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바운스볼/월드]] [include(틀:바운스볼/월드)] ||<-5> [[바운스볼|[[파일:바운스볼 로고.png|width=200]]]][br]'''[[바운스볼|{{{#FFFFFF 바운스볼}}}]] {{{#FFFFFF 월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75deg, #8C8A8C 15%, #737173 15%, #737173 85%, #313131 85%)" {{{#FFFFFF 3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75deg, #C59E6B 15%, #A47D52 15%, #A47D52 85%, #734D21 85%)" {{{#FFFFFF '''3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75deg, #CEF7FF 15%, #FFFFFF 15%, #FFFFFF 85%, #8CF7FF 85%)" {{{#7bcee6 34}}}}}} || || [[바운스볼/월드/미확인 행성|미확인 행성]] || → || '''태양계''' || → || [[바운스볼/월드/트리톤|트리톤]] || * T: [[바운스볼/꼼수|{{{#000,#e5e5e5 꼼수 스테이지.}}}]] [목차] == 상세 == 어려운 스테이지: 14, 15, 21 뒤따라오는 월드들이 태양계 위성인 것으로 볼 때, 월드의 흐름은 빅뱅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 은하로 들어오고 태양계로 회귀하는 단계라 볼 수 있다. [[포탈(게임)|포탈]] 블록이 추가되었다. 5번째 스테이지 상단에 블록으로 portal이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글리제 581에서 추가된 것과 비슷하게 보인다. 다만 이번 포탈 블록은 상하좌우로 방향이 있으며, 들어갈 때와 나갈 때 모두 포탈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즉 아래로 들어가서 좌/우로 나올 수 있다는 말.[* 그래서 토성의 낙석이 '''포물선으로 내려올 수 있다!''' 이는 10단계에서 알 수 있다.] 게다가 출/입구의 구별이 없다. 그래서 컨트롤 난이도가 상당하며, 방향감각까지 요구된다. 또한, 이 블록은 공허(Nothingness)에서 등장한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고, 소위 [[자기장]]이 포탈 출입구를 타고 출구 너머의 블록을 끌어온다. 단, 옆이나 뒤에서 끌어오는 경우는 제외. 단칸이동기는 이동방향까지 바뀌어 나온다. 이를 이용해 깨야 하는 스테이지가 존재한다. 이 블록이 맵 에디터에 풀릴 경우 미확인 행성의 투명 발판 추진기와 더불어 바운스볼 자동맵 르네상스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블록이 아주 다양한 기능을 하는 만큼 구현 시 여러 가지 까다로운 장벽에 직면하게 된다. 가령 [[바운스볼/월드/은하수|은하수]]의 레이저 상자의 경우 가로 상자는 세로로 밀릴 수 있지만 세로 상자는 세로선 안에서만 움직인다. 그러던 것이 포탈을 통과하여 가로세로가 바뀌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곤혹스러운 사태(?)가 발생한다. 화성에서 나온 연한 하늘색 낙하 블록은 아래로만 떨어지는데 이는 또 어떻게 할 것인가 등등, 복잡한 디버깅이 요구된다. ''' 하지만 2021년 3월 21일 업데이트로 사용이 가능하다!''' [* 이로서, 공식맵에서는 있지만, 맵 에디터에선 추가되지 않은 요소는 현재 블록표창이 유일하다] 레이저 상자의 경우 결국 세로 상자도 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낙하 블록은 낙석과 동일하게 포물선으로 진행한다. 꼼수 있는 스테이지: 15(HARD) == 공략 == [include(틀:스포일러)] 모바일 게임 [[바운스볼]]의 33번째 월드 [[태양계]]의 정보와 공략 등을 서술하는 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공략이 모두 쓰여져 있기에 이 월드를 지났거나 앞으로 바운스볼을 할 생각이 없거나 정말 못 깨겠다 싶을 때만 보자. 정말 자기 힘으로 깨고 싶다면 이 문서를 보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 스테이지 1 === 파란색 포탈을 타고 가서 별을 먹으면 끝. HARD 모드에서는 파란색 포탈을 타고 가서 별을 먹은 뒤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은 상태에서 체크 포인트 아이템을 사용해야 한다. === 스테이지 2 === 파란색 포탈로 간 뒤 대시 아이템을 사용한 후 제빨리 아이템을 사용하여 별을 먹는다. === 스테이지 3 === 상승 블록을 밟고[* HARD는 투명 추진기.] 