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두진 선생.jpg|width=100%]]}}} || || '''성명''' ||박두진 (朴斗鎭) || || '''본관''' ||경주 박씨 || ||<|2> '''출생''' ||[[1916년]] [[3월 10일]] || ||[[경기도]] [[안성시|안성군]] 읍내면 봉남리[br](現 [[경기도]] [[안성시]] 봉남동) || ||<|2> '''사망''' ||[[1998년]] [[9월 16일]] (향년 82세)|| ||[[서울특별시]] || || '''학력''' ||[[우석대학교(서울)|우석대학교]] {{{-2 (문학 / 학사)}}} || || '''활동기간''' ||[[1939년]] ~ [[199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시인(문학)|시인]]으로 호는 혜산(兮山)이며, 1916년 [[경기도]] [[안성시|안성군]] 읍내면 봉남리(현 [[안성시]] 봉남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박(성씨)|경주]](慶州)[[https://y-archive.com/%EB%B0%95%EB%91%90%EC%A7%84-%EB%8B%98/|#]], [[혈액형]]은 [[A형]]. == 생애 == [[1939년]]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장'''에 시 <향현(香峴)>, <묘지송(墓地頌)> 등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했다. <묘지송>이라는 시에서는 죽음의 의식을 떨쳐버리고 새로운 삶을 예견하는 햇빛을 노래하여 조국의 [[광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나타나 있다. 이듬해인 1940년에는 <도봉>이라는 시를 지었다. 해당 시는 [[도봉산]]에 올라 [[일제강점기]] 말기의 암담한 현실에 대해 느낀 심경을 읊은 서정시다. [[8.15 광복]] 이듬해인 [[1946년]]에는 [[조지훈]], [[박목월]]과 함께 [[청록파]](靑鹿派)를 결성하고 [[청록집]](靑鹿集)이라는 시집을 발간했다. 해당 시집에는 이전에 창작한 <묘지송>, <도봉> 이외에 <설악부>라는 시도 추가했다. [[1949년]]에는 첫 개인 시집인 '''[[해#s-11|해]]'''를 발간했다. 해당 시집에 포함된 <해>라는 시는 당대의 비관적인 현실이 ‘어둔’·‘밤’으로 표상되어 있으며 해가 솟아나서 어두운 현실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시집 안에는 [[한컴타자연습]]으로 유명해진 <[[청산도(시)|청산도]]>도 수록되어 있다.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에서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8년에 8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그 외 == 한국의 이름 있는 문인들이 워낙 [[요절]]하는 경우가 많은데 [[서정주]]와 함께 한국의 이름 있는 시인들 중에서는 드물게 [[장수#s-3|장수]]하신 분이라 1980년대에 연세대에서 타과 학생들이 국문과 수업을 신청하다가 이 분 이름을 발견하면 "시인 박두진? 아직 살아있었어?"하며 놀라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프랑스]] 도시인 '베종 라 로멘'에는 이 시인의 시비(詩碑)가 있으며 한국지방자치단체 국제화재단 파리사무소 주관으로 본인의 고향인 [[안성시]]와 <베종 라 로멘> 시가 협력해서 설립했고 시비에는 대표작 <해>가 앞면에 [[한글]]로, 뒷면에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새겨졌다. [[4.19]] 당시에는 대학 교수들의 데모 대열에 앞장서서 총탄이 오가는 와중에도 꼿꼿하게 시위를 주도했다고 한다. [[마광수]]는 그의 추천으로 1977년 시인으로 등단했다. 1980년 제4회 [[MBC]] [[대학가요제]] 은상 수상곡인 [[마그마(밴드)|마그마]]의 '''해야'''는 그의 시 <해>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곡이다.[* [[조하문]] 개사, [[김광현]] 작곡. 이후 [[나는 가수다]]에서 2011년 [[YB]], 2012년 [[국카스텐]], 2016년 [[복면가왕]]에서 [[김경호]]가 각각 불렀으며 리메이크도 많이 되어서 요즘 세대에서도 나름대로 유명한 곡이다. 또한 [[연세대학교]] 응원가이기도 하다.] 저작권 개념이 희박하던 시절이라 조하문이 박두진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가사로 썼는데, 처음에는 이에 대해 화를 냈으나, 이내 너그러이 넘겼다는 당시 제자들의 이야기가 있다. 대표작 <하늘>도 유명한데, 발표된 후일 양희은과 서유석의 듀엣곡으로 수록되어 더욱 유명세를 탔다. 그의 작품 중 <별밭에 누워>는 [[2020학년도 수능]]의 [[필적확인란 문구]]로 쓰였다.('너무 맑고 초롱한 그 중 하나 별이여') 그가 별세한 지 20년 만인 [[2018년]], 출생지인 안성 소재 박두진문학관이 유족들의 참관 하에 개관하였다. 안성 보개도서관과 자택에 보관되었던 원고를 비롯한 각종 문헌 자료, 생전 취미였던 수석(壽石) 등이 보관·상시전시 중이며, 박두진의 제자로 알려진 전(前) 방송통신대학교 총장 조남철 박사 외 여러 관련 인사들의 회고영상들도 감상할 수 있다. == 주요 작품 == * [[6.25의 노래]] * [[청산도(시)|청산도]] * [[해#박두진의 시|해]] * 하늘 * 향현 * 어서 너는 오너라 * 도봉 * 묘지송 * 별밭에 누워 * 북일고등학교 교가 * [[한국산업은행]] 신(新) 행가 * [[동양방송]] 사가 * [[SBS]] 사가 [[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한국 남성 작가]][[분류:안성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박씨]][[분류:1916년 출생]][[분류:1998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은관문화훈장]][[분류:고려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이화여자대학교 재직]][[분류:연세대학교 재직]][[분류:문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