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프로게이머, rd1=박민성(프로게이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00324e 20%, #01424e)" '''{{{+5 {{{#!html 박민성 }}}}}}''' '''{{{#!html 朴珉星 | Park Min-sung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민성23프로필.jpg|width=100%]]}}} || || '''본명''' ||{{{#00324e '''박성환(Park Sung-hwan)'''}}}[* 개명 전 이름은 박민성 [[https://youtu.be/dCgq4ysxRk4]]] || || '''출생''' ||[[1982년]] [[8월 7일]] ([age(1982-08-07)]세) [[경상남도]] [[마산시]][br](現 경상남도 [[창원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가족''' ||[[부모님]], [[남동생]] [[배우자]] [[장녀]] 박미르^^(2009년생)^^ [[장남]] 박이든^^(2011년 9월 5일생)^^[* [[https://instagram.com/eden_110905?igshid=YmMyMTA2M2Y=]]] 반려견 쥴리 [* 인간의 법정 프로그램북에서 처음 언급했다. "반려견과 많은 대화를 시도해 봤지만 돌아오는 건 뽀뽀뿐이었습니다." [[https://cafe.naver.com/actorparksunghwan/6802]] ] || || '''신체''' ||180cm[* 신체검사 기준으로 183cm [[https://blog.naver.com/spacfd/50123820476]]], 75kg, [[A형]] || || '''MBTI''' ||'ISFP' (2022년 12월 기준) [* 할 때마다 바뀐다고 한다. 아마 그때그때 배역에 따라 바뀌는듯.][* [[멸화군(뮤지컬)|멸화군]]을 하던 당시에는 MBTI라는 것을 아예 몰랐다... [[https://youtu.be/sPXlUUZll7I]]] || || '''학력''' ||[[전주예술고등학교]] {{{-2 (방송문화예술과 / 졸업)}}}[br][[서경대학교]] {{{-2 (연극영화학부 / 졸업)}}} || || '''별명''' ||성[* 캐릭터는 '성+배역명'으로 불린다. ex) 성셀라, 성개, 성릴, 성디아, 성지터], 사자, 아기사자[* 아들인 박이든은 아기아기사자] || ||<|2> '''데뷔''' ||[[2006년]] S.N.A 싱글앨범 [Mr. S.N.A] [br](데뷔일로부터 '''[dday(2006-05-12)]일''' 째) || ||[[2007년]] 뮤지컬 <그리스>[br](데뷔일로부터 '''[dday(2007-11-29)]일''' 째) || || '''공식팬카페''' ||[[https://cafe.naver.com/actorparksunghwan|[[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4]]always민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 출연 작품 == === 뮤지컬 === ||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 2007년 || [[그리스(뮤지컬)|그리스]] || 두디 || ||<|2> 2008년 || 위대한 캣츠비 시즌 3 || 캣츠비 || || [[노트르담 드 파리(뮤지컬)|노트르담 드 파리]] || 그랭구아르 || ||<|3> 2009년 || 샤우팅 || 강PD || || [[노트르담 드 파리(뮤지컬)|노트르담 드 파리]] || 페뷔스 || || [[Roméo et Juliette|로미오 앤 줄리엣]] || 벤볼리오 || ||<|3> 2011년 || [[피맛골 연가]] || 김생 || || 바람의 나라 || 운 || || [[라 레볼뤼시옹]] || 피에르 / 원표 || ||<|3> 2012년 || 달고나 || 김세우 || || 전국노래자랑 || 김준혁 || || 러브레시피 || 명훈 || ||<|2> 2013년 || [[잭 더 리퍼(뮤지컬)|잭 더 리퍼]] || 앤더슨 || || [[삼총사]] || 리슐리외 || ||<|3> 2014년 || [[보니 앤 클라이드(뮤지컬)|보니 