대시 아이템을 먹은 뒤 대시 아이템을 사용하여 파란색 포탈로 간 뒤 별들을 먹는다. === 스테이지 4 === 단칸 이동기를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뒤 대시 아이템을 사용한 후 단칸 이동기를 별 스위치 자리로 옮긴 뒤 대시 아이템을 사용하여 별을 먹는다. === 스테이지 5 === 맵 제작자가 특별히 "PORTAL" 을 강조한 스테이지. 자석 블록으로 포탈 블록을 끌고 간 뒤 자석 블록을 밟아 상승 블록[* HARD 모드에서는 일회용 상승 블록]을 끌고 온다. 그리고 밟아서 별을 먹는다. === 스테이지 6 ===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뒤 전기 스위치를 끈 후 파란 낙석을 피한 후 투명 추진기를 밟고 간 뒤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고 위로 가는 투명 추진기를 밟고 간 뒤 아래로 떨어져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뒤 별을 먹는다. === 스테이지 7 ===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뒤 대시 아이템을 사용하여 전기 스위치를 끈 뒤 아래로 내려가 소멸 블록을 밟아 별들을 먹은 뒤 대시 아이템을 사용한 후 8방향 발사대를 타고 위쪽으로 가면 끝. === 스테이지 8 === 소멸 블록을 밟고 간 뒤 자석 블록으로 4방향 발사대를 끌어당긴 뒤 4방향 발사대를 타고 왼쪽으로 간 뒤 파란색 포탈로 이동하다가 오른쪽으로 가서 자유 대시 아이템과 체크메이트 아이템을 먹은 뒤 왼쪽으로 가서 자유 대시 아이템을 사용하여 하강 블록을 떨어뜨린 뒤 8방향 발사대를 타고 오른쪽 → 북동쪽 → 왼쪽으로 간 뒤 레이저 상자를 피해 별을 먹은 후 체크메이트 아이템을 사용하여 별을 먹는다. === 스테이지 9 === 산탄 블록을 밟은 뒤 파란색 산탄이 분홍색 레이저를 막는 사이에 아래로 가 왼쪽으로 간 뒤 투명 추진기를 밟고[* HARD는 점프 아이템을 연속으로 사용한다.] 직진기를 타고 간 뒤 자석 블록을 사용하여 블록을 끌어당긴다. 그리고 산탄 블록을 밟은 뒤 검은색 사각형 워프 블록으로 이동한 뒤 별을 먹으면 끝. === 스테이지 10 === 왼쪽으로 가 별들을 먹은 뒤 자유 대시 아이템을 사용한 후 오른쪽으로 가 전기 스위치를 끈 후, 파란 낙석을 피해 분홍색 포탈로 들어간 뒤 별을 먹는다. === 스테이지 11 === 소멸 블록을 밟은 뒤 점프 아이템을 먹은 후 체크메이트 아이템도 먹으며 자석 블록을 밟는다. 그리고 점프 아이템을 사용하여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뒤 직진기를 타고 자동 직진 이동기들을 싹 다 이동한 뒤 체크메이트 아이템을 사용한다. 그리고 4방향 발사대를 타고 위쪽으로 가서 포탈로 이동한 후 별을 먹으면 끝. === 스테이지 12 === 체크메이트 아이템을 먹으며 레이저 상자와 파란 낙석을 피해 상승 블록을 밟아 체크메이트 아이템을 사용한다. 상승 블록을 밟고 간 뒤 직진기를 타고 간 후 체크 메이트 아이템을 사용한다. 단칸 이동기를 두 칸 밟은 뒤 상승 블록을 밟고 간 후 감전기를 피해 직진기를 밟고 4방향 발사대를 타고 위쪽으로 가 하강 블록을 밟은 뒤 직진기를 타고 검은색 사각형 워프 블록으로 가다가 소멸 블록을 밟은 뒤 직진기를 타고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뒤 상승 블록을 밟고 감전기를 피해 직진기를 밟고 4방향 발사대를 타고 위로 간 뒤 별을 먹으러 하강하면 끝. === 스테이지 13 === 경로가 복잡한 12 스테이지와는 다르게 간단하다. 포탈로 이동한 후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고 간 후 자석 블록을 밟은 뒤 포탈로 이동한 후 단칸 이동기를 한 번 밟은 뒤 자석 블록들을 밟는다. 그리고 포탈로 이동하여 별을 먹으면 된다. === 스테이지 14 === 아래로 내려가 아이템을 사용하여[* EASY는 대시 아이템, HARD는 자유 대시 아이템] 8방향 발사대를 타고 북동쪽으로 간 뒤 직진기를 타고[* EASY는 소멸 블록을 밟고 직진기를 타면 되지만, HARD는 점프 아이템을 사용해야 한다.] 단칸 이동기에 착지하여 밟고 이동시킨 뒤 8방향 발사대를 타고 북동쪽으로 간 후 자석 블록으로 단칸 이동기를 끌어당긴 뒤 단칸 이동기를 밟고 위로 올라간 후 직진기를 타고 별을 먹으면 된다. === 스테이지 15 === ==== EASY 모드 ==== 일회용 직진기를 타고 가 파란색 포탈로 간 뒤 일회용 직진기를 타고 가서 체크 메이트 아이템을 먹는다. 레이저 상자를 피해 소멸 블록을 밟은 뒤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는 순간 체크 메이트 아이템을 사용한다. 