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박스오피스/boxoffice.jpg|width=350]] {{{+3 Box Office}}} 원래의 뜻은 매표소. 매표소에서 표를 사서 영화를 관람했기에, 의미가 확장되어 어떤 [[영화]]의 흥행성적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는 용어로도 쓰이게 되었다.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매표시스템이 [[전산화]]되면서 20세기 말부터는 더 이상 영화표를 박스에서 파는 경우는 볼 수 없게 되었다. == 각국의 흥행 집계 방식 == 일반적으로 '지난주 박스오피스 1위'라는 식으로 그 주에 개봉 중인 영화들의 순위를 매겨 그 주에 어떤 영화가 흥행성적이 좋은지를 따지는데[* 다만 영화 홍보를 위한 광고의 경우 신빙성이 그리 높지는 않다. 영화 광고들을 보면 상당수의 영화들이 북미박스오피스 1위, 전미박스오피스 1위라고 홍보를 하며 2위, 3위라고 하는 경우는 절대 없는데 후술된 작품들처럼 정말 1위로 보이는 작품이 아니라 어떤 작품이든 무조건 박스오피스 1위를 붙이고 본다. 교묘하고 얄팍한 마케팅 전략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영화 자체를 제대로 평가하기 전에 광고에서 박스오피스 1위라고 하는 것을 믿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흥행성적을 따지는 기준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영화별 관객수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는 경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등. 이 중 독일은 [[2014년]]부터 매출로 갈아탔다.]도 있고, 흥행수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는 경우[* 상당히 많은 나라가 이런 방식으로 집계한다. [[미국]], [[일본]], [[영국]], [[중국]], [[호주]] 등.]도 있다. 관객수와 흥행수익은 정비례 관계이므로, 보통 어떤 영화의 박스오피스 순위가 높다는 것은 그 순위를 매긴 기준이 관객수이든 흥행수익이든, 관객수도 많고 흥행수익도 많이 냈다는 뜻이 된다. 과거에는 흥행기록을 정리하는 잡지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미국의 [[박스오피스 모조]]와 같은. [[대한민국]]의 경우 1990년대까지는 서울 지역을 기준으로 흥행을 가늠했으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갖춰진 뒤엔 이쪽 데이터를 사용한다. 2014년부터는 흥행수입을 지표로 하여 산출한다고 했으나 2018년 이후 관객수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고 있다. 하지만 통합전산망이 갖춰진 뒤로는 매출액도 조회할 수 있다. 한국 외에 주로 관객수로 집계하는 나라로는 [[프랑스]], [[독일]] 정도. 상술했듯 [[미국]]을 포함한 북미지역은 한국과 달리 매출액으로 흥행을 가늠한다. [[와이드 릴리스]]라면 당연히 통계가 나온다. [[제한적 상영|제한적으로 배급되는 영화]]의 경우 역시 제한적상영과, 일반상영분을 합쳐 집계한다. 일본의 경우 [[1950년대]] 부터 배급사가 가져가는 수입인 '''배급수입'''으로 집계하다가, [[2000년]]부터 현행 흥행수입 구조로 바뀌었다.[* 그래서 배급수입을 배급사:극장 자체 비율로 환산하는 바람에 흥행수입이 다소 달라질 수 있다.] [[멕시코]]와 [[브라질]]은 관객수와 흥행수입을 혼용하는 경우인데, [[2004년]] 이전까지는 물가상승과 관련된 문제때문에 관객수로만 집계되다, 물가의 안정화 기조가 정착된 이후 부터는 흥행수입과 관객수를 병행집계 하고 있다. == 역대 국가별 박스오피스 순위 == 전 세계와 [[대한민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역대 상영 영화 흥행 순위'''를 기록하였다. 내용이 과다하게 길어질 수 있어 '''상위 10위''' 영화까지만 작성한 것으로 보이나 내용 추가도 충분히 가능하다. 변동 사항이 있으면 변경해 줄 것. === 월드 와이드 === [[미국 달러]](US$)로 집계한 것이다. [[http://boxofficemojo.com/alltime/world/|참조]] [[https://www.the-numbers.com/box-office-records/worldwide/all-movies/cumulative/all-time|참조2]] [include(틀: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 프랜차이즈, 시리즈 ==== [include(틀:전 세계 영화 프랜차이즈 박스오피스)] ====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적용 ==== [include(틀: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물가 상승률 적용))] ==== 전 세계 오프닝 성적 ====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openings_for_films|참조]] * 1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2억 2360만 달러)''' (2019) * 2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6억 4050만 달러) (2018) * 3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6억 80만 달러) (2021) * 4위: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5억 4190만 달러) (2017) * 5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5억 2900만 달러) (2015) * 6위: [[쥬라기 월드]] (5억 2550만 