앤 클라이드]] || 테드 || || [[두 도시 이야기(뮤지컬)|두 도시 이야기]] || 찰스 다네이 || || [[조로#s-12|조로]] || 라몬 || ||<|3> 2015년 || [[로빈훗(뮤지컬)|로빈훗]] || 필립 || || 빛골아리랑 || 염동식 || || [[쓰루 더 도어]] || 장 피에르 || ||<|3> 2016년 || [[삼총사]] || 아라미스 || || [[잭 더 리퍼(뮤지컬)|잭 더 리퍼]] || 앤더슨 || || [[미스 사이공]]^^{{{-2 일본}}}^^ || 존 || ||<|3> 2017년 || 밑바닥에서 || 배우 || || [[벤허(뮤지컬)|벤허]] || 메셀라 || || 외솔[* 울산 지역공연] || 김두봉 || ||<|3> 2018년 || [[홀연했던 사나이]] || 사나이 || || [[삼총사]] || 아라미스 || || [[프랑켄슈타인(뮤지컬)|프랑켄슈타인]] || [[앙리 뒤프레|앙리 뒤프레 / 괴물]] || ||<|4> 2019년 || [[여명의 눈동자]] || 최대치 || || [[시데레우스]] || 갈릴레오 || || [[벤허(뮤지컬)|벤허]] || 메셀라 || || [[영웅본색(뮤지컬)|영웅본색]] || 마크 || ||<|4> 2020년 || [[아랑가]] || 도미 || || 멸화군[* 리딩공연] || 한중림 || || [[시데레우스]] || 갈릴레오 || || [[블랙메리포핀스]] || 한스 시몬 || ||<|6> 2021년 || [[명성황후(뮤지컬)|명성황후]] || 홍계훈 || || 무용[* 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공모 선정작 리딩 공연.] || 연성대군 || || [[와일드 그레이]] || 오스카 와일드 || || [[홀연했던 사나이]] || 사나이 || || [[멸화군(뮤지컬)|멸화군]] || 중림 || || [[더데빌]] || X- WHITE || ||<|7> 2022년 || [[디아길레프(뮤지컬)|디아길레프]] || 디아길레프 || || [[빈센트 반 고흐(뮤지컬)|빈센트 반 고흐]] || 빈센트 반 고흐 || || [[니진스키(뮤지컬)|니진스키]] || 디아길레프 || || [[시데레우스]] || 갈릴레오 || || [[인간의 법정]] || 호윤표 || || [[용의자 X의 헌신(뮤지컬)|용의자 X의 헌신]] || 유카와 || ||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 루드윅 || ||<|5> 2023년 || [[미드나잇(뮤지컬)|미드나잇: 앤틀러스]] || 비지터 || || [[와일드 그레이]] || 오스카 와일드 || || [[멸화군(뮤지컬)|멸화군]] || 중림 || || [[벤허(뮤지컬)|벤허]] || 메셀라 || || [[홀연했던 사나이]] || 사나이 || === 연극 === ||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 2018년 || [[벙커 트릴로지]] || 병사1 || || 2020년 || [[데스트랩(연극)|데스트랩]] || 시드니 브륄 || ||<|2> 2021년 || [[데스트랩(연극)|데스트랩]] || 시드니 브륄 || || 분장실 || A || === 방송 === || '''출연 일자''' || '''프로그램명''' || '''비고''' || ||<-3> '''{{{#00324e 2014년}}}''' || || 6월 24일 || KBS2 1 대 100 || [[https://omn.kr/8n3a|'1대 100' 우승 박성환 "뮤지컬 배우들 대접해야죠" [* 최후의 1인이 되어 우승하였다. 받은 상금으로 두도시 팀에 피자를 돌렸다.] ]] || ||<-3> '''{{{#00324e 2017년}}}''' || || 9월 18일 || 문화 四色 || [[https://youtu.be/qGd_glxpFlg?si=fzarbwAez2FnLQP2|[문화 四色] - 뮤지컬 〈벤허〉]] || ||<-3> '''{{{#00324e 2018년}}}''' || || 4월 27일 || 문화 四色 || [[https://youtu.be/moS4h4tAsVY?si=rU2rx4WUamutHwha|[문화 四色] - 뮤지컬 〈삼총사〉]] || || 7월 13일 || 방구석 1열 머글랭밥차 -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 [[https://youtu.be/NUTN2LVndfA?si=DIUl4v53zY78FSVD|박민성, 아내 이름만 불러도 울컥ㅠ_ㅠ "사랑해♡"]] || || 7월 17일 || KBS2 1 대 100 || [[https://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92563|'프랑켄슈타인' 주역 박민성·이정수 '1대100' 출연 "발군의 예능감"]] || || 7월 27일 || 공연에 뜨겁게 미치다 || [[https://youtu.be/zR9l_7zKObs?si=p5Xfg8MHiBQs4hT9|[공연에 뜨겁게 미치다] -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박민성, 민우혁, 이정수]] || || 12월 5일 || KNN 나만의 문화공간 아지트 || [[https://youtu.be/_wtlBWp5buI?si=KpHPz8t8-oCBMfb7|[KNN 나만의 문화공간 아지트] -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박민성, 민우혁)]] || ||<-3> '''{{{#00324e 2019년}}}''' || || 3월 12일 || 문화 四色 || [[https://youtu.be/mFrlPeyNQtE?si=WrrbgsDlgLiyP24P|[문화 四色] - 뮤지컬 〈여명의 눈동자〉]] || ||<-3> '''{{{#00324e 2020년}}}''' || || 2월 7일 || 공연에 뜨겁게 미치다 || [[https://youtu.be/7KIyAAf8nOU?si=3YJHCCdgfYB8UiGF|[공연에 뜨겁게 미치다] - 뮤지컬 〈영웅본색〉 박민성 배우 ]] || ||<-3> '''{{{#00324e 2022년}}}''' || || 3월 7일 || 네이버 NOW 커튼콜 뮤지컬쇼 || [[https://youtu.be/qzOsRavjhZc?si=wjbeLalRQe1YVGOF|[32회 커튼콜 뮤지컬쇼] - 박민성, 이성준 ]] || || 5월 28일 || EBS 특집다큐 <극장의 미래> || [[https://youtu.be/eWy4_hde7N8?si=mCXM2V3gB8tTmZai&t=1115|EBS 특집 다큐 - 극장의 미래 제2부 - 다시 꿈의 궁전으로 [* 뮤지컬 빈센트 반 고흐. 18분 30초 쯤부터.] ]] || === 라디오 === || '''출연 일자''' || '''프로그램명''' || '''비고''' || ||<-3> '''{{{#00324e 2019년}}}''' || || 6월 10일 || 잇뮤지컬; 무대와 객석을 잇다 || [[https://podbbang.page.link/uTFp1fvQFeqTaJBN6|[본공연 2회] 잇뮤초대석의 역사적인 첫 손님, 뮤지컬배우 박민성 [* 뮤지컬 시데레우스.] ]] || ||<-3> '''{{{#00324e 2020년}}}''' || || 1월 23일 || KBS Cool FM 문희준의 뮤직쇼 || [[https://youtu.be/esLx_LyDEc8?si=jEFN0x0mjtkB_kaC|쿨룩 LIVE ▷박민성 'Still Alive' (뮤지컬 '영웅본색' ost) /200123 [문희준의 뮤직쇼] ]] [[https://youtu.be/18aqkVFAti4?si=OQHFwaOj--nrAkKm|200123 문희준의 뮤직쇼 (민우혁, 박민성)]] || ||<-3> '''{{{#00324e 2022년}}}''' || || 12월 19일 || SBS 파워 FM 웬디의 영스트리트 || [[https://youtu.be/5CmfiL39rHk?si=VL79BpFhnkLvXETr|[루드윅] 피아노 - 박민성]] [[https://podcastfile2.sbs.co.kr/powerfm/2022/12/POWER-V2000011555-20221219(20-00)-1671498638878.MP3?vod_id=22000012201&podcast_id=P0000000526 |(월) 웬디의 영스트리트 - 만나면 해피니스 (테이, 박민성, 유소리)]] || ||<-3> '''{{{#00324e 2023년}}}''' || || 9월 26일 || SBS 파워 FM 두시탈출 컬투쇼 || [[https://youtu.be/3glV3DQDg0w?si=P9eRGBzXIcwKSCAc|[FULL] 양의 기운이 드글드글(?)