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레타 거윅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deepskyblue, skyblue, lightcyan)" '''{{{+1 {{{#!html 바비}}}}}}''' (2023)[br]{{{#!html Barbie}}}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바비_국내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바비_공식 포스터.png|width=100%]]}}}}}} || || '''장르''' ||[[모험]], [[판타지]],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 || '''감독''' ||[[그레타 거윅]] || || '''각본''' ||[[노아 바움백]][br][[그레타 거윅]] || || '''원작''' ||[[마텔]]의 [[바비(마텔)|바비]] || || '''제작''' ||[[마고 로비]][br]톰 에커레이[br]로비 브레너[br]데이비드 헤이먼[br]조시 맥나마라 || || '''주연''' ||[[마고 로비]][br][[라이언 고슬링]] || || '''촬영''' ||로드리고 프리에토[* 〈[[색, 계]]〉,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아이리시맨]]〉 등을 촬영했다.] || || '''편집''' ||닉 호이 || || '''음악''' ||[[마크 론슨]][br]앤드류 와이엇 || || '''미술''' ||사라 그린우드 || || '''의상''' ||재클린 듀런 || || '''촬영 기간''' ||[[2022년]] [[3월]] ~ [[2022년]] [[7월]][* 2023년 4월 17일에 [[로스앤젤레스]]에서 재촬영이 진행되었다.]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https://en.wikipedia.org/wiki/LuckyChap_Entertainment| {{{#373a3c,#dddddd 럭키챕 엔터테인먼트}}}]][* [[마고 로비]] 부부의 제작사.][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마텔|{{{#373a3c,#dddddd 마텔 필름스}}}]][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https://ko.wikipedia.org/wiki/헤이데이_필름스| {{{#373a3c,#dddddd 헤이데이 필름스}}}]]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워너 브라더스 가로 로고.png|width=1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3년]] [[7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7월 19일]] || || '''화면비''' ||2.00:1 || || '''상영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theme=light]][[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width=20&theme=dark]]]]|[[Dolby Cinema|[[파일:Dolby Cinema 로고.svg|width=110&theme=light]][[파일:Dolby Cinema 로고 화이트.svg|width=110&theme=dark]]]] | [[파일:수퍼플렉스.jpg|width=100]] | [[파일:컬러리움.jpg|width=80]] | [[파일:수퍼S.jpg|width=60]] || || '''상영 시간''' ||114분 (1시간 53분 54초) || || '''제작비''' ||'''1억 4,500만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2023년]] [[7월 19일]] [[https://www.kobis.or.kr|기준]])^^ || || '''스트리밍''' ||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site_code=&category_code=ORS&category_code2=MV&category_code3=&grade_name=12%EC%84%B8%EC%9D%B4%EC%83%81%EA%B4%80%EB%9E%8C%EA%B0%80&rcv_no=2388945&return_url=&searchKeyword=%EB%B0%94%EB%B9%84|등급분류 결정내용]]: 희롱하는 대사 및 비속어 등을 낮은 빈도로 가벼운 수준에서 사용하고 있어 대사의 유해성이 보통인 12세이상관람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대사_2021.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13 로고.svg|height=20]]]][*사유 암시적인 언급, 간단한 언어.] || || '''링크''' ||[[https://www.warnerbros.com/movies/barbie|[[파일:워너 브라더스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barbie-themovi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BarbieTheMovi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barbiethemovie|[[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5]]]] | [[https://instagram.com/barbiethemov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tiktok.com/@barbiethemovie|[[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barbiethealbum.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BarbieTheAlbu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barbiethealbum|[[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5]]]] | [[https://instagram.com/barbiethealb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tiktok.com/@barbiethealbum|[[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사운드트랙^^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barbieland.gif|width=100%]]}}} || || {{{#fcf0f0 {{{-1 '''She's everything. He's just Ken.''' '''바비는 무엇이든 될 수 있어. 켄은 그냥 켄.'''}}}}}} ---- {{{#!wiki style="margin:4px" {{{-2 [[캐치프레이즈|{{{#fcf0f0 캐치프레이즈}}}]]}}}}}} || [[마텔]]의 장난감 [[바비(마텔)|바비]]를 기반으로 제작된 실사 영화. 바비랜드에 살고 있는 바비와 켄이 현실 세계로 가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그렸다. ==# 개봉 전 정보 #== * [[컬럼비아 픽처스]]가 제작하고, [[앤 해서웨이]]가 출연할 예정이었다가 판권이 [[워너 브라더스]]에 넘어가고 [[마고 로비]]가 [[https://variety.com/2019/film/news/warner-bros-closes-deal-with-matell-barbie-margot-robbie-1203102234/|마텔과 함께 제작에도 참여한다.]] * 원래는 2020년 5월 8일에 개봉하려다가, 코로나 팬데믹을 비롯한 여러 사정으로 인해 2023년 7월로 늦춰졌다. * [[그레타 거윅]]이 감독과 각본을 맡는다. [[https://variety.com/2021/film/news/greta-gerwig-barbie-movie-director-margot-robbie-noah-baumbach-1235015427/|#]] * [[라이언 고슬링]]이 바비의 남자친구 켄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https://deadline.com/2021/10/ryan-gosling-ken-warner-bros-barbie-margot-robbie-1234858848/|#]] * 스콧 에반스, [[코너 스윈델스]], [[에메랄드 페넬]], [[슈티 가트와]], 킹슬리 벤-아디어 등이 캐스팅되었다. [[https://deadline.com/2022/04/barbie-kingsley-ben-adir-rhea-perlman-emerald-fennell-scott-evans-others-rounding-out-cast-of-warner-bros-mattel-and-luckychap-pic-1235002559/|#]] * 2022 시네마콘에서 첫 스틸이 공개되었다. [[https://www.instagram.com/p/Cc1TpudpJs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아쿠아(밴드)|아쿠아]]의 노래 '[[Barbie Girl]]'이 '''나오지 않는다'''. [[https://variety.com/2022/film/news/barbie-girl-movie-aqua-1235254222/|#]] 하지만 그 곡을 [[샘플링]]한 노래가 사운드트랙으로 영화에 삽입될 예정. 