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MaddeningFanaticalHumorousZinc, 합의사항1=출신지를 전라북도 군산시로 표기)] [include(틀:LG 트윈스/간략(코칭스태프))] || '''{{{#ffffff 박경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SSG 랜더스 영구 결번)] ---- ||<-2> '''{{{+1 [[체육훈장|{{{#F8D1A6 대한민국 체육훈장 수훈자}}}]]}}}''' || ||<-2> [[파일:체육훈장.png|width=200]] || || '''연도''' || '''2005년''' || || '''이름''' || '''박경완''' || || '''분야''' || '''스포츠''' || || '''사유''' || '''체육발전유공''' || ||<-2> '''체육훈장기린장(5등급)''' || ---- || '''{{{#ffffff 박경완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1.svg|width=40]][[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40]][[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1.svg|width=50]][[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3.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98년 한국시리즈|{{{#fab93d 1998}}}]]''' || '''[[2000년 한국시리즈|{{{#fab93d 2000}}}]]''' || '''[[2007년 한국시리즈|{{{#ffffff 2007}}}]]''' || '''[[2008년 한국시리즈|{{{#ffffff 2008}}}]]''' || '''[[2010년 한국시리즈|{{{#ffffff 2010}}}]]''' || ---- ||<-2>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4.svg|height=70]][[파일:LG 트윈스 우승 엠블럼 V3.sv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코치''' || || '''[[2018년 한국시리즈|{{{#ffffff 2018}}}]]''' || '''[[2023년 한국시리즈|{{{#ffffff 2023}}}]]''' || ---- ||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br]{{{#c63 동메달}}}''' || || '''[[김응룡호/2000년|{{{#ffffff 2000}}}]]''' || ---- ||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br]{{{#8c8c8c 은메달}}}''' || || '''[[김인식호/2009년|{{{#FFFFFF 2009}}}]]''' || ---- ||
[[파일: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 || || '''[[조범현호|{{{#ffffff 2010}}}]]'''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포수)] ---- [include(틀:KBO MVP)]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00, 2004 KBO 리그 홈런왕}}}''' || ---- [include(틀:인천 프로야구 40년 올스타)] ---- [include(틀: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 ||
[[파일:스포츠서울.png|width=100]] '''2000 프로야구 스포츠서울 올해의 상 올해의 선수''' || ---- [include(틀: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2> {{{#ffffff 보유 기록}}} || || 4연타석 홈런 || 2000년 5월 19일 대전 한화전[* [[야마이코 나바로]], [[윌린 로사리오]]와 타이. 다만 [[야마이코 나바로]]는 이틀에 걸친 기록으로 한 경기로 한정하면 로사리오와 박경완만 기록했다. ] || || 한 경기 최다 홈런 || 4개^^(2000년 5월 19일 대전 한화전)^^[* [[박병호]], [[최정]], [[한유섬|한동민]]과 타이.] || }}} || ---- ||
'''{{{#ffffff 박경완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SSG 랜더스 주장)] ---- [include(틀:SSG 랜더스 2군 감독)] ---- [include(틀:SSG 랜더스 감독)] ---- ||<-5>
'''{{{#000 [[쌍방울 레이더스|{{{#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80번}}}''' || || 팀 창단 || {{{+1 →}}} || '''{{{#ffc81e 박경완[br](1991~1992)}}}''' || {{{+1 →}}} || 결번 || ||<-5> '''{{{#000 [[쌍방울 레이더스|{{{#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28번}}}''' || || 황태호[br](1992) || {{{+1 →}}} || '''{{{#ffc81e 박경완[br](1993~1997)}}}''' || {{{+1 →}}} || 이병수[br](1998)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26번}}}''' || || 지화선[br](1996~1997) || {{{+1 →}}} || '''{{{#fab93d 박경완[br](1998~2002)}}}''' || {{{+1 →}}} || [[김필중]][br](2003~2004)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26번}}}''' || || [[양용모]][br](2000~2002) || {{{+1 →}}} || '''박경완[br](2003~2013)''' || {{{+1 →}}} || '''[[영구 결번/KBO 리그|KBO 영구 결번]]'''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72번}}}''' || || [[이광근(1961)|이광근]][br](2012~2013) || {{{+1 →}}} || '''박경완[br](2014)''' || {{{+1 →}}} || [[김무관]][br](2015~2019)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80번}}}''' || || [[김태형(1967)|김태형]][br](2012~2014) || {{{+1 →}}} || '''박경완[br](2016~2020)''' || {{{+1 →}}} || [[조웅천]][br](2021~2023)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80번}}}''' || || [[이성우(야구선수)|이성우]][br](2022) || {{{+1 →}}} || '''박경완[br](2023~)'''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김응룡호/2000 시드니 올림픽 엔트리)] ---- [include(틀:김경문호/2007 야구선수권대회 엔트리)] ---- [include(틀:김인식호/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엔트리)] ---- [include(틀:조범현호/2010 아시안 게임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LG 배터리코치 박경완.png|width=100%]]}}} || ||<-2> '''SSG 랜더스 No.26''' || ||<-2> '''LG 트윈스 No.80''' || ||<-2> '''{{{+2 박경완}}}[br]朴勍完 | Park Kyung-oan''' || ||<|2> '''출생''' ||[[1972년]] [[7월 11일]] ([age(1972-07-11)]세) || ||[[전라북도]] [[군산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전주중앙초등학교 {{{-2 (졸업)}}}[br][[전주동중학교]] {{{-2 (졸업)}}}[br][[전주고등학교 야구부|전주고등학교]] {{{-2 (졸업)}}} || || '''신체''' ||178cm, 88kg, [[O형]][* [[https://sports.news.nate.com/view/20100707n08951|#]]]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1991년 [[육성선수|신고선수]]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 '''소속팀''' ||'''[[쌍방울 레이더스]] (1991~1997)''' [br] '''[[현대 유니콘스]] (1998~2002)''' [br] '''[[SK 와이번스]] (2003~2013)''' || || '''지도자''' ||[[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2군]] 감독 (2014) [br] '''[[SK 와이번스]] 1군 배터리코치 (2016~2018)''' [br] [[SK 와이번스]] 1군 수석코치 (2019)[* ~4월 18일] [br] [[SK 와이번스]] 1군 수석·타격코치 (2019)[* 4월 19일~] [br] [[SK 와이번스]] 1군 수석코치 (2020)[* ~6월 24일] [br] [[SK 와이번스]] 감독대행 (2020)[* 6월 25일~8월 31일][br][[SK 와이번스]] 1군 수석코치 (2020)[* 9월 1일~9월 5일][br][[SK 와이번스]] 감독대행 (2020)[* 9월 6일~][br]'''[[LG 트윈스]] 1군 배터리코치 (2023~)'''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배터리코치 (2022)--[* 야인 시절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류중일호 배터리코치에 선임되었지만 전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인해 대회가 1년 뒤로 연기되었다. 이후 [[LG 트윈스]]의 1군 배터리코치를 맡게 되었고 소속팀에 집중하기 위해 사임해 [[김동수(야구)|김동수]]로 교체되었다.] || || '''프런트''' ||[[SK 와이번스]] 육성총괄 (2015) [br] [[SK 와이번스]] 전력분석원 (2015) || || '''병역''' ||[[방위병]] (1993~1995) || || '''등장곡''' ||[[자전거 탄 풍경]] - [[너에게 난 나에게 넌]] || || '''응원가''' ||'''현대 유니콘스 시절'''[br]The fans - Ole Ole Ole[* 홈런~ 홈런 홈런 홈런~ 박경완~ 박경완~ X2][* 이 응원가는 기존 [[쌍방울 레이더스]] 팀 응원가에서 개사된 응원가이다.][*쌍방울 방울~ 방울 방울 방울~ 쌍방울~ 쌍방울~ X2] ---- '''SK 와이번스 시절'''[br]'''소명 - 유쾌상쾌통쾌'''[* (헛둘셋넷) 유~쾌하게 안타! 상~쾌하게 홈런! 통쾌하게~ 날려~라 최고의~ 타자~ 박~경완~(무조건 안타! 무조건 홈런!) 최고의~ 타자~ 박↗~경완~(박!경!완!)] || || '''상훈''' ||[[대한민국 훈장#s-5.11|체육훈장]] 기린장 || ||<-2> [[https://www.lgtwins.com/web/team/coach/view/325|[[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70퍼센트의 몸 컨디션으로도 100퍼센트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게 프로다." >---- >은퇴식 인터뷰에서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現 [[LG 트윈스]] 배터리 코치. 선수 시절 포지션은 [[포수]]. 1991년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데뷔해 [[현대 유니콘스]]를 거쳐 2013년까지 [[SK 와이번스]]에서 활동한 선수로, SK의 왕조시절을 이끈 야전사령관이며 공수겸장 완성형 포수의 대표주자 중 한 명으로 인식된다.[* 포수 최초로 통산 300홈런과 한 시즌 20홈런 20도루를 달성했던 공수경잠의 대표격 포수로 평가받는다. 수비력 또한 훌륭해서 그 [[김성근]] 감독도 SK 전력의 반은 박경완이라는 말을 남긴 적이 있다.] 은퇴 시점 기준으로 KBO 리그 최장 시즌 1군 경기 출장 선수[* 23개 시즌]이며, 스탯티즈 통산 포수 WAR 1위이자 [[SSG 랜더스]] 역사상 최초의 [[KBO 영구 결번|영구 결번]].[* 26번] 따라서 SSG와 인천야구의 팬들에게는 상징적인 선수로 여겨진다. 은퇴 이후 [[SK 와이번스]]와 [[LG 트윈스]]에서 코치로 활약하면서 두 구단에서 모두 한국시리즈 우승을 기록하는 등 코칭스태프로써도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고 있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
'''{{{#FFD700 박경완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4> '''통합 선수 경력: [[박경완/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 [[박경완/선수 경력#s-2|'''{{{#000000 쌍방울 시절}}}''']] || [[박경완/선수 경력#s-3|'''{{{#fab93d 현대 시절}}}''']] || [[박경완/선수 경력#s-4.1|'''{{{#fff 2003년}}}''']] || [[박경완/선수 경력#s-4.2|'''{{{#fff 2004년}}}''']] || || [[박경완/선수 경력#s-4.3|'''{{{#fff 2005년}}}''']] ||<-2> [[박경완/선수 경력#s-4.4|'''{{{#ffffff 2006~2008년}}}''']] || [[박경완/선수 경력#s-4.5|'''{{{#fff 2009년}}}''']] || || [[박경완/선수 경력#s-4.6|'''{{{#ffffff 2010년 }}}''']] || [[박경완/선수 경력#s-4.7|'''{{{#ffffff 2011년}}}''']] || [[박경완/선수 경력#s-4.8|'''{{{#ffffff 2012년}}}''']] || [[박경완/선수 경력#s-4.9|'''{{{#ffffff 2013년}}}''']] || ||<-4>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50]]]] ||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1|'''{{{#ffffff 2000년}}}''']]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2|'''{{{#ffffff 2007년}}}''']]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3|'''{{{#ffffff 2009년}}}''']]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4|'''{{{#ffffff 2010년}}}''']] || }}}}}}}}} || === 수상 내역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300]]}}}[br] || ||<-2><#002561> '''{{{#fff 박경완의 KBO 수상 경력}}}''' || || '''[[박경완/선수 경력#s-2|1995]]''' || 동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2|1996]]''' || '''골든글러브 (포수)''' / 동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2|1997]]''' || 동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3|1998]]''' || '''한국시리즈 우승''' / '''골든글러브 (포수)''' / 서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3|1999]]''' || 서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3|2000]]''' || '''한국시리즈 우승''' / '''KBO 리그 MVP''' / '''홈런 