달러) (2015) * 7위: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부]] (4억 8320만 달러) (2011) * 8위: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4억 5670만 달러) (2019) * 9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4억 5080만 달러 (2017) * 10위: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4억 5000만 달러) (2022) ==== 상영등급별 ==== 미국의 상영등급은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 문서 참조. ===== G 등급 ===== * 1위: '''[[토이 스토리 4]] (10억 7339만 달러) (2019)''' * 2위: [[토이 스토리 3]] (10억 6697만 달러) (2010) * 3위: [[라이온 킹]] (9억 6848만 달러) (1994) * 4위: [[니모를 찾아서]] (9억 4035만 달러) (2003) * 5위: [[몬스터 대학교]] (7억 4355만 달러) (2013) * 6위: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 (6억 2372만 달러) (2007) * 7위: [[몬스터 주식회사]] (5억 7970만 달러) (2001) * 8위: [[카 2]] (5억 5985만 달러) (2011) * 9위: [[월-E]] (5억 2131만 달러) (2008) * 10위: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5억 405만 달러) (1992) * 11위: [[리오 2]] (4억 9878만 달러) (2014) * 12위: [[토이 스토리 2]] (4억 9737만 달러) (1999) * 13위: [[카(애니메이션)|카]] (4억 6200만 달러) (2006) * 14위: [[타잔(애니메이션)|타잔]] (4억 4819만 달러) (1999) * 15위: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4억 2496만 달러) (1991) ===== PG 등급 ===== * 1위: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16억 5787만 달러) (2019)''' * 2위: [[겨울왕국 2]] (14억 5002만 달러) (2019) * 3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13억 3678만 달러) (2023) * 4위: [[겨울왕국]] (12억 8101만 달러) (2013) * 5위: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 (12억 6406만 달러) (2017) * 6위: [[인크레더블 2]] (12억 4308만 달러) (2018) * 7위: [[미니언즈]] (11억 5944만 달러) (2016) * 8위: [[알라딘(영화)|알라딘]] (10억 5069만 달러) (2019) * 9위: [[슈퍼배드 3]] (10억 3480만 달러) (2017) * 10위: [[도리를 찾아서]] (10억 2857만 달러) (2016) * 11위: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10억 2708만 달러) (2019) * 12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0억 2546만 달러) (2010) * 13위: [[주토피아]] (10억 2379만 달러) (2016) * 14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10억 696만 달러) (2001) * 15위: [[슈퍼배드 2]] (9억 7076만 달러) (2013) ===== PG-13 등급 ===== * 1위: '''[[아바타(영화)|아바타]] (28억 1077만 달러) (2009)''' * 2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27억 9750만 달러) (2019) * 3위: [[아바타: 물의 길]] (23억 2025만 달러) (2022) * 4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22억 164만 달러) (1997) * 5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억 6845만 달러) (2015) * 6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억 4835만 달러) (2018) * 7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8억 400만 달러) (2021) * 8위: [[쥬라기 월드]] (16억 7051만 달러) (2015) * 9위: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15억 1881만 달러) (2012) * 10위: [[분노의 질주 7]] (15억 1534만 달러) (2015) * 11위: [[탑건: 매버릭]] (14억 9349만 달러) (2022) * 12위: [[바비(영화)]] (14억 560만 달러) (2023) 진행중 * 13위: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14억 280만 달러) (2015) * 14위: [[블랙 팬서(영화)|블랙 팬서]] (13억 4759만 달러) (2018) * 15위: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13억 4222만 달러) (2011) ===== R 등급 ===== * 1위: '''[[조커(2019)|조커]] (10억 7425만 달러) (2019)''' * 2위: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9억 1650만 달러) (2023) * 3위: [[데드풀 2]] (7억 8636만 달러) (2018) * 4위: [[데드풀(영화)|데드풀]] (7억 8283만 달러) (2016) * 5위: [[매트릭스 2: 리로디드]] (7억 