그리고 그 곡은 [[니키 미나즈]]와 [[Ice Spice|아이스 스파이스]]가 맡은 Barbie World였다. * 테스트 스크리닝 후기에 따르면 성적 농담과 욕설이 나와서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s-1|PG-13]] 등급을 받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두 번째 테스트 스크리닝 때에 PG 등급과 PG-13 등급의 두 가지 판본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PG 등급을 받을 가능성도 있었다. 결국 최종적으로 등급은 PG-13으로 정해졌다. * 개봉을 한 달여 앞둔 2023년 6월 17일, 촬영장을 공개했다. [[https://youtu.be/uKgaVlMN7I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바비랜드는 CG가 아닌 실제로 제작한 거대한 세트장으로, 주인공인 마고 로비가 바비의 집을 소개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_공식 포스터.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_북미 스페셜 포스터.jpg|width=100%]]}}} || || '''티저 포스터''' || '''스페셜 포스터''' ||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국내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_국내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_스페셜 포스터(개봉일).jpg|width=100%]]}}} || || '''티저 포스터''' || '''스페셜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마고 로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라이언 고슬링.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아메리카 페레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케이트 맥키넌.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이사 레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하리 네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알렉산드라 쉽.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엠마 맥키.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코너 스윈델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마이클 세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헬렌 미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샤론 루니.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킹슬리 벤 아디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시무리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아리아나 그린블랫.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스콧 에반스.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제이미 드메트리요.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두아 리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슈티 가트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니콜라 코클란.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에메랄드 페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아나 크루즈 케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윌 페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바비 리투 아리야.jpg|width=100%]]}}} || ||<-4> '''캐릭터 포스터''' || ||<-4><^|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국내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마고 로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라이언 고슬링).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아메리카 페레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케이트 맥키넌).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바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글로리아'''}}}}}} || {{{#!wiki style="margin: -3px -10px;" {{{-3 '''다리를 찢고 있는 바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이사 레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하리 네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알렉산드라 쉽).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엠마 맥키).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대통령 바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의사 바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유명 작가 바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물리학자 바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코너 스윈델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마이클 세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헬렌 미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샤론 루니).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인턴'''}}}}}}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앨런'''}}}}}}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내레이터'''}}}}}}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변호사 바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킹슬리 벤 아디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시무 리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아리아나 그린블랫).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스콧 에반스).