1위''' / 서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3|2001]]''' || 서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3|2002]]''' || 서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4.1|2003]]''' || 한국시리즈 준우승 || || '''[[박경완/선수 경력#s-4.1|2004]]''' || '''홈런 1위''' || || '''[[박경완/선수 경력#s-4.1|2005]]''' || 동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4.1|2007]]''' || '''한국시리즈 우승''' / 페넌트레이스 우승 / '''골든글러브 (포수)''' || || '''[[박경완/선수 경력#s-4.1|2008]]''' || '''한국시리즈 우승''' / 페넌트레이스 우승 / 동군 올스타 || || '''[[박경완/선수 경력#s-4.3|2010]]''' || '''한국시리즈 우승''' / 페넌트레이스 우승 / 이스턴 리그 올스타 ||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00]]}}}[br] || ||<-2><#09539d> '''{{{#fff 박경완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1|'''2000''']] ||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동메달 ||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2|'''2007''']] || 2007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은메달 ||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3|'''2009''']] ||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 || [[박경완/선수 경력/국가대표#s-2.4|'''2010''']] ||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경완 타격폼.gif|width=100%%]]}}} || || '''박경완의 타격폼'''[br]2009년 5월 8일 (vs 히어로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경완 포수.gif|width=100%%]]}}} || || '''만 41세 은퇴시즌 박경완의 순발력'''[br]2013년 5월 30일 (vs 삼성) || 포수 수비의 기본기인 블로킹, 포구 능력, 도루 저지를 위한 강견은 물론 장타력, 선구안까지 모두 정상의 기량을 뽐내던 KBO의 역대 최정상급 포수이다. 현대의 1998, 2000 시즌, 그리고 SK의 2007, 2008, 2010 시즌 우승 주역. 포지션 특성상 도루는 많이 하지 않았지만 '''포수 20-20'''[* 원래 포수는 포지션 특성상 체력적 문제와 부상 염려 때문에 도루를 잘 안 한다. 사실상 40-40급, 혹은 그 이상으로 더 어려운 기록. 실제로 MLB에서 40-40 달성자가 포수 20-20 달성자 보다 더 많다.]을 달성한 적이 있을 정도로 주력 역시 있는 편이다. 140년 역사의 MLB에서도 포수 20-20은 오직 단 두 번밖에 기록되지 않았고 일본 NPB에선 단 한명도 없다.[* MLB는 워낙 뛰어난 선수가 많아서 20-20을 KBO처럼 뛰어난 기록으로 취급해주지는 않는데 포수만큼은 예외다. 1999년 메이저리그 최초 포수 20-20을 달성한 [[이반 로드리게스]]가 [[페드로 마르티네스]]를 누르고 MVP를 수상하였다. 비록 로드리게스가 개인 안타와 홈런 기록을 경신하는 등 뛰어난 시즌을 보내긴 했지만, 마르티네즈의 1999시즌 기록의 굵직한 점만 적더라도 23승 4패, 방어율 2.07, 삼진 313개 등 미친 시즌인 것이어서, 로드리게스에게 20-20의 기록이 없었다면 MVP를 받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후 2022년 [[J.T. 리얼무토]]가 23년 만에 포수 20-20을 달성하였다.] 박경완의 01년 20-20은 이반 로드리게스에 이은 전세계 2번째 포수 20-20이며, 당연히 KBO 역사에서는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 타격 === 타격에서는 전형적인 [[OPS 히터]]로 한국 버전 [[애덤 던]]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통산 타-출-장이 애덤 던과 굉장히 유사하다. 홈런 수는 애덤 던이 더 많지만 MLB의 경기수가 KBO보다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단, 포지션이 코너 외야수에 그 외야수로서의 수비력도 매우 별로였던 던과는 달리 박경완은 수비 부담이 매우 큰 포수 포지션에서 수비력으로도 인정받으면서 타격 성적까지 냈기에 리그 내에서의 위상은 박경완이 훨씬 더 높다. 던은 말 그대로 메이저 역사상 최악의 수비수라 승리기여도도 10-20 정도인데 박경완은 그의 몇 배나 된다.] 정교함보다는 힘으로 쳐내는 타격을 주로 했던 편으로 단 한 번도 3할을 친 시즌이 없으나 2000년, 2004년 두 번이나 홈런왕을 차지한 적이 있다. 타율은 낮지만 KBO 통산 7위에 해당하는 13.3%의 BB%[* KBO 통산 비율스텟 기록 집계 기준인 3천타석 기준.]를 기록할 정도로 선구안이 아주 뛰어나서 통산 타율은 0.249인데 출루율은 무려 0.367로 절대로 공갈포 소리는 듣지 않으며,[* '''KBO 통산 순출루율 1위(0.118, 3천타석 이상 기준)''' 기록의 보유자이다. 통산 타율이 0.249에 불과하지만, 통산 출루율이 0.367로 타율보다 무려 1할 1푼 8리가 높다.][* 사실 포수라는 포지션의 공격 생산성 기대치가 워낙 낮아서 2할 5푼 언저리에서 홈런을 그렇게 쏟아내면 포수는 타율만 높거나 홈런만 많이 쳐도 충분히 잘 치는 거라고 세이버매트릭스 전에도 좋게 평가하긴 했다. 포수라는 포지션의 특수성. 그런데 이쪽은 홈런을 펑펑 날려대는 것은 물론 선구안까지 극도로 좋아서 그냥 타자로 봐도 생산성이 매우 뛰어난 수준이라 찬양을 받는다.] 원래부터 레전드였는데 세이버메트릭스 이후로 수혜를 본 타자로 반드시 꼽힌다. 특히 2000년에는 40개의 홈런을 쏘아올려 포수로는 [[이만수]] 이후 처음으로 홈런왕과 시즌 MVP를 따내기도 했다.[* 그런데 100타점을 넘지 못했다(95타점). 당시 클린업에 있었고 주로 3번 타자로 나오던 [[박재홍(야구)|박재홍]](최다타점), [[심재학]] 등이 타점을 다 쓸어갔다.] 대신 홈런 타자에게 삼진이 숙명이라는 속설이 있듯이 박경완도 통산 삼진이 1,605삼진으로 역대 타자 통산 삼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클러치 능력이 꽤나 빼어나서 타점도 적지 않고 적시타도 상당히 많다. 무엇보다 자신의 전성기이던 쌍방울과 현대 시절 모두 자신보다 더 뛰어난 [[김기태(1969)|김기태]], [[박재홍(야구)|박재홍]] 같은 타자들이 앞에 배치되는 바람에 박경완이 타점을 내고 싶어도 주자가 없는 경우도 많았다. 스탯티즈 기준 포수 통산 타격 WAR 1위이다. 비율 스탯도 출루율, 장타율, OPS 역대 포수 3위[* 셋 모두 1위는 [[이만수]], 2위는 [[양의지]].], wRC+ 4위[* 예상외라 생각할 수 있지만 3위는 [[태평양 돌핀스]]의 주전이었던 [[김동기(야구)|김동기]]. 다만 김동기의 선수생활은 11년에 불과했고 박경완의 선수생활은 23년으로 2배 이상 차이나는 만큼 타석수가 많이 차이난다. 그래서 박경완이 4위에 불과하다는 말을 쓸 순 없을 것이다.]. 포수 원톱 논쟁으로 인해 [[이만수]]와 비교되면서 다소 수비 쪽으로 평가가 집중되긴 했지만 타격 능력 역시 롱런하면서도 꾸준히 성적을 내줘서 역대 포수 중 톱클래스이다. 사실 타격의 비율스탯 면에서는 이만수가 박경완과 극도로 격차를 크게 벌리기에 비교하기 미안한 수준인데, wRC+ 기준 이만수는 통산 159, 박경완은 122인만큼 차이가 크지만 사실 포수로 통산 wRC+ 122이면 엄청나게 뛰어난 것이다. KBO의 2010년대 포수 평균은 95를 넘긴 적이 없고, 통산 wrc+가 122면 포수가 아니라 1루수로도 상급 타자라는 소리 들을만한 수준이다.