4184만 달러) (2003) * 6위: [[그것(영화)|그것]] (7억 179만 달러) (2017) * 7위: [[https://ko.m.wikipedia.org/wiki/%EB%8B%B9%EC%9D%B8%EA%B0%80%ED%83%90%EC%95%88_3|탐정 당인 3]] (唐人街探案 3) (6억 8626만 달러) (2021) * 8위: [[그것: 두 번째 이야기]] (6억 8395만 달러) (2019) * 9위: [[로건(영화)|로건]] (6억 1917만 달러) (2017) * 10위: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6억 1205만 달러) (2004) * 11위: [[행오버|행오버 2]] (5억 8676만 달러) (2011) * 12위: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영화)|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5억 6965만 달러) (2015) * 13: [[미인어]] (5억 5381만 달러) (2016) * 14위: [[19곰 테드]] (5억 4936만 달러) (2012) * 15위: [[아메리칸 스나이퍼]] (5억 4742만 달러) (2014) ==== 연도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 ==== 한해 동안 가장 흥행한 영화들을 가리키며, [[미국 달러]](US$)로 집계한다. 단위는 백만 달러. [[https://www.boxofficemojo.com/year/?area=XWW&grossesOption=totalGrosses|참조]] [[https://www.the-numbers.com/box-office-records/worldwide/all-movies/cumulative/|참조 2]] * [[1974년]]: [[타워링]] $203.3 * [[1975년]]: [[죠스(영화)|죠스]] $470.7 * [[1976년]]: [[록키]] $225.0 * [[1977년]]: [[스타워즈(영화)|스타워즈]] $530.0 * [[1978년]]: [[그리스(영화)|그리스]] $341.0 * [[1979년]]: [[007 문레이커]] $210.3 * [[1980년]]: [[제국의 역습]] $413.6 * [[1981년]]: [[레이더스(영화)|레이더스]] $321.9 * [[1982년]]: [[E.T.]] $619.0 * [[1983년]]: [[제다이의 귀환]] $385.8 * [[1984년]]: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 $333.1 * [[1985년]]: [[백 투 더 퓨쳐]] $381.1 * [[1986년]]: [[탑건(영화)|탑건]] $345.0 * [[1987년]]: [[위험한 정사]] $320.1 * [[1988년]]: [[레인 맨]] $354.8 * [[1989년]]: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 $474.2 * [[1990년]]: [[사랑과 영혼]] $505.7 * [[1991년]]: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519.8 * [[1992년]]: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504.1 * [[1993년]]: [[쥬라기 공원(영화)|쥬라기 공원]] $983.8[* 재개봉 후 $1,030.3] * [[1994년]]: [[라이온 킹]] $858.6 * [[1995년]]: [[다이하드 3]] $366.1 * [[1996년]]: [[인디펜던스 데이]] $817.4 * [[1997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1,842.8[* 재개봉 후 '''$2,201.6'''] * [[1998년]]: [[아마겟돈]] $553.7 * [[1999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983.6[* 재개봉 후 $1,027.0] * [[2000년]]: [[미션 임파서블 2]] $546.4 * [[2001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974.8[* 재개봉 후 $1,006.4] * [[2002년]]: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923.3 * [[2003년]]: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1,119.1 * [[2004년]]: [[슈렉 2]] $919.8 * [[2005년]]: [[해리 포터와 불의 잔(영화)|해리 포터와 불의 잔]] $896.9 * [[2006년]]: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1,066.2 * [[2007년]]: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 $963.4 * [[2008년]]: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 $1,003.0 * [[2009년]]: '''[[아바타(영화)|아바타]]''' '''$2,777.2''' * [[2010년]]: [[토이 스토리 3]] $1,067.0 * [[2011년]]: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1,341.5 * [[2012년]]: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1,518.8 * [[2013년]]: [[겨울왕국]] $1,276.5 * [[2014년]]: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1,104.1 * [[2015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68.2''' * [[2016년]]: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1,153.3 * [[2017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1,331.9 * [[2018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48.4''' * [[2019년]]: '''[[어벤져스: 엔드게임]]''' '''$2,797.5''' * [[2020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503.1[* 역대 최초 비영어권 영화 흥행 1위] * [[2021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901.2 * [[2022년]]: '''[[아바타: 물의 길]]''' '''$2,320.0''' * [[2023년]]: [[바비(영화)|바비]] $1,385.1 === [[대한민국]] === 관객수, 매출액 모두 집계하고 있으나, 주로 관객수가 기준이 된다. [[영화진흥위원회]] 역대 박스오피스 [[http://kobis.or.kr/kobis/business/stat/offc/findFormerBoxOfficeList.do|공식 통계 참조]] ==== 관객수 기준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문서 참조. * '''1위: [[명량]] (1,761만 3,682명) (2014)''' * 2위: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 (1,626만 1,990명) (2019) * 3위: [[신과함께-죄와 벌]] (1,441만 9754명) (2017) * 4위: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 (1,425만 7,115명) (2014) * 5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397만 6,004 명) (2019) 재개봉 * 6위: [[겨울왕국 2]] (1,374만 7,792명) (2019) * 7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362만 4,328명)[* 재개봉 포함/공식 통계, 스페셜에디션 및 리마스터링 제외] (2009) * 8위: [[베테랑(영화)|베테랑]] (1,341만 4,009명) (2015) * 9위: [[괴물(한국 영화)|괴물]] (1,301만 9,740명) (2006) [* 공식통계] * 10위: [[도둑들]] (1,298만 3,976명) (2012) * 11위: [[7번방의 선물]] (1,281만 1,206명) (2013) * 12위: [[알라딘(영화)|알라딘]] (1,278만 3,982명) (2019) 재개봉 * 13위: [[암살(2015)|암살]] (1,270만 5,700명) (2015) * 14위: [[범죄도시2]] (1,269만 3,195명) (2022) * 15위: [[광해, 왕이 된 남자]] (1,231만 9,542명) (2012) ===== 외화 순위 ===== * '''1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397만 6,004명) (2019)''' * 2위: [[겨울왕국 2]] (1,374만 7,792명) (2019) * 3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362만 4,328명)[* 재개봉 포함, 스페셜 에디션 관객수 15만명과 리마스터링 관객수 23만명을 추가하면 1위로 올라선다.](2009) * 4위: [[알라딘(영화)|알라딘]] (1,255만 931명) (2019) * 5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1,121만 2,710명) (2018) * 6위: [[아바타: 물의 길]] (1,080만 5,065명) (2022) * 7위: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1,049만 4,840명) (2015) * 8위: [[인터스텔라]] (1,030만 9,432명) (2014) * 9위: [[겨울왕국]] (1,029만 6,101명) (2014) * 10위: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994만 8,386명) (2018) * 11위: [[아이언맨 3]] (900만 1,679명) (2013) * 12위: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867만 7,249명) (2016) * 13위: [[탑건: 매버릭]] (817만 2,279명) (2022) * 14위: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802만 208명) (2019) * 15위: [[트랜스포머 3]] (778만 4,807명) (2011) ==== 매출액 기준 ==== * '''1위: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 (1,396억 3,549만 원) (2019)''' * 2위: [[아바타: 물의 길]] (1,376억 4,770만 원) (2022) * 3위: [[명량]] (1,357억 5,603만 원) (2014) * 4위: [[범죄도시2]] (1,312억 2,987만 원) (2022) * 5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253억 435만 원)[* 재개봉 포함](2009) * 6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220억 7705만 원) (2019) * 7위: [[신과함께-죄와 벌|신과 함께 - 죄와 벌]] (1,157억 608만 원) (2017) * 8위: [[겨울왕국 2]] (1,148억 1,042만 원) (2019) * 9위: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 (1,109억 3,836만 원) (2014) * 10위: [[알라딘(영화)|알라딘]] (1,088억 7,413만 원) (2019) ==== 프랜차이즈, 시리즈 ==== 관객수로 따진 순위. 출처는 대부분 [[KOBIS]]. 