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적도 기니 관련 문서)] ||<-4> '''{{{#ffffff {{{+1 바타}}}[br]''Bata''}}}''' || ||<-4><#FFFFFF> [[파일:93FAF3F0-7FA1-4DB4-8F4C-AE44F36F5696.jpg|width=100%]] || ||<-2> {{{#fff '''지역'''}}} ||<-2><:>[[파일:적도 기니 국기.svg|height=15]][[적도 기니]] || ||<-2> {{{#fff '''해발'''}}} ||<-2> 5m || ||<-2> {{{#fff '''인구'''}}} ||<-2> 250,770명[* 2012년 기준] || ||<-2> {{{#fff '''지역 번호'''}}} ||<-2> 08 || ||<-2> {{{#fff '''기후'''}}} ||<-2> [[열대 몬순 기후]] || ||<-2> {{{#fff '''시간대'''}}} ||<-2> UTC+01:00 || ||||<#000000><:>{{{#white {{{+3 바타(적도 기니)}}}}}}|| ||<-3><:> [include(틀:지도, 장소=적도 기니 바타)] || || [[파일:8036BF2E-79DD-40FD-8E23-E8DE8ECBF3FB.jpg|width=100%]] || [목차] == 개요 == [[적도 기니]]의 구 [[수도(행정구역)|수도]]이자 현재는 [[최대도시]]인 곳이며, 적도 기니의 두 번째 수도인 [[말라보]]와는 달리 [[아프리카 대륙]] 본토의 해양 지대에 위치한 [[항구도시]]다. == 산업 == [[유럽인]]들의 사업으로 겨우겨우 버티다가 유럽인들이 거의 다 나가버리자 [[커피]] 생산, [[목재]] 수출 등 1차 산업으로 버티고 있다가 [[유전]]이 발견되어 [[경제]]가 성장했으나, 부의 분배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교통 == [[항구]]를 통해 [[가봉]]의 [[리브르빌]]이나 [[카메룬]]의 [[두알라]], 신 수도 [[말라보]]까지 갈 수 있다. [[대중교통]]은 열악한 편이다. == 중국과의 관계 == 2020년대 이후, 중국이 적도 기니에 군사기지 건설을 추진하면서 바타 항을 [[해외 주둔 중국군|군사기지 건설 장소로 주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00922?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673668?sid=104|#2]] 중국 전문가들은 바타항이 상업과 정치적 목적을 통합하는 중국식 모델에 적합하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17880?sid=104|#]]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00922?sid=104|美 ‘약한고리’ 아프리카에 군사기지 증축하는 중국]] - 세계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17880?sid=104|中, 아프리카에 제2 군사기지 건설하나…"미국 도전 플랫폼"]] - 연합뉴스 == 관련 문서 == * [[과다르]] * [[중국-적도 기니 관계]] [[분류:적도 기니의 도시]][[분류:옛 수도]][[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