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사샤'''}}}}}}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제이미 드메트리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두아 리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슈티 가트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니컬라 코클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정장 입은 사람'''}}}}}}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인어 바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외교관 바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에메랄드 페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아나 크루즈 케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윌 페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캐릭터 포스터(리투 아리야).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미지'''}}}}}}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대법관 바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마텔의 CEO'''}}}}}}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기자 바비'''}}}}}} || ||<-4> '''캐릭터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북미 돌비 시네마 포스터.jpg|width=100%]]}}} || || '''Dolby Cinema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A785mzQlWg)]}}}|| || '''1차 예고편'''[*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초반부를 패러디했다. [[헬렌 미렌]]이 내레이션을 담당했으며, 보다시피 제법 약빨은 센스를 자랑한다.][br]'''{{{#fcf0f0 {{{-1 엔딩 음악: [[두아 리파|{{{#fcf0f0 Dua Lipa}}}]] - [[https://youtu.be/Z1yDjhXIDSc|{{{#fcf0f0 Dance The Night}}}]]}}}}}}'''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AK7PLJul9c)]}}}|| || '''2차 예고편'''[br]'''{{{#fcf0f0 {{{-1 BGM: [[비치 보이스|{{{#fcf0f0 The Beach Boys}}}]] - [[https://youtu.be/VF_o-N0fhZ0|{{{#fcf0f0 Fun, Fun, Fun}}}]]}}}}}}'''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FaRndNm3dE)]}}}|| || '''메인 예고편'''[br]'''{{{#fcf0f0 {{{-1 BGM: Cass Elliot - [[https://youtu.be/iQ7dTMPwUi8|{{{#fcf0f0 Make Your Own Kind Of Music}}}]]}}}}}}''' || ===# 기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3BBs58qiSw)]}}}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3zixGltO6Q)]}}} || || '''내한 예고 영상''' || '''바비, 본격 현실 세계 적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zUxdl4axzc)]}}}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D10ymRXjC4)]}}} || || '''핑카 현장 다이어리''' || '''바비랜드 투어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5p0ei0_Zzns)]}}}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XvZ8eaz_Aw)]}}} || || '''솔루션 to 바비''' || '''라이언 고슬링 'Just Ken' MV''' || == 시놉시스 == ||
{{{#!wiki style="margin:+5px; margin-top:+5px; margin-bottom:+5px" [[파일:바비(영화)_한글 로고.png|width=150]] 원하는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바비랜드'에서 살아가던 '바비'가 현실 세계와 이어진 포털의 균열을 발견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켄'과 예기치 못한 여정을 떠나면서 펼쳐지는 이야기[br]}}} || == 등장인물 == * [[마고 로비]] - [[바비(마텔)|바비]] * [[케이트 맥키넌]] - 다리를 찢고 있는 바비[* 아이들이 험하게 다뤄서 망가진 바비를 의미한다. 마구잡이로 잘린 머리카락, 얼굴의 낙서, 괴상한 옷차림 등 외부적인 특징으로 알 수 있다. 실제로 어린 아이들이 바비와 같은 관절인형의 다리를 이유 없이 찢어놓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생각하면 재미있는 부분.] * 이사 레이 - 대통령 바비 * 하리 네프 - 의사 바비 * [[알렉산드라 쉽]] - 유명 작가 바비 * [[엠마 맥키]] - 물리학자 바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이다.] * 샤론 루니 - 변호사 바비 * [[두아 리파]] - 인어 바비 * 니컬라 코클런 - 외교관 바비 * 아나 크루스 케인 - 대법관 바비 * 리투 아리아 - 기자 바비[* [[퓰리처상]] 수상자이다.] * [[라이언 고슬링]] - 켄 * [[킹슬리 벤아디르]] - 켄 * [[시무 리우]] - 켄[* 녹색 나시티를 입고 있는데 상반신 한정으로 묘하게 [[신기동전기 건담 W]]의 [[히이로 유이]]와 닮아 건담 W 실사판(?) 합성짤도 있다.] * 스콧 에반스[* [[크리스 에반스]]의 동생.] - 켄 * [[슈티 가트와]] - 켄 * [[존 시나]] - 인어 켄 * [[아메리카 페레라]] - 글로리아 * 리아 펄먼 * [[마이클 세라]] - 앨런[* 켄과 달리 유일무이하다.] * [[헬렌 미렌]] - 내레이터 * [[아리아나 그린블랫]] - 사샤 * [[에메랄드 페넬]] - 미지 * [[코너 스윈델스]] - 에런 딩킨스 * [[윌 페럴]] - [[마텔]] CEO * 제이미 디미트리우 - 마텔 직원 * [[올리비아 콜먼]] - 올리비아 콜먼 == 설정 == * '''바비랜드 (Barbie Land)''' 바비, 켄, 앨런 등의 인형들이 살고 있는 세계. 트레일러의 장면으로 보아 영화 진행중 켄돔(Kendom)[* 켄의 이름에 [[왕국|킹덤]] 혹은 [[콘돔]]을 합성한 것으로 보인다.]으로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 == 줄거리 == == [[바비(영화)/사운드트랙|사운드트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비(영화)/사운드트랙)]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barbie, 메타크리틱_critic=81, 메타크리틱_user=, 로튼토마토=barbie, 로튼토마토_tomato=88, 로튼토마토_popcorn=, IMDb=tt1517268, IMDb_user=, IMDb_list=, IMDb_rank=, IMDb_date=, 레터박스=barbie, 레터박스_user=,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레터박스_date=, 알로시네=173087,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MYmoviesit=2023/barbie,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키노포이스크=478052, 키노포이스크_user=, 야후재팬영화=388449, 야후재팬영화_user=, Filmarks=63841, Filmarks_user=, 엠타임=4058939, 엠타임_user=, ## 도우반=, 도우반_user=,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왓챠=, 왓챠_user=, 키노라이츠=78101,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네이버영화=189360, 네이버영화_audience=, 다음영화=114335, 다음영화_user=, CGV=87193, CGV_egg=, 롯데시네마=20051, 롯데시네마_user=, 메가박스=23049400, 메가박스_user=, ## MRQE=, MRQE_user=, ## 시네마스코어=, TMDB=346698-barbie, TMDB_user=, 무비파일럿=barbie, 무비파일럿_user=, ## RogeEbetcom=, RogeEbetcom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2023년 2월 9일, 뉴저지에서 