007 시리즈처럼 시리즈 중 일부가 미개봉했거나 서울 집계만 남은 작품이 과반수인 시리즈는 제외하길 바란다. * 1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120,512,381 명 2008년 * 2위: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 32,999,465 명 2001년 * 3위: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 32,051,097 명 2007년 * 4위: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27,880,961 명 (미션 임파서블, 미션 임파서블 2 - 전국 자료 부재, 서울만 포함) 1996년 * 5위: [[신과함께(영화)|신과 함께 시리즈]] 26,686,774 명 2017년 * 6위: [[범죄도시 시리즈]] 25,626,287 명 2023년, 진행중 * 7위: [[김한민 감독 이순신 3부작]] 24,873,197 명 2022년, 진행중 * 8위: [[아바타 시리즈]] 24,808,103명 (1편의 스페셜 에디션과 리마스터링 관객수 포함) 2022년 * 9위: [[스파이더맨 실사화 시리즈]] 24,705,844 명 ([[스파이더맨(영화)|스파이더맨]]-전국 자료 부재, 서울만 포함) 2002년 * 10위: [[겨울왕국 영화 시리즈]] 24,055,719 명 [* 여기에다 단편 영화 2편까지 합하면 약 420만명이 더 추가된다.] 2013년 ==== 상영등급별 ==== ===== 전체 관람가 ===== 관객수순. * 1위: '''[[겨울왕국 2]] 13,747,792명 (2019)''' * 2위: [[알라딘(영화)|알라딘]] 12,721,516명 (2019) * 3위: [[겨울왕국]] 10,302,310명 (2014) * 4위: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 7,233,079명 (2023) * 5위: [[말아톤]] 5,148,022명 (2005) * 6위: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 5,150,296명 (2017) * 7위: [[쿵푸팬더 2]] 5,064,796명 (2011) * 8위: [[인사이드 아웃]] 4,969,735명 (2015) * 9위: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4,802,276명 (2014) * 10위: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4,743,622명 (2019) * 11위: [[주토피아]] 4,706,158명 (2016) * 12: [[쿵푸팬더]] 4,654,260명 (2008) * 13위: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4,400,298명 (2011) * 14위: [[박물관이 살아있다!]] 4,242,847명 (2006) * 15위: [[집으로...]] 4,100,000명 (2002)[* 당시는 지금과 같은 통합전산망이 갖춰지기 전이라 관객수가 불분명하다.] ===== 12세 이상 관람가 ===== 관객수순. * 1위: '''[[신과함께-죄와 벌]] (1,441만 9754명) (2017)''' * 2위: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 (1,425만 7,115명) (2014) * 3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397만 6,004명) (2019) * 4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362만 4,328명) (2009) * 5위: [[괴물(한국 영화)|괴물]] (1,301만 9,740명) (2006) * 6위: [[신과함께-인과 연]] (1,227만 6,359명) (2018) * 7위: [[해운대(영화)|해운대]] (1,132만 5,228명) (2009) * 8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1,123만 3,176명) (2018) * 9위: [[아바타: 물의 길]] (1080만 5,065명) (2022) * 10위: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1050만 4,007명) (2015) * 11위: [[인터스텔라]] (1030만 9,432명) (2014) * 12위: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944만 8,386명) (2018) * 13위: [[엑시트]] (942만 6,051명) (2019) * 14위: [[아이언맨 3]] (900만 1,309명) (2013) * 15위: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867만 7,249명) (2016) ===== 15세 이상 관람가 ===== 관객수순 * 1위: '''[[명량]] (1,761만 3,682명) (2014)''' * 2위: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 (1,626만 1,990명) (2019) * 3위: [[베테랑(영화)|베테랑]] (1,341만 4,009명) (2015) * 4위: [[도둑들]] (1,298만 3,976명) (2012) * 5위: [[7번방의 선물]] (1,281만 2,144명) (2013) * 6위: [[암살(2015)|암살]] (1,270만 6,829명) (2015) * 7위: [[범죄도시2]] (1,269만 3,195명) (2022) * 8위: [[광해, 왕이 된 남자]] (1,232만 4,062명) (2012) * 9위: [[왕의 남자]] (1,230만 2,831명) (2005) * 10위: [[택시운전사]] (1,218만 9,658명) (2017) * 11위: [[태극기 휘날리며]] (1,174만 6,135명) (2004) * 12위: [[부산행]] (1,156만 5,078명) (2016) * 13위: [[변호인(영화)|변호인]] (1,137만 2,451명) (2013) * 14위: [[실미도(영화)|실미도]] (1,108만 1,000명) (2003) * 15위: [[기생충(영화)|기생충]] (1,031만 3,201명) (2019) ====== 외화 ====== * 1위: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750만 8,976명) (2011)''' * 2위: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658만 4,915명) (2018) * 3위: [[다크 나이트 라이즈]] (642만 8,566명) (2012) * 4위: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612만 6,488명) (2015) * 5위: [[미션 임파서블 3]] (570만 789명) (2006) * 6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562만 9,511명) [* 재개봉 포함] [* 당시는 통합전산망이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라 관객수가 부정확하다.