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밀양 박씨]][[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890년 출생]][[분류:1960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 || 성명 ||박근술(朴根述) || || 본관 ||[[밀양 박씨]] || || 생몰 ||[[1890년]] [[8월 15일]] ~ [[1960년]] [[2월 17일]] || || [[출생지]] ||경상도 인동도호부[br](현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 인근의 [[옥계동(구미)|옥계동]]과 함께 [[밀양 박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김성윤(독립운동가)|김성윤]]·[[박명언]]·[[박명출]]·[[박봉술]]·[[박삼봉]]·[[박순석(독립운동가)|박순석]]·[[이내성]]·[[이범성]]·[[이상백(1886)|이상백]]·[[이영래(1901)|이영래]]·[[이윤약]]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사망지 ||[[경상북도]] [[칠곡군]] || || 추서 ||대통령표창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박근술은 1890년 8월 15일 경상도 인동도호부(현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 12일 [[이상백(1886)|이상백]], 이영식(李永植)이 주도한 인동면에서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해 3백명과 함께 뒷산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했다. 이후 주동자들이 체포되었지만, 그는 체포를 피한 뒤 3월 14일 오후 9시에 주민 2백명과 함께 뒷산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했다. 이 일로 체포된 그는 1919년 4월 25일 대구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후 칠곡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60년 2월 17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박근술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