스크린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고 한다. [[https://www.worldofreel.com/blog/c0mkptl7t9ft1t2c6ychjxwixkzfo4?fbclid=IwAR2mzR50HKxvppwYv0S8hzdoUAQvDJmHlZ0sX-A-dX-_TBQhvPdl2B_oLkM|#]] 재촬영 이후 2023년 4월 30일 로스앤젤레스를 포함한 몇몇 도시에서 스크린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이번에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한다. [[https://www.worldofreel.com/blog/2023/5/lo3towa3m93mj45kpa5pjampjv4zwx|#]] 2023년 7월 10일 LA에서 진행된 월드 프리미어에서도 대부분의 사람들로부터 정말 즐겁고 아름다우며, 때로는 매우 깊은 작품으로 후에 컬트 클래식이 될만하다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특히 [[라이언 고슬링]]의 연기에 대한 호평이 많다. [[https://www.thisweekmedia.net/news/barbie-reactions-praise-pitch-perfect-script|#]] 엠바고가 풀린 뒤 초기 로튼 토마토 평가 '''93%''', 메타스코어 83/100을 기록하며 [[그레타 거윅]] 감독의 전작들에 이어 상당한 호평을 기록 중이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517268|{{{#fcf0f0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 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fcf0f0 북미}}}]]''' || [[2023년]] [[7월 21일]] || '''개봉 예정''' || 개봉 예정 || || '''[[중국|{{{#fcf0f0 중국}}}]]''' || [[2023년]] [[7월 21일]] || '''개봉 예정''' || 개봉 예정 || || [[대한민국|{{{#fcf0f0 대한민국}}}]] || [[2023년]] [[7월 19일]] || 개봉 예정 || 개봉 예정 || [[https://www.nytimes.com/2023/07/11/magazine/greta-gerwig-barbie.html|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순제작비는 1억 4,500만 달러로, 손익분기점은 약 '''3억 6,250만 달러'''로 추정된다.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fcf0f0 '''주차'''}}} || {{{#fcf0f0 '''날짜'''}}} || {{{#fcf0f0 '''일일 관람 인원'''}}} || {{{#fcf0f0 '''주간 합계 인원'''}}} || {{{#fcf0f0 '''순위'''}}} || {{{#fcf0f0 '''일일 매출액'''}}} || {{{#fcf0f0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23-07-19.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7-20.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7-21.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7-22.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7-23.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7-24.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7-25.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23-07-26.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7-27.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7-28.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7-29.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7-30.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7-31.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8-01.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23-08-02.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8-03.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8-04.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8-05.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8-06.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8-07.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8-08.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23-08-09.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8-10.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8-11.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8-12.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8-13.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8-14.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8-15.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개봉 전 * 개봉 전주에는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이 개봉하며, 개봉 다음주에는 류승완 감독의 기대작 〈[[밀수(영화)|밀수]]〉가 개봉하는 만큼 쉽지 않은 경쟁이 예상되며, 같은 주 개봉 경쟁작으로는 다음 날 개봉하는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이 꼽히는 상황이다.[* 물론 할리우드 영화인 본작이 상영관 확보에 더 유리할 수도 있겠지만, 흑철의 어영이 자국인 일본에서 100억엔을 넘어서는 역대급 흥행을 하기도 했고, 한국에서도 [[더 퍼스트 슬램덩크]]와 [[스즈메의 문단속]]의 대흥행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거부감이 낮아진 데다가 그 전에도 꾸준히 몇십만의 관객들을 모으던 프랜차이즈인 만큼 강력한 경쟁작이 될 수 있다.] 관객층이 겹치는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은 4주 연속 역주행을 했고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이 개봉했는데도 낙폭이 크지 않아서 장기 흥행 기세로 가고 있기 때문에, 첫째 주에 관객을 모으지 못하면 여성 관객층이 엘리멘탈으로 편중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주말이 끝난 개봉 주 월요일인 7월 17일 0시 기준 예매량이 약 2만 5천장으로 당초 동주 개봉 경쟁작으로 꼽혔던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의 절반 정도에 그쳤다. 북미에서의 폭발적인 반응에 비하면 비교적 아쉬운 예매율인데, 국내는 바비 인형의 인지도가 비교적 낮고 관객들의 정서도 예고편의 분위기와 잘 맞지 않아 초기 반응이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예매 관객이 대체로 [[오리지널 티켓]]을 지급하는 [[메가박스]]에 편중되어 있고, 점유율 1위 기업인 [[CGV]]는 흑철의 어영 예매를 빠르게 풀면서 바비는 예매율 5~6위 선에 머물러 있으며 [[롯데시네마]]도 메가박스 수준으로 둘의 편차가 벌어진 상황은 아니다.] * 1주 차 *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약 61,500명의 예매 관객으로 12.1%의 예매율을 기록하며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밀수〉에 이어 예매율 4위에 자리하였다. === [[북미]] === * 개봉 전 * 2023년 6월 22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오프닝 성적을 5,500만~8,5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1억 2,000만~2억 2,600만 달러로 예측하였다. 