[* 1루수는 수비 부담이 제일 적기에 보통 wRC+ 115는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야 한다는 평을 받는다. 박경완이 1루수였더라도 골글 두세번은 먹을 수 있었다는 것.] 비교대상인 이만수가 KBO 역사상 최고의 우타자로 불릴 선수인 것일 뿐.[* 이만수는 wRC+ 200을 세 번이나 넘겼다.] 거기다 이만수보다 박경완이 압도적으로 더 많이 출전해서 '''박경완이 이만수보다 단순 타격 승리기여도로도 우위를 점한다.''' === 수비 === [[http://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18&aid=0002770090|이대호를 상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첫 타석 볼넷이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 박경완의 포수로서의 능력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수비에서 프레이밍은 공을 잡으면서 미트를 스트라이크 존으로 끌어당기기보다는 받을 때 미트를 움직이지 않고 대신 미트 일부를 스트라이크 존에 걸치고 미트 끝이나 손바닥으로 공을 받아낸다.[* 이 때문에 타자들에 의하면 다른 포수들과 다르게 박경완이 볼을 잡을 때에는 ‘펑’ 소리가 아닌 ‘빡’ 하는 소리가 났다고 한다.] 애매하게 걸치는 공들에 대해서 심판들이 확실하게 볼 수 있도록 스트라이크 판정을 얻어내는 스타일이다.[* [[청춘야구단]]의 일일 배터리 코치로 나왔을 때도 캐칭할 때 심판한테 잘 보이는 위치에서 캐칭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알려준 비법은 바로 공이 오는 방향으로 팔을 쭉 밀어서 캐칭하는 것.] 이런 스타일의 프레이밍은 현재 한화의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이 주로 하며 매우 어렵다.[* 최재훈은 두산 시절 공 하나 이상 높은 공을 미트를 세워서 손쪽을 스트라이크 존에 걸치고 미트 끝으로 공을 잡다가 손목이 돌아가는 부상을 당한 적이 있다. 박경완의 경우도 낮은 공을 받을 때 미트 끝을 스트라이크 존에 걸치고 손바닥으로 공을 받은 적이 많아서 선수 말년에는 손바닥에 감각이 없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리드 스타일은 정통적인 스타일로 결정구를 바깥쪽 낮은 쪽으로 잡는 볼배합을 한다. 결정구의 구질로는 슬라이더나 커브 같은 변화구를 선호한다. 바깥쪽 낮은 쪽을 결정구로 선택하는 이유로는 제구가 잘되면 스트라이크, 안되면 볼인데 프레이밍이 좋은 박경완이 스트라이크와 볼 사이의 애매한 공을 잘 건져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SK 시절 제구력은 떨어지지만 강속구를 던지는 왼손 투수가 많았던 팀 상황과 잘 맞아 떨어졌다.] 바깥쪽 결정구를 던지기 전 타자가 홈플레이트 가까이 붙지 못하게 몸쪽 높은 공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볼배합을 기본으로 결정구까지 가는 볼배합이 상대의 허를 찌른다. 연속해서 같은 코스의 같은 구질을 요구하거나, 생각지 못한 몸쪽 아리랑볼을 요구하거나, 연속해서 멀리 빠지는 볼만 요구해서 타격페이스가 좋아 적극적인 선수의 페이스를 끊는 등 즉흥적이며 변칙적인 볼배합을 한다. 대체로 연속 볼이 나와도 결국 2스트라이크까지 카운트를 만들어 낸다. == 은퇴 이후 == === [[/지도자 경력|지도자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경완/지도자 경력)] === 프런트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경완 SK 육성총괄.png|width=100%]]}}}|| [[김용희]] 육성총괄이 1군 감독으로 취임하자 공석이 된 육성총괄로 선임되어 SK 와이번스 프런트로 들어갔다. 사람들은 박경완이 계속 2군 감독으로 현장감각을 키울것으로 예상했으나, 다소 의외라는 반응이었다. 이후 나온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933616|기사]]에 따르면 현장업무 뿐 아니라 [[프런트]]로서 해야 하는 업무까지 담당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2014년 11월 [[김강민]]과의 FA 협상에서는 본인이 직접 [[http://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09&aid=0002939710|김강민을 10시간 동안이나 가둬둔 끝에]] 소속팀 잔류를 이끌어냈다. 네이버 스포츠의 인터넷 라디오 라디오볼에 따르면 김강민에게 [[김성근]] 前 감독이 아버지같은 존재라면 박 총괄은 어머니라고 말할 정도로 각별한 사이었기 때문에 주도적으로 협상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SK 와이번스 갤러리]]에서는 '''붕마마'''(붕가옹+마마)라는 새 별명까지 획득했다. 육성총괄이라는 보직이 눈에 띄는 자리는 아니다보니 근황을 궁금해 하는 팬들이 많았는데 미국에서 한 달간 대체 외국인 선수를 알아보러 다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16년 1군 배터리 코치로 부임하면서 다시 현장에 복귀하게 되었다. == [[김원형]]과의 관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V_8DGzDln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원형 박경완.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18/2008/05/12/1210565405.791537_PP08051200012.jpg|width=100%]]}}} || || 현역시절 김원형과 박경완 배터리. || 박경완을 언급하든, 김원형을 언급하든 간에 둘은 꼭 서로의 이야기에서 빠질 수 없이 나오는 존재이다. 두 사람은 같은 전주 출신으로 시작해서 전주 중앙초등학교[* 박경완은 군산에서 야구를 하다가 모종의 이유로 그만두고 전주중앙초로 전학온 상황이었는데 마침 포수가 부족했던 야구부에서 눈여겨보고 다시 스카웃되었다고 한다.], 전주 동중학교, 전주 고등학교까지 함께 나왔고, 이후 쌍방울 레이더스에 같이 입단했다. 입단 당시 김원형 덕에 박경완이 입단할 수 있었던 것은 유명한 일화. 대학 진학을 모색하다가 무산되면서 졸지에 붕 떠버린 박경완이 쌍방울로 갈 수 있었던 것은 팀 내 최고 유망주의 친구라서 볼 받아주고, 말동무 해달라는 팀의 뜻이 컸다고 한다. 이후 쌍방울 레이더스의 어려운 모기업 사정으로 인해 박경완은 현대 유니콘스로 트레이드되면서 잠시 헤어지게 되었는데, 박경완이 타석에 들어서자 벤치에서 빈볼 사인이 났음에도 차마 빈볼을 던질 수 없어 위협구만 연거푸 던지다 퇴장당한 사건은 두 사람의 깊은 우정을 보여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72900329126016&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7-29&officeId=00032&pageNo=26&printNo=16498&publishType=00010|1998년 7월 26일 경기.]] 2003년 FA 자격을 얻은 박경완이 SK 와이번스와 3년 19억 계약을 체결하면서 두 사람이 5년만에 재회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117/2012/04/08/201204081806202220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04051757269726_l.jpg|width=100%]]}}} || || 절친 김원형의 은퇴식을 함께하는 박경완[* 해당 사진은 원래 [[김원형]] 항목에 있던 것이다. 실제로 이 둘의 관계는 야구에 대해서 잘 모르던 사람들도 어느 정도는 알 정도로 꽤 유명한 친구 사이다.] || 자신의 은퇴식때 시구자로 나와 함께하는 [[김원형]] || >박경완: "원형아!" >김원형: "이게 마지막 공이다" >박경완: "그래, 고맙다" >김원형: "수고했다" >박경완: "어... 