그리고 자석 블록을 밟아 블록을 끌어당긴다. 레이저 상자를 피해 직진기를 타고 파란색 포탈로 간 뒤 대시 아이템을 사용하여 8방향 발사대에 탄 후 오른쪽으로 간다. 그리고 직진기를 타고 별을 먹으면 끝. ==== HARD 모드 (T) ==== 일회용 직진기를 타고 간 뒤 자석 블록으로 대시 아이템을 끌어당긴 뒤 왼쪽으로 가서 체크 메이트 아이템을 먹은 후 레이저 상자를 피해 소멸 블록을 밟는다.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았을 때 체크 메이트 아이템을 사용한 뒤 자유 대시 아이템을 먹은 후 자유 대시 아이템을 사용하여 자석 블록으로 블록을 끌어당긴다. 레이저 상자를 피해 직진기를 타고 가서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후 대시 아이템을 사용한다. 소멸 블록을 밟고 8방향 발사대를 타고 오른쪽으로 간 후 직진기를 타고 별을 먹으면 된다. === 스테이지 16 === 분홍색 레이저를 피해 점프 아이템을 사용한 후 분홍색 레이저를 피해 지나간 뒤 점프 아이템[* HARD는 자유 대시]]을 사용하여 공중 표창을 피해 상승 블록을 피해 간 뒤 분홍색 레이저를 피해 별을 먹는다. === 스테이지 17 === 블록들을 밟고 간 뒤 투명 추진기를 이용한 후 단칸 이동기를 밟고 세 칸 이동시킨 뒤 소멸 블록을 밟고 상승 블록을 밟아 자유 대시 아이템을 사용한 뒤 레이저 상자와 분홍색 레이저를 피해 전기 스위치를 끈 뒤 장애물들을 피해 별을 먹으면 끝. === 스테이지 18 === 자석 블록을 끌어당겨 일회용 상승 블록을 끌어당긴 뒤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고 파란색 포탈로 이동한 후 직진기를 타고 자석 블록을 끌어당긴 뒤 8방향 발사대를 타고 아래로 내려가 분홍색 포탈로 이동한 후 8방향 발사대를 타고 남동쪽으로 이동한 후 자석 블록으로 8방향 발사대를 끌어당긴 후 8방향 발사대에 타서 위쪽으로 가면 된다. === 스테이지 19 === 자유 대시와 체크메이트를 먹은 뒤 자유 아이템을 사용하여 검은색 원 워프 블록으로 간 뒤 하강 블록을 떨어뜨린 후 체크메이트 아이템을 사용한다. 그리고 검은색 사각형 워프 블록으로 간 뒤 상승 블록과 투명 추진기를 밟은 후 직진기를 타고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아 끈끈이 블록에 매달린 뒤 왼쪽으로 가서 단칸 이동기를 밟고 가다 아래로 내려간 후 레이저 상자를 피해 분홍색 포탈로 간다. 오른쪽으로 가서 파란색 포탈로 간 뒤[* HARD에서는 여기에서 공중 표창이 추가된다.] 밑으로 내려간 후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은 후 4방향 발사대를 타고 위쪽으로 간 후 별들을 먹으면 끝. === 스테이지 20 === 일회용 직진기를 타고 파란색 포탈로 간 뒤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고 파란색 포탈로 가다 아래로 떨어질 때쯤 일회용 직진기를 타고 상승 블록들을 밟고 간 뒤 자석 블록으로 파란색 포탈과 8방향 발사대를 끌고 간다. 8방향 발사대를 타고 왼쪽으로 간 후 별들을 먹는다. === 스테이지 21 === 수직 하강을 하여 별을 먹은 뒤 점프 아이템을 사용하여 자석 블록들을 밟은 뒤 8방향 발사대를 타고 위쪽으로 간 뒤 순서에 따라 수직 하강하여 별을 먹으면 끝. HARD 모드에서는 막판에 레이저 상자가 나온다. == 총평 == 후반부에 있는 월드 치고는 매우 쉽다. 플레이어들의 발목을 잡은 [[바운스볼/월드/마젤란 은하|마젤란 은하]], [[바운스볼/월드/최초의 은하|최초의 은하]], [[바운스볼/월드/미확인 행성|미확인 행성]] 등 헬게이트 구간들이 끝나가게 되고 태양계부터 [[바운스볼/월드/트리톤|트리톤]], [[바운스볼/월드/미란다|미란다]]('''스테이지 9 하드 제외''')까지는 쉬어가는 구간인 스테이지라고 평가를 받는다. 포탈 블록이 워프 블록과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퍼즐도 난이도도 그렇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전 월드들에 비하면 역대급으로 쉬운 월드다. == 기타 == 투명 추진기에 이어 스테이지 5에서 힌트를 주었다. '''PORTAL'''이라고 적혀져 있는데 이는 가시가 아니라 포탈 블록을 끌고 오라는 의미다. 게 성운1 Hard 오른쪽 하단에 포탈 블럭이 보이는 버그가 있었던 적도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version=566, title=바운스볼/월드)] [include(틀:포크됨2, title=바운스볼/월드/태양계, d=2023-02-10 05:2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