틱톡,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플랫폼에서의 활발한 활동으로 전반적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관심, 세대를 아우르는 바비라는 브랜드로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 관객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 감독 겸 공동 작가인 [[그레타 거윅]], 출연진 [[마고 로비]], [[라이언 고슬링]] 등의 명성, 〈[[인어공주(2023)|인어공주]]〉 외 여성 관객층을 대상으로 한 주요 영화의 부재로 인한 잠재적인 여성 관객의 수요, 같은 기간의 〈인어공주〉의 사전 판매량 대비 46% 높은 첫날 사전 판매량을 흥행의 요소로 보았다. 그러나 현재 온라인에서의 입소문이 실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관심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상황이 확실치 않음을 언급하며 풍자적 코미디 경향으로 인해 동년에 개봉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보다 한계가 있는 다세대적 호소력, 작품이 개봉하는 7월 사이 다른 경쟁작들[*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등.]의 존재로 거의 확보가 불가능한 특별관 환경, 그로 인해 저하된 잠재적인 티켓 가격 및 관객들의 접근성을 악요소로 보았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barbie-and-oppenheimer|#]] * 7월 6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오프닝 성적을 8,500만~1억 1,5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2억 1,500만~3억 1,900만 달러로 이전 예측에 비해 54% 증가한 수치로 대폭 상향해 재예측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인어공주〉에 비해서 상당한 차이로 앞서고 동년에 개봉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와도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긍정적인 기존 예측 이후의 사전 판매량, 그리고 같은 날 개봉하는 〈오펜하이머〉와 지속적으로 소셜 미디어상에서 경쟁하며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였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ninja-turtles-mutant-mayhem-and-meg-2-early-prospects-barbie-tracking-soars|#]] * 7월 13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작년 11월에 개봉한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이후 가장 높은 사전 판매량을 근거로 하여 '''오프닝 성적을 1억 1,500만~1억 5,5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3억 300만~4억 2,600만 달러'''로 직전 예측에 비해 34% 증가한 수치로 재예측하였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early-prospects-for-gran-turismo-and-the-last-voyage-of-the-demeter-trends-for-barbie-climb-to-potential-115m-debut|#]] 초기 예측과 비교하면 2배를 상회하는 수준의 오프닝 성적과 최종 성적을 거둘 것이라 예측되었는데, 이는 전주에 개봉한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의 예상치보다도 높은 예상치이다.[* 최종 성적 예상치의 하한선이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의 예상치 상한선(3억 100만 달러)과 맞먹는 수준이다.] === [[중국]] === === [[일본]] === === [[영국]] === === 기타 국가 === == 논란 == === 한국판 캐릭터 포스터 관련 논란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가 처음 공개했던 한국판 캐릭터 포스터에 영어로 적혀있던 문구들[* "Barbie is everything(바비는 무엇이든 될 수 있어요).", "He's just Ken(그는 그냥 켄이에요)." 등]이 단순히 "바비, 켄"과 같은 방식으로 번역되어 논란이 되었다. 심지어 원래 24종인 캐릭터 포스터를 국내에서는 7종만 공개했는데, 본래 바비 캐릭터 포스터는 "Barbie is everything."이라는 취지에 맞게,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변호사, 대통령, 외교관, 판사 등의 다양한 직업군을 가진 바비를 보여주지만, 국내에 공개된 캐릭터는 괴짜, 내레이터, 인어 뿐이다. 게다가 [[아메리카 페레라]]의 포스터는 다른 캐릭터 포스터의 문구와 달리 "She's a human."으로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Barbie is everything."을 그냥 "바비"로 왜곡, 축소시키는 과정의 연장선에서 나름의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인지 문장 전체가 아닌 마지막 단어만 단순히 한국어로 바꿔 "사람"이라고 표기해버렸다. 특히 문제가 되는 점은 전세계 중 유일하게 한국만이 원래 24종인 캐릭터 포스터를 7종으로 줄여 공개하고, 포스터 문구를 오역했다는 것이다. 해당 논란이 외국에도 퍼지며 사태가 커지자 워너브러더스 코리아는 본격적인 마케팅 전 캐릭터 비주얼과 캐릭터 이름만 선공개한 것이고 특별한 의도가 없었다며, 국내 마케팅 시작과 함께 메시지를 포함한 24종의 캐릭터 포스터를 모두 공개할 예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926991|#]] 결국 문구를 제대로 번역해서 수정한 포스터 24종을 새롭게 공개했다. === [[박술녀#영화 바비 내한 행사 태도 논란|내한 행사 진행 관련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술녀, 문단=5.1)] === 인터뷰 축소번역 논란 === [[JTBC]]의 보도에 의하면 마고 로비가 '바비'에 대해 "'''완벽히 페미니즘 DNA에 기반하고 있고''', 환상적인 휴머니스트 영화"라고 소개한 것을 자막으로는 ''''페미니즘 DNA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결국에는 멋진 휴머니스트 영화' ''''페미니즘을 넘어선''' 휴머니스트 영화' 등으로 페미니즘 부분의 의미를 축소하여 번역하였다고 한다. 마고 로비는 페미니즘과 휴머니즘을 분명 같은 선상에 두고 표현했는데, 번역은 한 끗 차이로 휴머니즘을 더욱 강조한 것이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7/0000350271|#]] === [[남중국해]] [[구단선]] 등장 논란 === 7월 3일 [[베트남]] 당국은 그달 21일에 개봉할 예정이었던 '바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남중국해]]의 [[구단선]]을 보여주는 지도가 등장하기 때문에 심의 당국이 국내 상영을 금지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https://variety.com/2023/film/news/barbie-banned-vietnam-movie-warner-bros-1235660317/amp/|#]] 베트남 당국은 어느 장면에서 문제의 구단선이 나오는 지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으나, 이 조치가 국제적으로 이목을 끌면서 예고편에 등장하는 장면 중 어린 아이가 그린 듯한 세계 지도가 배경에 등장하는 장면이 지목되었다. [[https://www.reddit.com/r/ADVChina/comments/14q6vb9/screenshot_barbies_controversial_9_dash_line_map/|#]] 반응은 둘로 갈리는데, 반중 성향이 강한 누리꾼과 베트남인들은 "애초에 점선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점선이) 들어갈 이유가 부재하며, 이는 구단선을 정당화하는 암시"라고 주장한다. 반대로는 "문제되는 아시아의 점선은 아홉이 아니라 여덟개고 중앙 최상단의 녹색 섬에 있는 열 개의 점선이나 작중 설정을 보아 아이의 낙서 정도의 의미지 과대해석이다"는 의견도 있다. 