고맙다!" >---- >박경완의 은퇴식에서 두 배터리가 주고받은 대화 두 사람은 박경완이 현대에 있었던 1998년부터 2002년까지의 5년을 제외하고는 항상 같은 팀에서 함께 지내며 '''21년차 역대 최장수 배터리'''로 활약했었고, 김원형이 은퇴할 때 가장 아쉬워했던 것은 본인 김원형보다 오히려 박경완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최고의 절친으로 유명하다. 박경완이 김원형의 은퇴를 함께한 이후 김원형 또한 박경완의 은퇴식에 나와서 마지막까지 함께 하였다.[* 둘을 일컫는 말중 하나인 영혼의 배터리라는 표현이 있는데 야구 팬들 뿐 아니라 언론에서도 이 둘의 관계를 부르면서 자주 사용하던 표현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원형 박경완 코치.jpg|width=100%]]}}} || || SK 와이번스의 코치로 함께했던 박경완과 김원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경완 김원형 인터뷰.jpg|width=100%]]}}} || || 2020년 스포츠동아와의 인터뷰에 함께한 김원형 두산 투수코치와 박경완 SK 수석코치. || 두 사람이 2012년, 2014년 나란히 은퇴했고, 마찬가지로 SK 와이번스의 코치로 선임되면서 지도자로서도 인연을 이어갔다. 다만 김원형이 2016년을 끝으로 롯데 [[조원우]] 감독의 간곡한 요청으로인해 창단 때부터 16년이나 몸담고 있었던 SK 와이번스를 떠나 롯데 자이언츠의 수석코치 겸 투수코치로 영입되면서 헤어지게 되었고, 2021시즌을 앞두고 SK 와이번스의 8대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팀에 복귀했으나 반대로 2020시즌동안 SK의 감독대행을 지냈던 박경완이 팀을 떠나게 되면서 두 사람의 재회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경완 KBO 레전드 40인 시상식.jpg|width=100%]]}}} || || 자신의 프로야구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시상식에서 재회한 [[김원형]] 감독. || 2022년 8월 22일 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 성실함의 대명사 부문에서 순위 23위로 레전드 40인에 선정되었고, 2022년 9월 18일 [[SSG 랜더스]]와 [[두산 베어스]]와의 홈경기 클리닝 타임에서 시상식이 진행됐다. 김원형 감독이 박경완 코치에게 기념 트로피를 건내주면서 오랜만에 재회하게 되었다. 김원형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원래는 민경삼 대표이사가 기념액자와 트로피를 전달할 예정이었으나, 김원형 감독이 박경완 코치에게 직접 트로피를 전달하고 싶다고 구단에 요청했다고 한다. 2023년에는 박경완이 [[LG 트윈스]]의 1군 배터리 코치로 부임하게 되면서 2020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다른 팀의 유니폼을 입고 두 친구가 그라운드에서 만나게 됐다. 근래에는 경기 전 워밍업 타임 때 인사를 하고 대화를 나누는 두 사람의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으며 5월 24일 [[인천 SSG 랜더스필드]]에서 열린 SSG 랜더스와 LG 트윈스의 경기을 앞두고 [[이호준]]과 [[이종범]], 박경완 등 현역 시절 레전드 급 성적을 기록했던 [[LG 트윈스]]의 코치들이 배팅 케이지에 들어서 타격 연습을 했고 [[김원형]] 감독은 타석에 들어선 박경완이 날카로운 타격을 뽐내자 "아직 살아있네, 살아있어"라고 유쾌한 웃음을 보이기도 했다. == 기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경완 4연타석 홈런.gif|width=100%%]]}}} || || '''KBO 리그 최초 4연타석 홈런'''[br]2000년 5월 19일 (vs 한화) || * '''통산 2,043경기 1,480안타 314홈런 995타점 913득점 타율 0.249 출루율 0.367''' * '''2000년 [[KBO MVP#s-2|KBO 리그 MVP]]''' * '''2000년, 2004년 [[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s-1.3|KBO 리그 홈런왕]]''' * '''1996년, 1998년, 2000년, 2007년 [[KBO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s-3|KBO 리그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 '''1998년, 2000년, 2007년, 2008년, 2010년 [[KBO 한국시리즈#s-7.3|KBO 한국시리즈 우승]]''' * '''2001년 포수 최초 [[20-20 클럽#s-1.1|20-20 클럽]] 달성'''[* 23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한국프로야구 최고의 포수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만큼 수비도 뛰어나지만, A급 타자이기도 하다. 통산 성적도 홈런, 출장 경기, 타점 등 많은 부문에서 순위권에 들어 있다. 통산 타율은 불과 .249로 많이 낮은 편이지만, 타율 대비 1할 이상 높은 출루율과 뛰어난 장타력으로 이를 극복했던 스타일이었다. 삼진개수 역대 1위(1605개)인 탓에 [[공갈포]]로 취급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상은 다르다. 박경완이 현역으로 뛰던 시절에는 잘 주목 받지 못했지만 오히려 현대 야구에 맞는 출루형 타자다. 볼넷을 상당히 많이 얻어내는 타입이라 타율에 비해 출루율이 거의 0.1 이상 높은 편이었고, 때문에 통산 OPS 또한 0.825로 상당히 준수하다. 미국의 어느 단장이 딱 좋아할 포수. 실제로 통산 성적도 타율은 .249에 그치지만 통산 출루율은 .367로 6시즌 째 지명타자를 병행해가며 타격 스탯에서 이득을 보고 있는 [[홍성흔]]보다도 높다. 데뷔 초 2할 초반의 타율에 머물때도 출루율은 항상 3할을 넘겼다. 그리고 애초에 '''포수가''' 그 정도 타율에 그렇게 홈런을 쏟아냈다면 '''포수치고는 분명히 짐이 되지 않는 타율'''이기도 하고. 그가 기록했던 통산 성적 중 눈여겨볼 만한 것들을 살펴보자면, * '''2043경기 출장으로 역대 10위를 기록.''' 이 부문 1위인 [[박용택]](2237경기)과는 194경기 차이가 난다. * '''통산 314홈런으로 역대 8위를 기록.''' 박경완보다 홈런을 많이 친 타자는 총 7명으로, 468개의 [[이승엽]], 351개의 [[양준혁]], 340개의 [[장종훈]], 330개의 [[이호준]], 328개의 [[심정수]], 329개의 [[이범호]]이다. 1위는 [[최정]]. * '''통산 995타점으로 역대 19위를 기록.''' 그보다 더 많은 타점을 올린 우타자는 997타점의 [[정성훈]], 1069타점의 [[홍성흔]], 1145타점의 [[장종훈]], 1084+타점의 [[최정]], 1097타점의 [[김동주(타자)|김동주]], 1081타점의 [[박재홍(야구)|박재홍]], 1030타점의 [[송지만]], 1029타점의 [[심정수]], 1003타점의 [[마해영]], 1265타점의 [[이호준]], 1113타점의 [[이대호]], 1233타점의 [[김태균]], 1127타점의 [[이범호]] 뿐이며, 좌타자는 1389타점의 [[양준혁]], 소속팀에서 영구 결번이 된 1498타점의 [[이승엽]], 1027타점의 [[장성호]], 1031+타점의 [[최형우]], 1185타점의 [[박용택]] 단 다섯 사람뿐이다. 심정수와 마해영의 기록은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았지만, 2009년 [[아킬레스건]] 파열이라는 큰 부상 이후 재활 후에도 고질적 발목 문제가 생겨 다음해 1년간 활약했음에도[* 이때도 주루에는 지장이 있었다.], 2011년부터 주기적인 발목 통증 재발로 인해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고, 결국 1000타점도 채우지 못했다. 2009년의 부상이 두고두고 아쉬운 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경완의 통산 타점 기록이 대단하다고 인정받는 것은 앞선 경쟁자들이 모두 소속팀의 중심타자 역할을 할 때, 박경완은 수비 부담 문제로 하위타선에 자주 배치되었다는 점 때문이다. * 의외로 '''안타는 불과 1,480개.''' 