한 뮤지컬🔥 '벤허'의 배우 규현, 박민성, 최지혜 보는 라디오 | 두시탈출 컬투쇼 | 230926]] [[https://youtu.be/xixHHhS0ftA?si=dz3PWSwedmCGVjg5|[LIVE] 박민성 - 나 메셀라 | 뮤지컬 '벤허' | 두시탈출 컬투쇼]] || === 인터뷰 === || '''연도''' || '''인터뷰''' || ||<|2> 2017년 || [[https://www.sedaily.com/NewsView/1OM6832FIT|‘벤허’ 박민성이 뮤지컬 배우로서 롱런할 수 있는 이유]] || || [[http://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791|[문화 人] 박민성 "비판도 칭찬도 모두 받는 게 배우죠" (인터뷰)]] || ||<|4> 2018년 || [[https://sports.donga.com/ent/article/all/20180616/90602210/2|민우혁·박민성 “‘프랑켄슈타인’, 한계에 부딪히며 만난 터닝포인트”]] || ||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18&no=401214|‘프랑켄슈타인’ 민우혁·박민성 “새로운 빅터와 앙리 볼 수 있을 것”]] || || [[https://www.themusical.co.kr/Magazine/Detail?num=3807|[SPOTLIGHT] <프랑켄슈타인> 박민성 [No.178] ]] || || [[https://omn.kr/s7yr|친구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내놓았다, 그게 잘못이었을까 ]] || ||<|6> 2019년 || [[https://omn.kr/1ilbj|빨치산이 된 남자는 왜 아내를 두고 떠났나]] || ||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101203957c|뮤지컬 배우 박민성 “연기와 노래, 그게 곧 제 삶이죠”]] || || [[https://www.themusical.co.kr/Magazine/Detail?num=4211|[SPOTLIGHT] <벤허> 박민성, 나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하여 [No.190] ]] || || [[https://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575251|'벤허' 박민성의 해석 "메셀라는 나쁜 사람이 아니죠"]] || || [[https://9stars.kr/8578/|인생캐 만난 뮤지컬 ‘영웅본색’ 박민성 “감사한 마음으로 즐기며 연기하고 있어요”]] || || [[http://charmplay.co.kr/news/view.php?no=477|영웅본색 박민성, 작년보다 더 나은 한해를 살겠다는 다짐과 함께]] || ||<|4> 2020년 || [[https://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255919|박민성의 클라이맥스는 아직 오지 않았다]] || ||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105_0000879479#_PA|‘무대 위서 죽어야 사는 남자’...뮤지컬 ‘영웅본색’ 박민성]] || || [[https://theatreplus.co.kr/2020/04/202004_interview/|전성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_연극 <데스트랩> 배우 박민성]] ||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232784&memberNo=3613482|[NC인터뷰] 배우 박민성의 에너지]] || ||<|2> 2022년 || [[https://news.nate.com/view/20220117n34166|뮤지컬 '더데빌' X화이트·블랙 박민성, 장지후의 "결국 희망, 손내밀어줄 누군가가 분명 있을 거예요"]] || || [[https://www.themusical.co.kr/Magazine/Detail?num=4862|[COVER STORY] 뮤지컬 가족사진관③ - 박민성·박이든, 아빠와 함께 꾸는 꿈 [No.212] ]] || ||<|10> 2023년 || [[https://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518307|뮤지컬 '루드윅' 박민성···"후배들에게 본보기가 되고, 무대에서 살아 숨 쉬고 싶다"]] || || [[https://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495327|[인터뷰①] ‘벤허’ 박민성 “메셀라 분량 아쉬움? 