이후 워너브러더스의 공식 입장으로 "아이가 그린 지도"라는 설정에 따라 만든거지 어떤 사상이나 의도를 홍보할 목적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https://www.ign.com/articles/warner-bros-comment-child-like-barbie-map-movie-banned-vietnam|#]] 한편 [[필리핀]]의 영화 심의 당국도 바비의 상영을 금지할 지 여부를 검토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https://deadline.com/2023/07/philippines-barbie-movie-decision-south-china-sea-controversy-1235430129/|#]] 이후 당국은 오해의 여지가 있는 점선을 흐릿하게 처리하는 조건으로 상영을 허가했다. [[https://time.com/6293650/barbie-ban-philippines-nine-dash-line/|#]] == 내한 행사 == 영화 홍보차 주연 배우인 [[마고 로비]], [[아메리카 페레라]]를 비롯해 감독 [[그레타 거윅]], 프로듀서 톰 애커리[* 본래 [[라이언 고슬링]]도 방한할 예정이었으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불참하게 되었다.]가 2023년 7월 2일과 3일 이틀간의 내한을 확정했다. [[https://twitter.com/WarnerBrosKorea/status/1668302144074817537?s=20|[[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XIxfVJuF1I)]}}}|| || '''내한 핑크카펫 현장 영상''' || 2023년 7월 2일, 오후 6시 45분 [[경방 타임스퀘어|영등포 타임스퀘어]] 1층 아트리움에서 핑크카펫 행사가 진행되었다. 행사는 1시간 15분 가량 이어졌고, 배우들과 감독은 행사에 모인 팬들에게 적극적인 팬 서비스로 화답했다. 행사 당일이 마침 마고 로비의 생일이기도 했기에, 팬들이 핑크봉을 흔들며 마고에게 생일 축하 노래를 불러주고 마고가 배급사가 준비한 케이크의 촛불도 끄면서 행사가 훈훈하게 마무리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5096154|#1]] [[https://v.daum.net/v/20230703103121228|#2]] [[https://blog.naver.com/tmdwls0785/223145183795|#3]][* [[https://www.instiz.net/pt/7405584|원출처]]] [[https://youtu.be/Xsh7hXs6fn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내한 당시에는 마고 로비 부부의 미담도 화제가 됐다. 남편 톰 애커리에게 13시간이나 기다린 팬이 마고 로비가 본인 방향으로도 오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러자 행사가 끝나마자 톰 애커리가 마고 로비를 데리고 팬 쪽으로 일부러 와 준 것. 당시 상황을 짧은 영상으로 남겨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됐다. [[https://www.news1.kr/articles/?5098048|#]]]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u5fLIDDMkw)]}}}|| || '''팬 푸티지 시사회 무대인사 영상''' || 핑크카펫 행사가 끝난 후, 오후 8시 10분 [[CGV 영등포]] ScreenX관에서 팬 푸티지 시사회와 무대인사가 진행되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jtovOs_0hw)]}}}|| || '''내한 기자간담회 영상''' || 2023년 7월 3일, 오전 포시즌스 호텔 서울에서 내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 기타 == * 다른 것도 아닌 [[바비(마텔)|바비]]를 소재로 한 영화를 다른 사람도 아닌 [[그레타 거윅]]과 [[노아 바움백]]이 만든다는 소식이 처음 알려지고 나서부터 많은 화제가 되었다. 미국 영화 팬들은 [[레고 무비]]나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 등 예상치 못한 엉뚱한 소재로[* 캐리비안의 해적은 원작 소설이나 만화가 있는 게 아니라 '''[[디즈니랜드]]의 어트랙션'''(놀이기구)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영화였다.] 비웃음을 받았다가 호평과 흥행 모두를 잡은 영화들의 선례를 언급하기도 하며 꽤나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 덕분에 트위터에서 #barbiemovie로 검색하면 '~ tickets to the barbie movie, please(바비 영화 ~명 티켓 주세요.)'라고 나오는데 올린 사진들은 [[https://twitter.com/search?q=%23barbiemovie|꽤나 거칠고 사나운 인상을 가진 사람들]]이 나오는 사진으로 나오고 있다.] * 거윅이 밝힌 바에 따르면 바움백과 각본을 쓰는 과정에서 두 사람 모두 매우 즐거워 했고, 심지어 바움백은 각본이 워낙 마음에 들어 본인이 감독을 맡고 싶어 했다고 한다. 하지만 거윅은 이미 작품에 애착이 너무 커져서 도저히 남의 손에 넘길 수 없었고, 일언지하에 거절했다고 한다. [[https://www.worldofreel.com/blog/2023/4/keit97ag0ouj6ehodo4jlow1s3roc2|#]] * 미국 기준으로 [[크리스토퍼 놀란]]의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와 같은 날에 개봉해 맞붙게 되는데, 공교롭게도 오펜하이머의 제작을 놓고 워너를 떠난 놀란의 영화와 워너 작품이 극장에서 경쟁하게 되었다. 해외 팬들은 이 두 영화를 엮어 '''"Barbenheimer(바벤하이머)"'''라고 부르는 중. 단순히 개봉 일이 겹칠 뿐만 아니라, 두 영화의 색감이나 분위기가 아예 반대이다 보니 오히려 이게 밈이 되어서 패러디가 많이 나오고 있다. 오펜하이머와 바비가 만나는 크로스오버 팬아트, 핑크색과 검정색이 혼합된 티셔츠 등 별의 별게 다 나오는데, 결국 [[https://en.wikipedia.org/wiki/Barbenheimer|위키백과 페이지]]까지 등재되었다. 여러모로 [[둠 이터널]]과 [[모여봐요 동물의 숲]]이 같은 날에 출시되면서 두 프랜차이스를 엮었던 사건과 비슷하다. * 캐릭터 포스터에 있는 광고 카피들이 범상치 않다. 자세히 보면 포스터에 써 있는 카피 문구들이 실제 소녀들이 인형놀이하듯 "그녀는 ㅇㅇㅇ입니다"라고 하나하나 캐릭터별 설정[* 과거와 다르게 현대의 바비 인형은 엄청나게 많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인종과 외모, 직업 등을 담은 다양한 캐릭터들로 출시되고 있다. 캐릭터 포스터는 영화에 출연하는 캐릭터들이면서도 실제 바비 인형 출시 라인업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것. [[바비(인형)]] 문서 참조.]이 붙어 있는 반면, 그에 비해 켄(과 다른 남성 캐릭터들)은 "얘는 그냥 켄이에요", "또 켄입니다", "얘는 또 다른 켄이죠" 등등 일부러 [[그냥 시체|무성의한 투]]로 적혀 있다 보니 켄의 낮은 인지도, 인형놀이에서 각종 역할을 맡는 바비와 다르게 바비의 남자친구나 남편 정도로만 소비되는 경향이 심한 켄의 위치를 반영하는 개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캐릭터 포스터 공개 후 각종 [[밈(인터넷 용어)|밈]], 영화 캐릭터, 연예인 등을 캐릭터 포스터에 합성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으며, 포스터 합성은 공식 [[http://www.barbieselfie.ai/|Barbie Selfie Generator]] 사이트에서 할 수 있다. * 다만 앨런 역의 [[마이클 세라]]의 포스터는 "얘는 앨런입니다. '''켄과 달리''' 유일무이하죠."라고 적혀 있으며 [[윌 페럴]]의 포스터 역시 "나를 '''어머니'''라고 불러주세요"라고 쓰여 있는데, 이 또한 이유가 있다. 우선 윌 페럴은 영화 내에서 실제 바비인형 제조 회사 '[[마텔]]'의 CEO 역으로 출연한다. 즉 마텔 CEO = 바비를 생산하는 사람이니 어머니라는 의미. 그리고 앨런은 '''켄의 친구 역'''으로 생산되는 인형이라 '바비의 단짝'이라는 정체성이 있는 켄과 달리 1960년대에 2번, 2000년대에 1번, 2010년대에 1번 생산되었을 정도로 존재감이 없다. * 켄 역의 [[라이언 고슬링]]은 [[지미 팰런]]의 [[투나잇 쇼]]에 출연한 자리에서 자신이 켄 인형과 싱크로율이 떨어진다는 일각의 지적을 언급하며 "여러분들이 언제는 켄에 신경 썼기나 함? 켄이랑 놀아준 적도 없었으면서. 걘 걍 악세사리였잖음?"