정확성보다 장타를 중시한 스타일대로의 결과. 단 흠이라면 23시즌이나 뛰어서 한 해 평균 안타 개수는 64.3개다.[* 그나마 제대로 1군에 올라오지 못 한 초기 3년(1991~1993)과 말년 3년(2011~2013)의 성적을 제외하고 보면 1시즌 평균 안타 갯수는 85.5개 수준으로 준수하다.] * '''통산 974볼넷으로 역대 5위를 기록.''' 아쉽게도 1위는 [[양준혁]]이 1278개를 기록한 탓에 기록 경신이 쉽지 않았다. * '''몸에 맞는 공 166개로 역대 단독 4위.''' 역대 1위는 같은 팀 후배 [[최정]]으로, 5년 연속으로 20사구를 맞는 페이스로 '''풀타임 10년만에 무려 156개'''를 맞고 2위를 찍는 기염을 토한 뒤, 2016년 4월 23일, 타이를 이루고, 4월 28일, 결국 단독 1위로 등극한다. 2위는 196개의 [[박석민]]이고 3위는 167개의 [[이대호]]이다. 그 아래로 5위 161개의 [[박종호(1973)|박종호]], 6위 148개의 [[김한수]], 7위 147개의 [[김동주(타자)|김동주]] 그 아래로 8위 145개의 [[송지만]]은 은퇴했다. * '''통산 OPS 0.825로 포수 역대 3위.'''[* 1위 이만수 2위 양의지] * '''0.118로 3천타석 이상을 소화한 타자 기준 순출루율[* 출루율에서 타율을 뺀 것] 역대 1위.''' * 약간 특이한 기록으로는 '''안타 중 장타의 비율이 40.6%로 역대 3위.''' 안타 10개 중 4개가 2루타 이상이었다는 뜻. 박경완보다 상위에 있는 선수는 44.5%의 [[이승엽]]과 41.3%의 [[조경환(야구)|조경환]][* 1998년에 [[롯데 자이언츠]]에서 데뷔한 외야수로, 사상 최초 1군 첫 타석 [[홈런]] 기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1999년부터 [[똑딱이]] 일색의 롯데 타선에서 [[마해영]]과 함께 장타를 쳐주던 몇 없던 장타자. 2000년 그 '''똑딱 기술마저 잃어버린''' 몰락한 롯데 타선에서 버텨주던 [[마해영]]도 2000년을 끝으로 떠나가 2001년 100타점을 올리며 [[펠릭스 호세]]와 함께 역시 팀 내에서 둘뿐인 장타자 역할을 해줬으나, 당시 감독인 [[백인천]]의 삽질로(자세한 항목은 백인천 항목 참조) 2002 시즌 중 SK로 트레이드해버린다. SK에서 박경완과 잠시 한솥밥을 먹었으며 이후 KIA에서 은퇴했다. 크보 역대 최고의 [[공갈포]] 중 한 사람. 굳이 비교하자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애덤 던]] 같은 스타일이었다.]밖에 없다. 44.1%의 [[카림 가르시아]], 42.3%의 [[펠릭스 호세]], 41.2%의 [[타이론 우즈]] 등이 있으나 통산 성적 집계 기준인 3000타석을 채우지 못해 샘플이 모자라며, 조경환도 3006타석으로 아슬아슬하게 넘긴 정도에 불과하다. 과거의 기준처럼 3000타수를 기준으로 한다면 이승엽에 이은 2위다.[* 여담으로 이승엽은 한일 통산 기록을 모두 합산해도 23시즌 2842안타, 602 2루타, 36 3루타, 626홈런으로 장타 비율이 44.4%로 거의 차이가 없다.] * 크보에서 유일무이한 '''20-20클럽 포수 가입자'''이다. 심지어 이 시즌을 전후로는 한 번도 10개 이상의 도루를 기록한 적도 없다. 2년 전 [[이반 로드리게스]]가 포수 최초로 20-20을 기록한 이후 얼마 안 돼서 나온 기록이라서 더 놀라운 기록이다.[* 여담으로 20-20클럽 포수 가입자는 저 둘 뿐이었다가 2022년에 [[J.T. 리얼무토]]가 추가되었다.] * 불명예 기록으로는 통산 삼진 2위가 있는데, '''무려 1,605개'''다. 물론 통산 삼진 2위라는 것은 그만큼 많은 경기에 출전해야하고, 또 많은 타석을 소화했다는 의미이므로 일면 불명예스러운 기록만은 아니다. 또한 박경완과 비슷한 유형의 장타자 대부분이 삼진 갯수가 많은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본인 또한 이를 불명예로 생각하지 않는다. 최훈이 공동필진에 포함된 스카우팅 리포트 시리즈에 따르면 박경완은 자신은 포수이고 하위타선에 배치되는 일이 많았던 만큼 삼진을 당하더라도 큰 스윙으로 장타를 만들어내는게 더 의미가 있다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2010년의 2할5푼치는 [[양의지]]가 2011년 3할 치던 양의지보다 더 위협적인 것과 같은 이치다.] 이 기록을 갱신할 것으로 여겨지는 후보는 셋. 포수후배 [[강민호]]와 SK 후배 [[최정]], 역대 최연소로 1,000삼진을 달성한 [[오지환]]. 강민호와 최정은 워낙 어린 나이부터 주전으로 뛰었고 스윙도 커서 삼진이 쌓인 케이스라면, 오지환은 홈런타자가 아님에도 한시즌 부상없이 뛰면 140개씩 적립하는 어마어마한 삼진 페이스로 추격중이었다. 2023년 6월 8일 최정이 박경완의 통산 삼진 기록을 경신하였다. * 또한 포스트시즌에서도 성적이 저조한 편이다. 출범 이래 2021년 까지 포스트시즌에서 100타석 이상을 소화한 타자들 기준으로 '''타율과 장타율, OPS가 전체 꼴찌'''이며, 출루율 또한 뒤에서 9위이다.[* 타율 .155 출루율 .307 장타율 .223이다. 여담으로 현재 가을만 되면 작아지는 또다른 선수인 [[박건우]]의 포스트시즌 통산 타/출/장이 .190/.271/.267이다.] 세이버 스탯도 영 좋지 않다. wRC+는 '''44.6'''으로 이 역시 뒤에서 '''2위'''[* 뒤에서 1위는 역시나 [[박건우]]로, 무려 '''38.7'''이다.], sWAR*은 정확히 0.00으로 뒤에서 9위이다. * 잘 언급되지 않는 사실이지만, 보내기 번트도 통산 178개로 홈런과 비슷한 순위인 역대 7위에 올라있다. 번트도 누적기록이기 때문에 상위에 랭크된 선수는 모두 많은 경기에 출장한 유명 선수들이지만, 10위권은 [[박한이]]를 제외하면 모두 박경완과 성적이 꽤 차이나는 선수들이다. 번트 169개로 박경완에 이어 8위인 박한이도 wOBA로 보면 0.361로 0.362인 박경완과 거의 같지만, 박경완보다 1400회나 많은 타석에 섰으니 타석 대비 번트 횟수는 박경완과 적지 않은 차이가 난다. 애초에 둘은 번트 대는 스타일이 달라서 직접적 비교는 어렵다 시즌 OPS가 1.0이 넘는 선수는 보통 해당시즌 번트를 거의 대지 않으나[* 2018년에는 OPS 1.0이상인 선수가 6명이었는데, 저 6명의 번트 합계는 0이다.] 박경완은 1.0이 넘었던 00년, 04년에도 각각 6개의 번트를 댔고, OPS 1.0이상 시즌에 저보다 더 많은 번트를 댄 선수는 8개의 85년 [[장효조]]밖에 없다. 통산 번트가 저리 많은 것은 박경완이 특별히 번트를 잘 대서라기보다는 커리어의 대부분을 번트를 선호하는 [[김성근]], [[김재박]], [[조범현]]과 보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본식 스몰볼 흉내가 아닌 통계를 제대로 활용하는 감독과 선수 생활을 했다면 저렇게 많은 번트를 대지는 않았을 것이다. == 박경완에 대한 언사 == >박경완은 팀 전력의 절반을 차지한다. >---- >[[김성근]] [[SK 와이번스]] 감독, 2009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09/0002034503?sid=144|OSEN과의 인터뷰]] 中 >박경완 같은 베테랑 선수가 앉으면 투수들은 ‘저 선배만 믿고 던지면 된다’는 믿음을 갖게 된다. 박경완은 오랜 시간 포수를 하면서 많은 타자들을 상대했고 누구보다 각 선수들의 성향을 잘 파악하고 있다. 타 구단 선수들의 장단점을 잘 알기 때문에 효과적인 리드를 할 수 있다. 포수는 블로킹을 하면서 투수들의 볼에 자주 맞는데 박경완은 공에 맞아도 아프다는 티를 내지 않는다. 아픈 티를 내면 투수들은 원바운드볼(유인구)를 못 던지고 그럼 타자와의 싸움에서 진다. 그런 의미에서 박경완은 정말 좋은 포수다. >---- >[[김경문]] 두산 베어스 감독, 2010년 스포츠동아와의 인터뷰 中 >박경완이 왜 최고였는지 아는가? 블로킹도, 도루저지도 중요하지만 박경완은 전력분석과는 반대로 나왔다. 전력분석을 역으로 찌르는 타자에게 다시 역으로 승부했다는 의미다. 