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Barox-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4>'''바록스'''|| || 일어판 명칭 ||<-4>'''バロックス'''|| || 영어판 명칭 ||<-4>'''Barox'''||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어둠 || 악마족 || 1800 || 2000[* 문고판에서는 2200.] ||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플레이어 킬러|어둠의 플레이어 킬러]]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암흑의 성]]에 의해 발생한 어둠 속에 모습을 숨겨 [[엘프 검사]], [[요새를 지키는 익룡]]을 차례차례로 격파했다. 이후 [[빛의 봉인검]]에 의해 어둠이 걷히자 다른 몬스터들과 함께 수비로 버티다가, [[중강갑 거북]]에 의해 격추된 [[암흑의 성]]에 깔리며 전멸해버렸다. 공격명은 '다크 앱솔루트(ダーク・アブソリュー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유우키 쥬다이]]vs[[암흑계의 광왕 브론]]의 듀얼을 관전하는 모습으로 등장. === 반다이판 === [[파일:Barox-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바록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バロックス'''|| || 영어판 명칭 ||<-3>'''Barox'''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악마족 || 1800 || 2000 || ||<-5>짐승같은 갈퀴발톱으로 적을 베어가른다!|| ||<-5>'''~룰 ⑨~'''[br]최후에 쓰러진 카드의 레벨 수를 합계하여, 많은 쪽이 이긴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Barox-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바록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バロックス'''|| || 영어판 명칭 ||<-4>'''Barox'''||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6.] || 숲마족 || 악마족 || 1380[*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는 1800.] || 1530[*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는 2000.] || ||<-5>암흑 속을 날아다니며, 털이 무성한 긴 팔로 때려댄다.|| DM1에서부터 등장. 악마족 중에서는 드물게도 숲마족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는 원작을 반영하여 공격력 1800 / 수비력 2000으로 바뀌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591_1.jpg]] || 한글판 명칭 ||<-4>'''바록스''' (미발매)|| || 일어판 명칭 ||<-4>'''バロックス'''|| || 영어판 명칭 ||<-4>'''Barox'''|| ||<-5> [[융합 소환|융합]]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악마족]] || 1380 || 1530 || ||<-5>"[[킬러 팬더]]" + "[[가고일(유희왕)|가고일]]"|| 원작과는 달리 융합 몬스터로 변경된 카드 중 하나. 원작의 [[암흑의 성]]의 공수 상승 효과가 적용된 수치가 그대로 OCG에 반영되는 바람에 괴기스러운 능력치가 되어버렸다.[* 공격력: 1380*1.3=1794≒1800, 수비력: 1530*1.3=1989≒2000] 능력치 자체는 괴기스럽다는 점 말고는 전혀 쓸 구석이 없다. 초창기 몬스터이기 때문에 아무런 효과도 지니고 있지 않으며, 이는 융합 소재인 킬러 팬더와 가고일도 마찬가지. 따라서 [[인스턴트 퓨전]]으로 융합 소환하는 것이 기본이 되겠다. 어둠 속성 인스턴트 퓨전 셔틀은 [[나이트메어를 쫓는 사령]]이 있으니 상관 없지만, 악마족 중에서 레벨 5 이하의 융합 몬스터는 초메이저 종족답지 않게 단 세 장에 불과하다. 그 중 위에 언급되지 않은 나머지 한 장인 [[마인 다크 벌터]]는 효과에 제약이 걸려있어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손쉬운 싱크로 소환 수단인 인스턴트 퓨전을 이용해서, 튜너 이외의 몬스터로 악마족을 요구하는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이나 [[천형왕 블랙 하이랜더]]라는 두 강력한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려면 이 카드의 투입이 필수적인 것. ~~하지만 얘도 [[구신 노덴|컵라면의 신]]이 [[리미트 레귤레이션|먼 곳]]으로 떠나기 전 까지는 암흑기였다.~~ 이 때문에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이 카드를 구하고자 노력했으나 이 카드는 초고대에 발매되었고 그 뒤로는 한 번도 복각이 된 적이 없었다. 이 때문인지 미국에서는 아스트랄 팩 2에서 이 카드를 수록했으나, 여전히 한국에서는 발매가 전혀 안 되어서 그림의 떡인 상황. ~~이 카드가 구하기 쉬워서 원 헌드레드를 소환하기 편했다면 [[인페르니티]]는 연구가 덜 되어서 악랄한 싱크로 소환 콤보가 안 나왔을지도 모른다~~ 문제는 이후 인스턴트 퓨전에 대응하는 몬스터 중 종족 / 속성 / 레벨이 겹치는데다 자체 부활 효과가 있는 [[데스완구#데스완구 체인 시프|데스완구 체인 시프]]가 등장했다는 것. [[다이가스타 에메랄]]로 소생하기에도 능력치가 너무 어중간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3]] || -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Astral Pack Two || AP02-EN01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융합 소재 몬스터 == === [[킬러 팬더]] === === [[가고일(유희왕)|가고일]] === [[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