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https://twitter.com/DiscussingFilm/status/1550508075563499520|[[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지미 팰런_라이언 고슬링_켄.png|width=100%]]}}} || 또한 고슬링은 "시나리오를 받은 후 집 뒷뜰에 나갔는데 '''마침 켄 인형이 진흙에 머리를 처박고 있더라.''' 나는 그것을 사진으로 찍어 그레타 거윅 감독에게 전송한 후 "내가 당신의 켄이 될께요"라고 말했다."라고 투나잇 쇼에서 밝혔다. 북미 팬덤 반응은 대충 "그래, 이래야 나의 라이언 고슬링이지!"라고 환영하는 중(...).[* 다만 투나잇 쇼에서 보여준 사진에 있는 켄 인형이 버려져있다기엔 너무 상태가 깨끗해서 코미디 쇼 특유의 일종의 연출이 아니냐는 말도 있다.] * 영국 드라마([[넷플릭스]] 오리지널) [[오티스의 비밀 상담소]]에 출연한 배우 3명[* [[엠마 맥키]], [[슈티 가트와]], [[코너 스윈델스]]]이 함께 출연한다. * [[시무 리우]]의 캐릭터 켄 포스터가 공개되자 그 모습이 [[신기동전기 건담 W]]의 주인공의 모습 [[히이로 유이]]과 많이 비슷해서[* 초록색 런닝 셔츠 하나만 입은 모습] 시무리우 본인이 직접(...) 윙 건담의 로고를 붙혔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1095411|#]] * 사운드트랙에 본작에 출연한 [[두아 리파]]가 참여한 곡이 수록되어 있을 예정이다. [[https://amp.capitalfm.com/news/dua-lipa-barbie-movie-songs-soundtrack/|#]] [[롤링스톤즈]]는 SNS를 통해 바비의 사운드트랙에 참여하는 아티스트 리스트를 밝혔다. [[https://twitter.com/RollingStone/status/1661719122650988544?s=20|[[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아티스트 라인업에 최근 틱톡과 스포티파이를 통해 주목받은 [[K-POP]] 걸그룹 [[FIFTY FIFTY]]가 이름을 올려 화제가 되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비(영화)/사운드트랙, 문단=2)] * [[존 시나]]는 처음에 본작의 오디션을 봤다가 떨어졌다. 그 후 [[마고 로비]]를 만났는데, 마고가 존 시나에게 왜 바비에 출연하지 않느냐고 묻자 존 시나가 "나도 노력했어!"라고 대답했다고.[* 마고 로비와 존 시나는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에 함께 출연했다. 바비 오디션 당시는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촬영 전으로, 존 시나와 마고 로비는 아예 모르는 사이였다. 둘은 어쩌다가 서로 다른 영화를 찍는 중에 촬영장이 겹쳐서 마주쳤고 이후에 친분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그러다가 이런 대화를 나누게 된 것.] 마고는 본작의 많은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 얘기를 들은 후에 존 시나가 바비에 출연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고 한다. [[https://youtu.be/Qmd6y5P2oy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본작과 [[콜라보]]한 [[바비(마텔)|바비]] 인형 컬렉션을 [[https://creations.mattel.com/collections/barbie-the-movie?utm_source=IG%2FFB&utm_medium=organic_social&utm_campaign=BRB_CVR_BRND_BarbieMovie_BarbieMovie&utm_content=Adult_Q223_LINK__%C2%A0%C2%A0&fbclid=PAAaZ7bPC_HIFTRd-0gploORBlDULX3tqL4q68eCpaNZMLrCrVlfo84BVLXLg_aem_th_Afor8EQewfnsSRzRmHnlZMcccWleNXABee27y2fQUv_OoSUef4rrILTeQ6tr286VINE#?page=1|Mattel Creations]]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일반 플레이라인 바비, [[바비(마텔)#콜렉터 바비|콜렉터 바비]], 극중 바비가 타고 다니는 차, 패션 팩이 발매된다. * 바비 역으로 처음에는 [[갤 가돗]]을 캐스팅하려고 했다. [[https://variety.com/2023/film/news/margot-robbie-gal-gadot-barbie-sexy-1235623852/|#]] * 메인 예고편 속 [[이스터 에그]] 정리 [[https://www.gamesradar.com/barbie-trailer-breakdown-easter-eggs-references/|#]] * 마고 로비는 촬영 기간 동안 라이언 고슬링이 '켄'이라는 캐릭터를 이해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매일 조개 껍데기나 'Pray for surf(파도를 위해 기도하라)'가 적힌 표지판 등의 바다 관련 물건들이 담긴 핑크색 선물을 남겼다고 한다. [[https://www.vogue.com/article/margot-robbie-barbie-summer-cover-2023-interview?utm_social-type=owned&utm_source=twitter&mbid=social_twitter&utm_brand=vogue&utm_medium=social|#]] * 본래 [[그레타 거윅]]의 [[작은 아씨들(2019)|전작]]에 이어 [[알렉상드르 데스플라]]가 음악을 맡아 다시 호흡을 맞출 예정이었으나 일정 문제로 하차하고, [[마크 론슨]]과 앤드류 와이엇으로 교체되었다. * 영화 전체가 [[디스코]]에서 영감을 받았고, 반짝반짝하고 팝적인 순간들이 굉장히 많이 담겨있다. [[https://www.dazeddigital.com/music/article/59907/1/dua-lipa-interview-2023-versace-barbie-new-album?utm_content=bufferd9d14&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utm_campaign=dazedtw|#]] * 예고편 공개 후 범상치 않은 장면들 때문인지 국내에서는 극한의 병맛 영화가 탄생하거나, 역으로 현실을 풍자하는 블랙 코미디 무비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또한 그레타 거윅 감독이 그간 본인의 작품에서 보여줘 왔던 성향을 감안하면 [[정치적 올바름|PC]]주의적 메시지와 [[페미니즘]] 성향이 강할 것으로 보이며, 공개된 도입부에 따르면 이러한 성향에 기반을 두되 [[핑크워싱|현재의 보여주기식 및 지나치게 상업화된 PC 및 페미니즘]]에 대한 내재적인 비판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516906?sid=103|#]] * 영화 세트장 속 바비가 거주하는 드림하우스(dreamhouse)의 천장은 실제로 사람의 머리와 꽤 가깝고, 방을 건너는 데 몇 걸음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이게 오히려 배우들이 공간에서는 커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작아 보이게 하는 묘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https://www.architecturaldigest.com/story/inside-the-barbie-dreamhouse-a-fuchsia-fantasy-inspired-by-palm-springs/amp|#]] * 본 영화 세트장 제작에 '''{{{#FF69B4 핑크색}}} 페인트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국제적으로 브랜드 로스코(Rosco)의 모든 형광 핑크 색조가 동났다고 한다.''' [[https://www.businessinsider.com/barbie-set-used-so-much-pink-paint-caused-international-shortage-2023-6|#]] * [[타임(주간지)|TIME지]]에서 영화 바비 특별판인 "Barbie's World"가 나왔다. 표지 주인공은 마고 로비, 하리 네프, [[알렉산드라 쉽]], 이사 레이, [[케이트 맥키넌]]이다. [[https://time.com/6289864/barbie-time-cover-story/|#]] * 프랑스판 포스터가 공개되고 그 문구가 화제되고 있다. 문구는 "Elle peut tout faire. Lui, c'est juste Ken."으로 그대로 번역하면 "그녀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그는 그냥 켄이다."이지만, 프랑스어로 "ken"은 '''성관계'''를 뜻하는 [[속어]]이고 "c'est"는 '''알고 있음'''을 뜻하는 "sait"과 발음이 같아서, '''"그녀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그는 단지 성관계만 할 줄 안다."'''