그만큼 타자를 완벽에 가깝게 분석했고, 실전에서 임기응변능력을 발휘했다. 아웃의 확률을 높였다. 이는 소위 말하는 볼 배합 혹은 투수리드. 박경완은 이 분야의 국내 1인자였다. >----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감독, 2014년 마이데일리와의 인터뷰 中 >데뷔 초반에는 한국의 위대한 포수 박경완과, 경력이 쌓인 지금은 야디에르 몰리나와 호흡을 맞추다니 정말 행운이라 생각한다.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소속 투수 [[김광현]], 2020년 [[https://www.yna.co.kr/view/AKR20200925104551007|메이저리그 현지 기자들과의 화상 인터뷰]] 中 >박경완의 기록 중에서 무엇보다 높은 평가를 받는 건 팀을 다섯 차례 우승으로 이끈 능력이다. 박경완은 포수로서의 리드, 타자 대처 능력, 포구 능력, 센스 등에서 최고의 수준을 자랑했다. 두 차례의 홈런왕에서 보여주듯이 타격에서도 빼어나 앞으로 공수 양면에서 그를 능가할 포수가 나올 수 있을지 의문이다. >---- >[[허구연]] MBC 해설위원, 2021년 회고록 "한국 프로야구 40년, 그라운드는 패배를 모른다" 中 (각 포지션 별 베스트 선수 선정에서) >(실점) 위기에서 투·포수가 같은 방향성을 갖는 게 가장 중요한데, (박)경완이의 사인에 두 번 고개를 흔든 기억이 없었다. 그만큼 나를 잘 알았던 포수다. >---- >[[김원형]] [[SSG 랜더스]] 감독, 2023년 일간스포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41&aid=0003292857|포수의 신 박경완 편]] 中 > 제가 포수를 공부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제일 어려웠던 포수가 한 명이 있어요. SK에 있던 박경완 선배인데 이 선배의 볼 배합을 모르겠는 거예요 박경완 선배는 제가 노리고 있는 거를 안 던져요. 그게 저한테는 너무 어려운 거예요. 그러다가 딱 하나 느낀 게 있어요. 제가 노리고 있는 것을 볼로 던지더라고요. 그러고는 제 타이밍을 봐요. 내가 직구 타이밍에 딱 들어가는지. 변화구 타이밍을 잡는지. 바깥쪽 볼로 던지면서 그걸 딱 보더라고요. 그걸 제가 순간 캐치를 했어요. 이렇게 나를 판단하는구나 >---- > 前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 내야수 [[강정호]], 2023년 개인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nXQHTFiaK-Y|업로드 영상]] 中 > 저는 박경완 선수가 포수에 앉았을 때 정말 머리가 아팠어요. 박경완 포수는 나를 다 아는 거 같아요. 박경완이 (포수) 앉으면 나랑 계속 머리싸움을 했죠. 마치 내가 몸 쪽을 노리고 있다는 걸 보여줘요. 그러면 박경완은 당연히 바깥쪽을 던지겠죠. 그러면 내가 몸쪽을 보여주고 다리를 넣어가지고 바깥쪽을 노려서 때렸던... 머리싸움을 굉장히 많이 했었는데 (중략) >---- > [[MBC SPORTS+]] 해설위원 [[양준혁]], 2021년 개인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jbg5Eumzgok|업로드 영상]] 中 == 여담 == * 1991년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육성선수|신고선수]][* 고교 시절 전국구급으로 실력이 뛰어났던 건 아니지만 사실 꼭 프로구단에서 신고선수를 해야 할 정도로 못했다고 하긴 애매하다. 실제로는 학교 야구부와의 거래로 [[원광대학교 야구부|원광대학교]] 진학이 다 약속되어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 소문에 프로구단들이 지명 안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졸업을 앞두고 갑자기 박경완 본인이 프로에 가고 싶다고 우겨서 스스로 쌍방울에 갑자기 입단테스트 받고 가는 바람에 신고선수가 되었다고 한다. 거기엔 당시 고교 최강 투수 중 하나였고 계속 배터리를 이루었던 전주고 동기 김원형과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 컸다고 한다. 그리고 그때 그 대학에서 박경완이 입학하기로 한 대가로 같이 입학시켜 주기로 약속된 몇몇 동창 선수들(일종의 끼워팔기 딜)이 박경완이 입학을 거부함에 따라 갈 곳이 없어져 같이 신고선수로 쌍방울에 들어가면서 박경완을 많이 원망하기도 해서 어차피 1군에서 즉시전력감으로 쓰여서 자주 볼 일 없던 김원형만을 제외한 그들 동창 사이에서 잠시 왕따이기도 했다고 하는데, 어쨌든 실력이 부족한 동창 선수들을 대학입학 대가로 보너스로 꽂아줄 정도의 실력이라면 최고급 신인 같은 건 아니었더라도, 원래 어느 정도 잘하는 선수였으면 잘하는 선수였지 허접한 선수는 아니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데뷔하였다. [[장종훈]]과 마찬가지로 연습생으로 시작해서 프로 정상급의 선수가 된 케이스. 이후 1997년 '''9억 원'''이라는 당시 최고의 거금[* 98년 삼성 라이온즈가 해태 타이거즈 [[조계현]]의 트레이드 머니 4억원을 불렀는데 이는 하루만에 신기록을 세웠다.]에 [[현대 유니콘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고, FA를 선언하여 2003년에 SK로 이적한 후 [[SK 와이번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쳤다. * SK 왕조 시절 역대 대한민국 최고의 포수가 [[이만수]]냐 박경완이냐에 대해 뜨거운 [[키배]]가 벌어지기도 했다. 최고의 포수로서 이만수를 고르는 쪽은 주로 압도적인 타격을 근거로 내세운 반면 박경완을 고르는 쪽은 [[포수 리드]]와 수비적인 면을 내세웠다. 하지만 포수 리드는 [[세이버매트릭스]]에서는 수치화하기 힘들어서 제대로 다루지 못 하는 영역이고(당장 2014년 팬그래프에서만 하더라도 포수에 대한 스탯 활용에 대한 접근은 최근(그 시점 기준 3년 정도)에 와서야 겨우 시작하는 수준이라고 하였다.[* 그래도 이만수는 포수 수비에 대해 준수한 편이라고는 하나 그 시대에서도 탑이라고 하긴 힘든 반면 박경완은 포수 수비에서 자타공인 KBO 역대 1위로 평가받는다.] 반면 타격 지표로 넘어가면 wRC+에서 이만수가 159, 박경완이 122로 그 차이가 매우 커진다. 게다가 골든글러브 수상 횟수에서도 4회에 불과한 박경완은 5회의 이만수에게 밀리는데, 이만수가 대학교를 졸업하고 원년에 데뷔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몇년 더 일찍 프로야구가 생겼다면 이 차이는 더욱 크게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흔히 "물로켓", "가짜야구"등의 멸칭이 붙던 초창기 프로야구에서 세운 기록임을 감안해야 하고, 누적 성적은 박경완이 더 좋다. 누적의 박경완, 비율의 이만수라 할 수 있을 듯.[* [[http://www.statiz.co.kr/stat_at.php?opt=0&sopt=0&re=0&ys=1982&ye=2019&se=0&te=&tm=&ty=1990&qu=auto&po=2&as=&ae=&hi=&un=&pl=&da=1&o1=WAR_ALL_ADJ&o2=TPA&de=1&lr=0&tr=&cv=&ml=1&sn=30&si=&cn=|참고]] 박경완은 역대 포수 WAR 1위이자 최다 홈런자이다. 이만수를 제외하면 비율 스탯으로는 [[양의지]], [[김동기(야구)|김동기]]가 비슷하지만 통산 WAR에서 무려 30 가까이 차이나므로 비교가 되지 않는다. 다만 2020년 현재 양의지가 엄청난 페이스로 통산 WAR 차이를 20까지 좁혀버려 어쩌면 박경완과 비교될 가능성이 생겨버렸다.] * 스트레스성 '''원형[[탈모]]''' 증세가 있다고 한다.[* 워낙 상대 타자들을 연구하는 탓에 생겼다고 한다. 09년 우승하면 팀원들이 갹출해서 심어준다고 했으나 팀은 준우승이었다. 심어줬다고 하지만 아직도 휑하다. 다행인 건 KBO 최고령 노총각이신데다 최근 탈모까지 오신 [[류택현]]과는 다르게 결혼은 애즈녘에 했다는 것이다. 오히려 곱상한 동안 미남으로 유명했던 절친 [[김원형]]보다 일찍 했다.][* 원형탈모는 쉽게 생각해서 땜빵이 머리에 난다고 생각하면 된다.] 