확실한 존재감 있어요”]] || || [[https://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495326|[인터뷰②] ‘벤허’ 박민성 “‘나 메셀라’, 못해내면 내일은 없다는 심정으로 불렀죠”]] ||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00326|'벤허' 박민성 "노래하다 엉덩이에 쥐 날 만큼 에너지 끌어올려"]] || ||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182213|'벤허' 박민성 "'나 메셀라' 넘버 일등 배우? 목숨 건 보람 있어"[문화人터뷰] ]] || || [[https://mfocus.kr/culture/performance/musical/12083/|[인터뷰] 배우 박민성, ‘메셀라’의 삶으로 살다가 죽고 내려올 각오]] || ||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405179|“관객 기대의 두 배 보여 주고파”… 간절함으로 빚은 오싹한 아우라]] || || [[https://www.k-trend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0031|[KtN 인터뷰①] 박민성, 비중은 작아져도 성장한 '마셀라' 보여주고 싶어 매일 노력하는 배우]] || || [[https://m.kukinews.com/newsView/kuk202311070223|‘벤허’ 박민성 “메셀라의 결핍이 보였다” [쿠키인터뷰] ]] || ||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60934?sid=103|온몸으로 외치는 ‘나 메셀라’…"내일은 없다고 생각하죠"]] || === 콘서트 및 행사 === || '''출연 일자''' || '''공연명''' || '''비고''' || ||<-3> '''{{{#00324e 2017년}}}''' || || 09.09 ~ 09.10 || 더 뮤지컬 페스티벌 인 갤럭시 || [[https://youtu.be/wLrEyPxwgb8?si=_NWXX5rKG9b12fFE|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대성당들의 시대' ]] [[https://youtu.be/Cgd31oMAi44?si=wJ8HuJsv2OCyrnst|뮤지컬 <영웅> '영웅' ]] [[https://youtu.be/_GZ_k1trzlM?si=NvHUzwkakLGQ-uGf|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위대한 생명창조의 역사가 시작된다' ]] [[https://youtu.be/kW4HCVQRW8Q?si=NZNyfpFCxiJNaVCp|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너의 꿈 속에서' ]] || || 10.20 || 제 98회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 [[https://youtu.be/YmXx7mr-1-g?si=xDvI7b5bawBAxEge|너의 꿈 속에서(프랑켄슈타인) - 박민성, 안유진, 이지훈 ]] || ||<-3> '''{{{#00324e 2018년}}}''' || || 10.21 || 스타라이트 뮤지컬 페스티벌 || [[https://youtu.be/yUHSf5ZBjBA?si=HJuY5HyXlu2H9vuZ|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너의 꿈 속에서' ]] [[https://youtu.be/nIoD5iIyGTk?si=d6bvqs2gKrCUUjpS|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난 괴물' ]] || ||<-3> '''{{{#00324e 2021년}}}''' || || 