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바바라 차르}}}[br]Barbara Csa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rbara Csar.jpg|width=100%]]}}} || || '''출생''' ||[[1982년]] [[12월 24일]] ([age(1982-12-24)]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직업''' ||[[펜싱|펜싱 심판]]||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 출신인 심판으로, [[2012 런던 올림픽]]의 여자 펜싱 에페 개인전에서 주심을 맡았다. == 비판 ==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신아람]]에게 편파판정을 내린 악명이 높은 인물이다.[* 런던 올림픽 이전에 국제대회에서도 신아람에게 불리한 판정을 여러 번 내린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일명 [[2012 런던 올림픽/사건사고#s-6.2|1초 오심]]. 신아람의 판정을 부당하다고 주장한 심재성 코치의 항의를 묵살[* 심재성 코치는 프랑스 유학을 다녀왔기 때문에 프랑스어가 유창하고 영어와 독일어도 무리없이 하는 수준인 4개국어 능력자이다. 심지어 중계진들도 이를 언급하였다. 따라서 소통이 안되었을리가 없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들은 대놓고 묵살하는 장면이라고 TV로 똑똑히 볼 수 있었다.]하고, [[개소리|본인의 판정이 정당하다]]고 고수했다. 그녀의 판정을 분노한 대한민국 네티즌에게 [[평생까임권|자신의 전화번호와 이메일이 인터넷으로 공개되는]] 동시에 독일의 하이데만과 함께 '''[[마녀사냥|마녀]]''' 취급을 받아 본인의 인스타그램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비공개로 전환해도 신아람 선수한테 사과할 때까지 깊숙히 그녀를 파고들 것이다. == 관련 문서 == * '''[[2012 런던 올림픽/사건사고]]'''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 남자 1000m 준결승전 한정으로 '''바바라 차르가 일으킨 편파판정 급으로''' 발생했다. * '''[[오심 및 편파판정/사례]]''' * [[신아람]] * [[브리타 하이데만]] * '''[[피터 워스]]''':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 선수에게 '''[[편파판정|불리한 판정]]을 내리는 걸로 악명이 높다.'''[* 아이러니하게도 두 사람의 편파판정을 피해를 입은 선수인 [[신아람]]과 [[황대헌]], [[이준서(쇼트트랙)|이준서]]가 '''한국체육대학교''' 출신이었고, 그들의 수혜를 브리타 하이데만과 [[런쯔웨이]]는 첫 올림픽 때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한 적이 있었다. 다만 바바라 차르는 대한민국 선수에게'''만''' 편파판정을 내렸지만, 워스는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 선수들에게 실격을 주고, 개최국 선수들에게는 유리한 판정을 내렸다.] * '''[[제임스 휴이시]]''': 바바라 차르처럼 대한민국 선수에게'''만''' 편파판정을 내린 걸로 악명 높다.[* 아이러니하게도 가해 선수 [[아폴로 안톤 오노]]와 [[브리타 하이데만]]도 바바라 차르처럼 '''1982년생'''이였다.] * [[오라시오 엘리손도]]: 2006 독일월드컵 대한민국 vs. 스위스전에서 대한민국의 두 번째 실점의 빌미가 된 논란의 판정으로 악명이 높다. * '''[[앤서니 테일러]]''':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대한민국 vs 가나전에서 대한민국이 경기 종료 직전 코너킥 찬스를 한 번 더 얻을 수 있었으나 '''그대로 경기를 끝내버린 것도 모자라 [[파울루 벤투]] 감독을 퇴장시켰다.''' [[평생까임권|결국 공공의 적이 되어 분노한 대한민국 네티즌들이 그의 인스타에 들어와 온갖 영어로 이루어진 욕설을 했다]].[* 예를 들면 🐙🐙🐙 등.] [각주] [[분류:1982년 출생]][[분류:오스트리아의 인물]][[분류:스포츠 심판]][[분류:2012년/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