게다가 [[포수]]라는 포지션에서 비롯된 중압감이 심해 지독한 [[불면증]]에 시달렸다. [[현대 유니콘스]] 시절 생긴 불면증이 십수년째 계속되었고, 운동선수에게 수면부족은 치명적이기에 치료란 치료를 다 받아봤지만 소용없었다고 한다. 수면제를 복용해야 간신히 새벽 5시경에 잠들었는데, 그조차 숙면이 아닌 선잠이었다고. 김성근 감독은 이러한 불면증에 시달리는 박경완의 오전훈련 및 특타를 열외시켜주며 낮잠을 잘 수 있도록 배려해주었다. 특히 연타석 홈런을 친 그날 불면증으로 잠을 설치고 비몽사몽간에 경기를 나섰는데도 대기록을 세웠다. 최악의 불면증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 클래스를 보여줬다는 것은 참...[[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ngofheaven&logNo=150027248747|현대 시절부터 탈모의 징후가 보인다.]] * [[조인성(야구)|조인성]]이 '잉'이란 접미사가 붙는다면 이쪽은 초성으로 나타내면 ㅂㄱㅇ이라 '''[[붕가]]'''라는 접두사가 붙는다. 여기에서 파생된 단어가 붕가포 등등. [* 온라인 야구 게임 [[마구마구]]에선 레어+박경완(스페셜)+박경완 조합인 붕가붕가 조합이 유명하다.] * 2002 시즌이 끝나고 FA 자격을 얻었을 시절, 현대 유니콘스에 남는 조건으로 당시로써는 엄청나게 큰 금액이었던 '''7년 총 42억'''을 요청한 바 있다. 당연히 자금난에 시달리던 현대에게는 씨알도 안 먹혔고, 시장에 나온 후 SK 와이번스와 3년 총 19억에 계약, 본인이 원했던 계약액, 계약기간보다 훨씬 적은 금액에 계약했던 바 있다. 본래부터 현대를 떠나려고 했던건지 일부러 크게 부르고 계약하면 좋고 아니면 타팀으로 갈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실인지는 모르지만 그 당시 현대 단장이던 [[김용휘]]와 선수 박경완 두 사람만 알고 있을 뿐이다.. * [[해몽]]학계에선 [[길몽]]의 상징이라고 한다. >1. 로또 383회 당첨자 꿈 >작은 시골마을 은행출장소 같은데, 출근을 할려고 택시를 타고 가서 요금을 낼려고 지갑을 보니 >만원권 복사본 한 장만 있다. 기사를 보니 SK 와이번스 '''박경완'''과 부인이 택시를 하는 모양이다. >계좌번호를 적어주면 직장에 가서 입금시켜 주겠다고 하니 '''박경완'''이 전과조회를 한 후 입금해야 한다는 등 >이상한 이야기를 한다. 그러는 사이 우리 집에서 삶아온 닭고기를 먹는데, 꼭 소고기 맛이다. >2. 네이버 지식인 태몽 사례 >수박 태몽 해석 부탁드려요...내공 드려요 >아내가 직접 꾼 꿈이라는데... >프로야구 SK 포수 '''박경완''' 선수가 초음파를 봐 줬는데, >아기가 딸이고, 아기 배 모양이 수박 모양이라 했답니다. >'''박경완''' 선수가 "배가 수박 모양이면 아기가 아주 튼튼한 거다"라고 했다네요. >해몽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이게 태몽일 수도 있나요? >저희 부부도, 그리고 주변에도 어느 한사람 태몽 꾼 사람이 없어서요. >아! 아내는 임신 4개월이고 저희는 결혼한 지 2년 안됐고 첫 아이입니다. >참! 아직 아들인지 딸인지 모릅니다. >아들이든 딸이든 상관 없이 다 좋고요... >혹시 아들인지 딸인지도 알 수 있나요? * 자신이 선수 생활동안 겪은 제구 안 되는 투수로 세 명을 꼽았는데 그 중 한 명이 '''[[고효준]]''', 나머지 한 명은 [[김영수(야구선수)|김영수]]였다고 한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00422/27746700/5|#]] 프로경력만 20년 이상 되는 포수 입장에서도 공을 받기 힘들었다는 말을 했을 정도로 이 둘의 답없는 제구력은 유독 돋보였던 모양이다.[* 여담으로 고효준과 김영수는 좌완 파이어볼러, 제구가 잘 되지 않는 와일드 씽 타입, 전천후 투수, 롯데와 SK 유니폼을 입고 뛴 것(2002년 롯데, 2003~2004년, 2007년 SK) 등 여러모로 닮은 점이 많다.] 여담으로 제구 안되는 좌완투수였던 김영수가 방출되자 한시름 놓았는데 그와 비슷한 타입인 고효준이 1군에 자리잡는 바람에 제구 안되는 투수 둘을 연이어서 상대했다고 밝힌 바 있다. * 현역시절 레전드 포수였던 것과는 별개로 팬 서비스는 좋지 못한 편이다. 원정 경기 숙소나 홈 경기 출근길에 싸인 요청을 해도 거절하는 경우가 대다수. 팬 서비스가 좋은 구단 중 하나인 SK 와이번스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싸인 받기 어려운 인물들 중 하나로 손꼽히며 받은 사람을 본 적이 없다고 할 정도다. SNS에서도 해시태그로 검색을 해봐도 박경완의 사인이나 박경완과 같이 찍은 사진은 찾기 어렵다. 현역에서 물러나 코치가 된 지금도 [[팬서비스]]는 정말로 최악이라고 한다.[* 과거 [[도원아재]]들의 일화인데. 현대 시절에도 저랬다고 한다.] 그런데 2018년 어린이날 한정으로 어린이 팬에게 싸인을 해주고 모자도 선물로 줬다는 얘기도 있다. * [[박명환야구TV]]에서 몇 번 이름이 언급된 적 있는데, 쌍방울 시절 팀 후배였던 [[오상민]]이 술회하기를, [[당구]] 실력이 상당히 뛰어나다고 한다. 박경완, 오상민, [[김원형]], 최정환[* 과거 쌍방울의 투수였다.] 이렇게 당구시합을 하는데 꼴등을 하다가 항상 1등으로 게임을 마무리했다고 한다. [[조용훈]]의 일화로, 과거 SK와의 경기에서 상대 타자였던 박경완에게 몸쪽 꽉 찬 속구를 던졌으나 홈런을 맞자 분노를 이기지 못해 삭발하고 혼잣말을 하던 모습이 기자에게 알려지면서 조감히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현대 시절 팀 후배였던 [[조용준]]이[* 2002년 한 해만 현대에서 서로 배터리를 맞춘 바 있다. 조용준이 2002년 데뷔한 신인이고, 박경완이 2002년 시즌 후 FA가 되어 SK로 이적했기 때문.] 밝힌 바에 따르면, 과거 [[장민석]]이 투수였던 시절 대선배 포수였던 [[장광호]]가 낸 싸인에 고개를 가로저으며 싸인을 거절한 적 있었는데, 이를 죄다 보고 있던 박경완이 공수교대 후 덕아웃 한편으로 장민석을 데려가 불꽃 싸대기를 날렸다고 한다. * 위에서도 언급됐지만 야구인들 중에서 당구 실력이 꽤나 뛰어난 편에 속한다. 평소에도 300점 정도 나올 정도로 당구를 꽤 잘 치는 편이며[[https://sports.donga.com/sports/article/all/20100120/25550187/1|#]] 실제로도 SK 선수 시절에도 인천 시내에 위치한 당구장에서 종종 목격되기도 했다. 과거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 진학이 막히고 쌍방울에 신고선수로 들어갈지 고민하던 때에도 야구를 그만두면 당구장을 차릴 생각을 했다고 한다. * 가수 [[G.NA]]의 노래 [[Black & White]]에서 너와 나~ 블랙엔화이트~ 이 부분이 너와나~ 박경와이~로 들린다고 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그래서 야갤 등지에서 지나와 박경완을 합성한 짤방이 떠돌아다닌 적도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쌍방울 레이더스/선수단]] * [[현대 유니콘스/선수단]] * [[SK 와이번스/선수단]] [[분류:1972년 출생]][[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전주중앙초등학교 출신]][[분류:전주동중학교 출신]][[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우투우타]][[분류:포수]][[분류:1991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분류:쌍방울 레이더스/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KBO 리그 영구 결번 선수]][[분류:KBO 리그의 20-20 클럽 가입 선수]][[분류:KBO MVP]][[분류:KBO 홈런왕]][[분류:프로야구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야구 감독]][[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역대 감독]][[분류:감독 대행/야구]][[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