05.01 || 제 26회 도봉구민의 날 기념행사 || [[https://youtu.be/DjEw1N1DJN8?si=NpXUZSvW-nfltFc9&t=4067|제26회 도봉구민의날 기념행사 | 2021.5.1. | 서울특별시 도봉구 [* 풀버전. 1:07:47 쯤부터.] ]] [[https://youtu.be/TzJeaXWPS9g?si=DIwqctlv72L8P2sj|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지금 이 순간' ]] [[https://youtu.be/0qtw_eelJQk?si=-ZywQprRzTxjdse0|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너의 꿈 속에서' ]] [[https://youtu.be/zTLmrZCe5i0?si=yK-1JfGrrhh__v6u|거위의 꿈 - 박민성, 소냐 ]] || || 10.10 || 피맛골연가 미니 콘서트 || [[https://youtu.be/LhHpDA9aJ34?si=f4vf87AgJyClyZLL|뮤지컬 <피맛골연가> '푸른 학은 구름 속에 우는데' ]] [[https://youtu.be/kBqnk6-AcJE?si=QKcKpfmr28dTqkv7|[피맛골연가 미니콘서트] 박민성 인터뷰 CUT ]] || || 10.10 || 오선지 걸어가는 작곡가 - 이성준 || || ||<-3> '''{{{#00324e 2022년}}}''' || || 11.04 || 브랜든 리 뮤지컬 심포니 콘서트 〈프랑켄슈타인 & 벤허〉 앵콜 공연 || || ||<-3> '''{{{#00324e 2023년}}}''' || || 05.03 || 경복궁 궁중문화축전 궁중풍류 || [[https://youtu.be/weEwMiICx18?si=azfgHTgsJb2SenFl|[경복궁 궁중문화축전 궁중풍류 15시] 박민성 FOCUS Full ver. ]] || || 06.17, 19 || 브랜든 리 뮤지컬 심포니 콘서트 〈프랑켄슈타인 & 벤허〉 - 일본(도쿄, 오사카) || || || 09.16 || 토요 키즈 클래식 9월 - 뮤지컬, 클래식을 만나다 || || || 10.12 || 개관 78주년 및 한미동행 70주년 기념 <도서관 음악회> || [[https://youtu.be/ckPvj6Ioweg?si=H4VUUCS85mrawi9-&t=220|국립중앙도서관 음악회 -박민성 ]] || || 10.17 || 브랜든 리 심포니 OST 콘서트 || || || 10.25 || 공연산책#6. 음악감독 이성준의 〈너의 꿈속에서〉 - 하남 || || === 음원 === || '''발매 연도''' || '''앨범명''' || '''비고''' || ||<|3> 2019년 ||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 [[https://kko.to/2ye9lukwWZ|[[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15]]]] || || 뮤지컬 벤허 || [[https://kko.to/k25WfIfdOo|[[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15]]]] || || 뮤지컬 [영웅본색] || [[https://kko.to/r74EqcfhWh|[[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15]]]] || || 2022년 || 뮤지컬 〈디아길레프〉 || [[https://kko.to/zPdEVAyGE1|[[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15]]]] || || 2023년 || 뮤지컬 [니진스키] 2022 ver. || [[https://kko.to/bBsREHjLpE|[[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15]]]] || == 여담 == * 2006년 아이돌 S.N.A로 먼저 데뷔했으며, 당시에는 민성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이후 [[뮤지컬]]을 하면서 [[본명]]을 사용하다가 2017년 [[벤허(뮤지컬)|벤허]]를 앞두고 현재의 박민성이라는 [[예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원래는 