처럼 들리는 [[언어유희]]적 표현이다. * 마고 로비가 영화 세트장인 드림하우스(dreamhouse)를 소개하는 영상이 공개되었다. [[https://youtu.be/uKgaVlMN7I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이 세트장에서 영감을 받은 말리부의 드림하우스는 [[에어비앤비]]를 통해 예약가능하다. [[http://airbnb.com/kendreamhouse|#]][* 숙소의 호스트가 '''켄'''이다.] * 동시기 경쟁작인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의 북미 [[IMAX]] 3주 독점 계약으로 인해 [[Dolby Cinema]] 포맷으로만 상영된다. * [[네이버 웨일|웨일]]에서 8개의 배경으로 구성된 바비 배경테마를 무료 배포 중이다. [[https://store.whale.naver.com/detail/be61e5eddf7243878adb6f4ec397cc57|#]] 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곧 바비가 개봉하게 되므로 개봉 기념으로 배경테마 인증 이벤트를[* 이벤트 경품은 바비 오리지널 굿즈와 바비 예매권을 준다.] 진행 중이다. [[https://www.instagram.com/p/CuEHE91S3Pu/?igshid=MzRlODBiNWFlZA%3D%3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켄' 역을 맡은 라이언 고슬링의 첫 스틸이 공개되었을 때 화제가 되었던 속옷 디자인이 라이언 고슬링 본인의 아이디어었다고 한다. 의상 피팅 기간 때 라이언 고슬링은 그의 캐릭터를 위한 켄 브랜드 속옷에 대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고, 의상팀이 이를 승인했다고. [[https://www.vogue.co.uk/article/barbie-costumes-jacqueline-durran|#]] * [[Xbox]], [[포르자 호라이즌 5]]와 콜라보했다. [[https://news.xbox.com/en-us/2023/06/26/xbox-barbie/|#]] * 2차 예고편이 공개되었을 때 화제되었던 바비의 발이 하이힐을 벗어도 떠있는 장면은 CG 없이 마고 로비가 직접 바를 잡고 발을 들어 올려서 찍은 장면이다. 바닥에는 신발이 벗겨지지 않게 양면 테이프 같은 끈적끈적한 작은 조각들을 붙여놔서 구두에서 쉽게 발을 빼낼 수 있었다고. 약 8번의 테이크 끝에 완벽한 장면을 얻을 수 있었다. [[https://people.com/margot-robbie-on-filming-viral-barbie-high-heel-scene-7553948|#]]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비_하이힐 장면.gif|width=100%]]}}} || * 실제 바비 인형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홍보 투어에서의 마고 로비 의상이 화제다. [[https://www.vogue.co.kr/2023/06/30/1959%EB%85%84-%EC%98%A4%EB%A6%AC%EC%A7%80%EB%84%90-%EB%B0%94%EB%B9%84%EB%A5%BC-%EA%B7%B8%EB%8C%80%EB%A1%9C-%EC%9E%AC%ED%98%84%ED%95%9C-%EB%A7%88%EA%B3%A0-%EB%A1%9C%EB%B9%84/|#1]] [[https://www.vogue.co.kr/2023/07/03/%eb%a7%88%ea%b3%a0-%eb%a1%9c%eb%b9%84%ea%b0%80-%ec%b2%ab-%eb%82%b4%ed%95%9c%ec%97%90%ec%84%9c-%ec%84%a0%eb%b3%b4%ec%9d%b8-%eb%b0%94%eb%b9%84-%ed%8c%a8%ec%85%98-%eb%aa%a8%ec%95%84%eb%b3%b4%ea%b8%b0/|#2]] * [[쉐보레]]에서 대대적인 협찬을 진행했다. [[https://youtu.be/kQAbd9aNt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바비랜드에서 바비가 타고 다니는 차량으로 핑크 도색이 된 쉐보레 콜벳이 등장하며, 글로리아의 차량으로 쉐보레 블레이저 EV가, 마텔 직원들의 차량으로 쉐보레 서버번 등 다양한 차량이 모습을 드러낸다. 실제 영화의 바탕이 된 바비를 만든 완구회사 [[마텔]]이 바비 인형과 [[쉐보레 벨 에어]], [[쉐보레 콜벳]] 모형을 같이 끼워팔기로 유명했기에 [[https://www.pinterest.co.kr/pin/1989-mattel-barbie-57-chevy-car-nrfb-3561-for-sale-online--329466528962399370/|#]] [[https://pixar.fandom.com/wiki/Barbie%27s_Corvette|#]] 영화의 내용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적절한 협찬을 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해외에서도 '핑크색 도색 + 쉐보레 오픈카'는 Barbie Car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인식된다. 여담으로 영화에서 마텔의 CEO로 등장하는 [[윌 페럴]]은 2년 연속으로 [[제네럴 모터스]]의 슈퍼볼 광고에 출연하고 있기도 한 상황. * 정작 [[마고 로비]]는 어린 시절 [[바비(마텔)]] 인형 대신에 [[도마뱀]]을 갖고 놀았다고... [[https://www.news1.kr/articles/?5095854|#]] * [[Letterboxd]]에서 본작을 좋아하는 작품에 추가하면 하트가 '''{{{#FF69B4 핑크색}}}'''이 된다. * 촬영 기간 동안 일주일에 '핑크 데이'를 가졌다고 한다. 이 날에는 영화에 참여한 모두가 무언가 핑크색인 걸 입어야 하는 규칙이 있었고, 이를 어길 시 벌금을 걷어서 자선 단체에 기부했다고. [[https://people.com/barbie-special-issue-sleepovers-group-chats-pink-days-cast-exclusive-7557080|#]] * 본래 [[시얼샤 로넌]]과 [[티모시 샬라메]]가 카메오로 출연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무산되었다. [[https://www.cinemablend.com/interviews/greta-gerwig-reveals-we-almost-got-two-little-women-cameos-in-her-barbie-movie-and-it-would-have-been-epic|#]] * 영화 개봉에 맞춰서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에서 2023년 7월 18일 저녁 8시 30분에 '''바비 드림하우스 챌린지'''[* 바비에 등장하는 집을 현실로 만드는 미국의 예능 프로그램이다.]를 첫방송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Chrbzb8Gzj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워너 브라더스 브라질 배급 작품 역사상 가장 많은 사전 판매량을 기록했다. [[https://twitter.com/wbpictures_br/status/1681000820773474305?s=46|[[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그레타 거윅]] 감독이 공식적으로 바비에 영감을 준 영화 33편을 밝혔다. [[https://letterboxd.com/crew/list/greta-gerwigs-official-barbie-watchlist/|목록]] [[https://www.youtube.com/watch?v=s2rNnOGfmv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구글에 "바비", "마고 로비", "라이언 고슬링", "그레타 거윅"을 검색하면 반짝거리는 효과와 함께 구글 창이 핑크색으로 변한다. [[https://twitter.com/google/status/1681046391240491008?s=46|[[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둘러보기 == [include(틀:필름마크)] [include(틀:오리지널 티켓)] [include(틀:스페셜 티켓)] [[분류:그레타 거윅]][[분류:2023년 영화]][[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미국의 모험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인터넷 밈/미국]][[분류:인터넷 밈/영화 및 드라마]][[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마고 로비]][[분류:바비(마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