길이''' ||736mm || || '''전장''' ||1,447mm || || '''중량''' ||12.9kg || || '''유효사거리''' ||1,8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M82A1M은 [[미군]]의 제식 [[저격소총]]이다. == 상세 == === 역사 === [[파일:m82a1m_usa 0.jpg|width=580]] 1996년 [[미 육군]]은 기존의 [[바렛 M82|M82]] 계열을 대체할 CFSR([[.50 BMG|50구경]] [[저격소총]], Caliber .50 Sniper Rifle) 사업을 실시하여 EDM 암즈 사의 [[CheyTac Intervention|윈드러너(Windrunner) M96]]과의 경합에서 우위를 나타낸 바렛 사의 [[바렛 M90/M95|M95]]를 1999년에 잠정 채택하고 XM107의 시험 제식명을 부여하였다. 하지만 2002년에는 성능 부족을 이유로 들어 그 결정이 번복됨에 따라 동사의 M82A1을 기반으로 하는 M82A1M이 M107의 정식 제식명으로 지정되었는데, 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미 해병대]]에서도 약간의 수정을 가한 동일 기종을 M82A3의 정식 제식명으로 채택하기도 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2a1m_backup-sights.jpg|width=100%]]}}} || || 보조 가늠쇠 및 가늠자 || [[파일:m82a3_usmc 1.jpg|width=580]] 단순히 윗총몸의 상단이 [[피카티니 레일]]로 대체된 점 이외에도 [[미 육군]]의 요구 사항 중 하나였던 경량화에 중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에 여러 부분에서 설계와 소재가 대폭 변경되었으며, 또한 이는 [[.50 BMG#s-4.2|Mk.211 Mod.0]] 다목적 [[고폭탄|고폭]][[소이탄|소이]][[철갑탄|철갑]](HEIAP) 탄약 사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 종류 == || ||
[[파일:m82a1m_sheet 0.jpg|width=100%]] || [[파일:m82a3_sheet 0.jpg|width=100%]] || [[파일:m107_sheet 1.jpg|width=100%]] || || 제식명 || '''M82A1M'''[br]'''XM107''' || '''M82A3''' || '''[[M107 LRSR|M107]]''' || || 운용처 || [[미합중국 육군|USA]] ||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USSOCOM]][br][[미합중국 해병대|USMC]] || USSOCOM[br]USA[br][[미합중국 공군|USAF]][br][[미합중국 해군|USN]][br]USMC[br][[미합중국 해안경비대|USCG]] || || 연도 || 2000년~불명 || 2000년~현재 || 2002년~현재 || || 재고번호 || 1005-01-561-0995 || 1005-01-471-1774 || 1005-01-469-2133 || || [[기계식 조준기|가늠쇠]] || 통합형 || 통합형 || 매립 통합형 || || 가늠자 || 통합형 || 없음 || 통합형 || || 부착대 || [[피카티니 레일|PR]] 저배치형 || PR 고배치형 || PR 저배치형 || === M82A1M === [[파일:xm107_usa 0.jpg|width=580]] 2000년과 2001년 사이에 XM107 LRSR(장거리 [[저격소총]], Long Range Sniper Rifle)의 시험 제식명으로 [[미 육군]]에 채택된 초기형으로, 윗총몸에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되는 동시에 단각대(Monopod) 부착대가 [[개머리판]]에 추가되거나 본체 중량이 기존의 [[바렛 M82|M82A1]]과 비교하여 약 1.1kg이 감소하였다. === M82A3 SASR === [[파일:m82a3_usmc 0.jpg|width=580]] M82A1의 또다른 주 운용처였던 [[미 해병대]]에 M82A3 SASR(특수임무용 저격소총, Special Applications Scoped Rifle)의 정식 제식명으로 별도 채택된 양산형으로, 전고가 낮은 M8541 [[망원조준경]] 부착대 때문에 높게 배치된 윗총몸의 [[피카티니 레일]]과 제거된 [[기계식 조준기|가늠자]] 등을 제외하면 M82A1M과 동일하다. === [[M107 LRSR]] === [[파일:m107_usmc 0.jpg|width=580]] 2003년에 M107의 정식 제식명 획득과 생산 승인이 이루어진 다음 2005년부터 [[미군]] 전체에 조달된 양산형으로, 제원 상의 특징이 원형인 M82A1M과 다를 바 없지만 보다 연장된 윗총몸의 [[피카티니 레일]]과 간략해진 매립형 [[기계식 조준기|가늠쇠]] 등의 소소한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다.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s://en.wikipedia.org/wiki/Barrett_M82]]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107-program.htm]] * [[http://olive-drab.com/od_other_firearms_rifle_m82.php]] * [[http://www.imfdb.org/wiki/Barrett_M82#Barrett_M82A1M]] * [[http://firearmsworld.net/usa/barrett/m82/m82a1m.htm]] === [[PDF]] === * [[http://www.thedonovan.com/archives/guns/New%20Equip%20slides[A].pdf]] == 등장매체 == * [[바렛 M82/대중매체]] 문서에 M82A1M, M107 등 전반적인 M82 계열 모델들이 혼재되어 기술되어 있으므로 참고 바람. === [[영화]] === * [[더블 타겟(영화)|더블 타겟(2007)]] - 밥 리 스웨거([[마크 월버그]] 분)가 적 헬기를 향해 M82A1M를 사용하는데, 주변의 먼지로 인해 발생한 오작동 때문에 장전 손잡이를 일일이 잡아당기면서 장전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 [[허트 로커|허트 로커(2009)]] - [[민간군사기업]] 소속의 용병([[레이프 파인스]] 분)이 반군 저격수를 상대로 M82A1M을 사용하지만, 오히려 역저격을 당해 사망하자 근처에 있던 [[미 육군]] 소속의 샌본([[앤서니 매키]] 분)이 이를 물려받아 사용한다. * [[다이 하드: 굿 데이 투 다이|다이 하드: 굿 데이 투 다이(2013)]] - 유리(세바스티안 코치 분)를 엄호하는 저격수가 M82A1M을 사용한다. * [[어카운턴트|어카운턴트(2016)]] - 크리스찬 울프([[벤 애플렉]] 분)이 M82A1M을 훈련과 실전에서 사용한다. === [[게임]] === * [[ARMA 2#s-2|ArmA 2: 오퍼레이션 애로우헤드]] - M82A1M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M107 명칭으로 등장한다. * [[AVA/기타 아이템#s-1.6|AVA]] - M82A1M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M82A3 명칭으로 등장한다. * [[배터리(온라인게임)|배터리]] - M82A1M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M82A1 명칭으로 등장한다. * [[서바리움]] - M82A1M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M82 명칭으로 등장한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 * [[소녀종말여행]] - 27화(애니메이션 10화)에서 물구덩이 근처에 버려진 채로 등장한다. == 관련 문서 == * [[Barrett Firearms Manufacturing]] * [[바렛 M82|M82]] * [[M107 LRSR]]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칠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물 저격소총]][[분류:반자동 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바렛(총기회사)]][[분류:200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