박민성이 본명이었다가 박성환으로 [[개명]]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박민성으로 살아온 세월이 길어 그 이름에 애착이 있고, 새로운 마음으로의 출발을 위해 예명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 2010년부터 2011년 중반까지 약 1년 반 동안 성악중창단 '유엔젤보이스' 에서 활동 후 뮤지컬 복귀작이 [[피맛골 연가]]였는데, 뮤지컬 배우로서의 긴 공백기를 지나고 오랜만의 복귀였기 때문인지 상대적으로 횟수가 적었던 얼터 공연이었음에도 애착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 본인의 [[프랑켄슈타인(뮤지컬)|프랑켄슈타인]] 막공 무대인사에서 편지를 낭독했다. 앙리와 괴물에게 쓴 편지였는데, 전문을 읽어보면 배역에 대한 애정이 드러난다. [[https://twitter.com/pms_info_bot/status/1033203023227408384|#]] 듣고 있던 어린 빅터 역의 배우가 울어서 다른 배우들이 달래주었다고 한다. 상대 역이었던 [[류정한]]이 본인의 막공 무인에서 이 편지를 언급했다.[* 극이 힘들어서 삼연 출연을 망설였었는데, 성앙의 편지를 듣고 누군가에게는 이 극에 출연하는게 절실하고 간절했다는 생각이 들어 많이 반성했고, 앞으로는 모든 배역에 감사하며 임하겠다는 이야기를 했다.] * [[여명의 눈동자]]에서 아들 박이든과 함께 공연했다. 팟캐스트 잇뮤지컬에서 캐스팅 비화를 밝혔다.[* 똑같이 아빠와 아들 역을 맡았는데, 성대치는 이든대운이와 함께하는 회차의 특정 씬에서 개새끼를 두 번 외쳤다고...] * 뮤지컬 [[벤허(뮤지컬)|벤허]]에서 나 메셀라 넘버를 잘 부르는 배우로 손꼽힌다. 이 넘버를 부르는 박민성의 발성을 분석하는 유튜브 영상이 따로 있을 정도.[* 나 메셀라 커튼콜에서 2분 정도의 노래를 숨을 끊지 않고 한 큐에 다 부른다. 이에 대해서는 더뮤지컬 7월호 인터뷰에서 이 영상을 본 지인들에게 연락이 많이 왔다며, 자신도 확인해보았는데 극찬해주셨다며 감사를 표했다.] * SNS를 하지 않는 대신 팬카페에 글과 사진을 올려 팬들과 소통한다. [* 인스타그램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료들이 골뱅이(@)와 함께 사자or호랑이 이모티콘을 사용하곤 한다.] * 커튼콜데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유는 다들 카메라를 들고 찍느라 평소처럼 환호를 해주지 않아 객석 반응을 알 수 없어서라고. * 퇴근길에서 덕들의 회전 독려를 많이 하는 편이다. [* 이때 회전문, 피라미드 등의 단어를 사용한다.] * 필모 과몰입(?)을 하는 경우가 꽤 많다. 덕후들이나 기자가 필모 캐릭터에 대해 질문을 하면 꼭 '제가' 라는 단어 등으로 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해 말하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 특히나 [[벤허(뮤지컬)|벤허]]의 메셀라의 경우, 유다 벤허가 나쁜놈이라는 발언까지하며 분노하는 모습을 보여 '메셀라 죄없어 협회'의 회장 자리를 주자는 반응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다. 하지만 필모 중 [[데스트랩(연극)|데스트랩]]의 시드니의 경우, 캐릭터가 캐릭터이다보니(...) '저는 아니고 시드니가~' 라며 캐릭터와 본인을 분리시켰다. * [[시데레우스]] 재연 때 연습실 LIVE 영상에서 계약조건에 띠용이 [* 극 중 갈릴레오가 책을 출간하기 위해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요청하러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물건으로, 머리띠에 철사를 감아 행성 모형들을 붙여 놓았다. ‘띠용이’ 라는 별명은 행성 모형들이 띠용거리기 때문에 붙었고 재연 때는 제작사가 뱃지를 MD로 판매하면서 공식 명칭이 되었다.] 있었다며 농담을 할 정도로 띠용이에 진심이다. 이후 공연 도중 망가졌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단체방에 해당 배우를 질타(?)