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구역)] [include(틀:몽골계 민족)]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000,#ddd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 || ||<-3> {{{#ff0 '''{{{+1 [ruby(巴音郭楞, ruby=Bāyīnguōlèng)][ruby(蒙古, ruby=Měnggǔ)][ruby(自治州, ruby=Zìzhìzhōu)][br]ᠮᠣᠩᠭᠣᠯ ᠥᠪᠡᠷᠲᠡᠭᠡᠨ ᠵᠠᠰᠠᠬᠤ ᠵᠧᠦ}}}'''[br]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br]Bayingolin Mongolian Autonomous Prefectur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巴音郭楞蒙古自治州,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주정부 소재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br]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코를라시]][br]바인둥루45호[br]新疆维吾尔自治区[br]巴音郭楞蒙古自治州库尔勒市[br]巴音东路45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470,954.25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현급시 7현 1자치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1,613,979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3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59.27% | [[위구르족]] 31.59%[br][[회족]] 4.66% | [[몽골족]] 3.59% || ||<-2> '''{{{#ffff00 서기}}}''' || 런광펑(任广鹏) || ||<-2> '''{{{#ffff00 주장}}}''' || 바투(巴图)^^([[몽골족]])^^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54억 2,200만^^(2020)^^ || || '''{{{#ffff00 1인당}}}''' || $9,512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주화}}}''' || 없음 || || '''{{{#ffff00 주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新M'''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巴州'''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5'''28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96''' || ||<-2> '''{{{#ffff00 우편번호}}}''' || '''841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XJ-28''' ||}}}}}}}}} || ||<-3> [[http://www.xjbz.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소속 자치주. 중심지는 [[코를라시]]로, 자치주 내 유일한 현급시이다. 몽골어로는 바인골린라고 불린다. 자치구 소속 자치주임에도 그 크기가 [[파푸아뉴기니]]의 영토보다 크다. 서부 지역답게 인구가 매우 적어서 인구 밀도가 ㎢당 3명으로 [[호주]]와 같다. 여담으로,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는 중국의 지급행정구 중 가장 면적이 넓다. 이는 바인궈렁 영토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타클라마칸 사막]] 때문으로, 해당 지역은 사실상 무주지에 가까울 정도로 사람이 없기 때문에 주변의 바인궈렁이 엄청난 관할지를 가지는 것이다. 타클라마칸 사막은 [[호탄지구]], [[아크수지구]], [[카슈가르지구]]에도 걸쳐있지만 이 바인궈렁이 가장 많은 부분을 관할한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 총면적의 약 35%를 차지하며 남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간쑤성]], 서쪽으로 [[일리 카자흐 자치주]]와 [[아크수지구]] 및 [[호탄지구]], 남쪽으로 [[칭하이성]], [[티베트 자치구]], 북쪽으로 [[창지 후이족 자치주]]와 [[우루무치시]] 및 [[투르판시]], [[하미시]]와 접한다. == 지리 및 기후 == 자치주 대부분이 [[타림 분지]]에 속하며, 중심지인 바얀부랴그 초원은 온대 대륙성 기후를 띄며 강수량이 낮다. 그러나 중부 및 남부에 위치한 타클라마칸 사막은 사막기후 지역이다. 자치구 북부에는 [[톈산 산맥]]이 지나가며, 자치주를 [[타림강]]이 관통한다. 다만 시가지가 북쪽에 치우쳐 있어서 타클라마칸 사막을 관통하는 타림강을 보기는 힘들다. 과거에는 자치주 동남쪽에 [[로프누르호]]가 있었지만 현재는 사라졌다. 바인궈렁 내부에는 호수도 상당히 많다. 내부에 총 69개의 호수가 존재하며 호수의 총 면적만 해도 2,398km²나 되어서 어지간한 중국의 소규모 지급시행정구나 대규모 현급행정구 면적과 맞먹는다. 이 중 가장 거대한 호수는 보스트호로, 약 1,001km²를 차지한다. == 역사 == [[흉노]]의 통치 이후 [[누란]]이 이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한나라]]가 누란을 정벌한 이후 서역도호부(西域都护府) 관할로 들어간다. 다만 [[전한]] 멸망 이후로는 이 지역에 여러 도시국가들이 세워졌다가 다시 [[후한]]에게 점령당하고 후한이 멸망한 이후 누란이 재건되는 등의 역사를 가졌다. 이후 [[실크 로드]]를 통한 여러 타림분지 내부의 도시국가들이 세워졌다가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이 이 지역을 차지하여 [[북위]] 대 까지 중국이 통치하다가 [[돌궐]], [[고창국]], [[토욕혼]] 등의 유목민이 통치하였으며 [[당나라]] 대에 다시 중국이 점령하여 언기도호부(焉耆都护府)를 이 지역에 설치한다. 당나라 이후 [[토번 제국]]이 이 지역을 점령하였으며, 이후 [[고창회골]]이 이 지역을 장악하면서 위구르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요]]의 통치를 거쳐 [[몽골제국]]이 점령하였고 [[차가타이 칸국]]이 이 지역을 통치한다. 바인궈렁의 몽골족은 대부분 이 때에 이주한 몽골족이다. 차가타이 칸국 이후에 [[모굴리스탄 칸국]]을 거쳐 [[준가르]]가 통치하였고, [[청나라]]가 점령하면서 다시 중국에 편입된다. [[1950년]], 이 지역에 옌치전서(焉耆专署)가 설치되었다가 [[1955년]]에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巴音郭楞蒙古自治州)로 변경된다. == 교통 == 관할구역이 넓어서 공항이 5개나 존재하지만 전부 국내선 전용이다. 바인궈렁 내부에 존재하는 공항은 다음과 같다. * 쿠얼러 리청 공항(库尔勒梨城机场) * 뤄창 러우란 공항(若羌楼兰机场) * 체모 위두 공항(且末玉都机场) * 룬타이 타중 공항(轮台塔中机场) * 허징 바인부러커 공항(和静巴音布鲁克机场) 철도의 경우 쿠얼러역(库尔勒站)이 존재하며 난장철도(南疆铁路), 커쿠철도(格库铁路)가 지나간다. [[분류: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자치주]][[분류:중국의 도시]][[분류:중국-몽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