하는 메세지를 보냈다고 한다. * 아들인 박이든 군도 아역 뮤지컬 배우로 활동한다. 2019년 [[여명의 눈동자]]에서 부자연기를 펼쳤고, 이후 2021년 [[프랑켄슈타인(뮤지컬)|프랑켄슈타인]]에서 어린 빅터 역으로 아들만 출연한다.[* 공교롭게도 박민성의 동료 배우 [[민우혁]]의 아들 역시 이름이 박이든인데(민우혁의 본명은 박성혁), 2021년 [[프랑켄슈타인(뮤지컬)|프랑켄슈타인]]에서는 민우혁이 어른 빅터 역으로 출연했다 보니 박이든 아빠 민우혁과 박민성 아들 박이든이 같은 캐릭터를 연기하는 재미있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후 2023년 뮤지컬 [[루드윅(뮤지컬)|루드윅]]에서 또 한 번 부자가 같이 출연하는데, 여기서는 과거를 회상하는 현재의 베토벤(박민성)과 어린 시절의 베토벤(박이든)-아들을 윽박지르던 베토벤의 아버지(박민성)와 그런 아버지를 무서워하면서도 음악에 애착을 가졌던 어린 베토벤(박이든)[* 이 장면에서는 처음에는 성인 배우가 베토벤의 아버지/아역 배우가 어린 베토벤을 연기하다가 나중에는 둘이 바뀌어 아역 배우가 베토벤의 아버지/성인 배우가 어린 베토벤을 연기하기도 하는데, 이 때문에 팬들이 '언제 또 아빠한테 그렇게 윽박질러 보겠냐'며 재미있어하기도 했다.]-회상 속 완전히 청력을 상실한 뒤의 베토벤(박민성)과 조카 카를의 어린 시절(박이든) 등 작중 시간의 흐름 속에서 교차되는 여러 모습으로 호흡을 맞추었다.[* 본래 해당 작품에서 아역 배우는 청년 시절 실청하기 시작한 베토벤과 짧게 인연을 맺은 소년 '발터' 역도 맡는데, 이때의 청년 베토벤은 다른 배우가 연기하기 때문에 이 장면에서는 박민성과 박이든이 서로 만나지 못했다.] * 성격이 꽤 불같은 면이 있는 모양. 멸화군 때의 [[https://youtu.be/sPXlUUZll7I?t=360|인터뷰(영상 6분경)]]에서 '성격이 가장 불같은 배우는?'이라는 질문에 한 명을 제외하고 출연 배우 전원이 박민성을 지목했으며, 본인도 알고 있는지 "왠지 다 나라고 했을 것 같은데...?"라며 자폭을 해 버렸다.(...) 또 미드나잇: 앤틀러스 때는 비지터 역을 맡아 대본을 읽어보고는 '연기할 필요가 없겠는데?'라면서 [[https://www.youtube.com/live/ku_RSAV39qY?feature=share&t=900|그냥 애들 괴롭히던 대로 하면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하는데, 비지터가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상당히 깐죽대며 놀려먹기를 좋아하는 캐릭터임을 생각하면 꽤나 짓궂은 아빠인 듯하다. * 2023년 1월 19일 '용의자X의 헌신'이라는 뮤지컬을 공연하던 도중 심각한 저혈압 증상으로 인해 대사 및 넘버 소화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했었고 이로 인해 다음날인 1월20일에 본인의 팬클럽 사이트에 사과문을 기재하였다. * 경복궁 궁중문화축전 궁중풍류 행사의 무대는 팬들 사이에서 '경복궁 황태자'라는 애칭이 생길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 * <프랑켄슈타인>에서는 앙리/괴물 역할을 맡았으나 OST에서는 빅터 역할로 참여했으며, <영웅본색> 에서는 마크 역할을 맡았으나 OST에서는 자호/자걸 역할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성준 음악감독님의 요청)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빈센트 반 고흐(뮤지컬) 역대 배우)] [include(틀:시데레우스 역대 배우)] [[분류:1982년 출생]][[분류:한국의 뮤지컬 배우]][[분류:창원시 출신 인물]][[분류:서경대학교 출신]][[분류:전주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뮤지컬 남배우]][[분류:2006년 데뷔]][[분류:2007년 데뷔]][[분류:개명한 인물]][[분류:재데뷔한 인물]][[분류:가수 출신 배우]][[분류:전직 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