당시 배급사가 발표한 520만 관객에서 재개봉 관객수를 포함한 수치다. ](1998) * 7위: [[조커(2019)|조커]] (525만 5,308명) (2019) * 8위: [[월드워Z]] (524만 4,336명) (2013) * 9위: [[터미네이터: 미래전쟁의 시작]] (456만 212명) (2009) * 10위: [[킹콩(2005)|킹콩]] (423만 2,430명) (2005) * 11위: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 (422만 6,242명) (2008) * 12위: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400만) (2023) * 13위: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396만 3,220명) (2014) * 14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3,912,416명) (2015) * 15위: [[베놈(영화)|베놈]] (388만 8,096명) (2018) ===== 청소년 관람불가 ===== 관객수순. * 1위: [[내부자들(영화)|내부자들]](감독판 포함) 9,156,925명 (2015) * 2위: [[친구(영화)|친구]] 8,181,377명 (2001) * 3위: [[범죄도시]] 6,880,546 명 (2017) * 4위: [[아저씨(영화)|아저씨]] 6,178,664 명 (2010) * 5위: [[타짜(영화)|타짜]] 5,686,147명 (2006) * 6위: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6,129,681명 (2015) * 7위: [[추격자]] 5,046,096명 (2008) * 8위: [[킹스맨: 골든 서클]] 4,945,484명 (2017) * 9위: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4,720,050명 (2012) * 10위: [[신세계(영화)|신세계]] 4,684,596명 (2013) * 11위: [[도가니(영화)|도가니]] 4,662,822명 (2011) * 12위: [[아가씨(영화)|아가씨]] 4,289,061명 (2016) * 13위: [[색즉시공(영화)|색즉시공]] 4,082,797명 (2002) * 14위: [[타짜: 신의 손]] 4,015,613명 (2014) * 15위: [[데드풀 2]] 3,784,630 명 (2018) ====== 외화 ====== * 1위: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6,129,681명 (2015)''' * 2위: [[킹스맨: 골든 서클]] 4,945,484명 (2017) * 3위: [[데드풀 2]] 3,784,630명 (2018) * 4위: [[데드풀(영화)|데드풀]] 3,322,773명 (2016) * 5위: [[300(영화)|300]] 2,929,561명 (2007) * 6위: [[원티드(영화)|원티드]] 2,867,594명 (2008) * 7위: [[테이큰]] 2,361,598명 (2008) * 8위: [[테이큰 2]] 2,308,646명 (2012) * 9위: [[로건(영화)|로건]] 2,070,084명 (2017) * 10위: [[원초적 본능]] 2,000,000명 (1992)[* 당시는 지금과 같은 통합전산망이 갖춰지기 전이라 관객수가 불분명하다.] * 11위: [[루시(영화)|루시]] 1,971,837명 (2014) * 12위: [[색, 계]] 1,866,900명 (2007) * 13위: [[나를 찾아줘(2014)|나를 찾아줘]] 1,764,233명 (2014) * 14위: [[존 윅 4]] 1,714,343명 (2023) (상영중) * 15위: [[블랙 스완(영화)|블랙 스완]] 1,623,199명 (2011) ==== 지역별 ==== [[한국의 지역별 박스오피스 순위]] 참조 ==== 연도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 * [[1998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5,921,785명 * [[1999년]]: [[쉬리(영화)|쉬리]] 6,973,394명 * [[2000년]]: [[공동경비구역 JSA]] 5,923,678명 * [[2001년]]: [[친구(영화)|친구]] 8,873,562명 * [[2002년]]: [[가문의 영광(영화)|가문의 영광]] 5,896,895명 * [[2003년]]: [[실미도(영화)|실미도]] 11,081,000명 *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 11,746,135명 * [[2005년]]: [[왕의 남자]] 12,302,831명 * [[2006년]]: [[괴물(한국 영화)|괴물]] 13,019,991명 * [[2007년]]: [[D-WAR]] 8,426,973명 * [[2008년]]: [[과속스캔들]] 8,245,523명 * [[2009년]]: [[아바타(영화)|아바타]] 13,624,328명 * [[2010년]]: [[아저씨(영화)|아저씨]] 6,179,525명 * [[2011년]]: [[트랜스포머 3]] 7,785,189명 * [[2012년]]: [[도둑들]] 12,984,701명 * [[2013년]]: [[7번방의 선물]] 12,812,144명 * [[2014년]]: '''[[명량]]''' '''17,615,919'''명 * [[2015년]]: [[베테랑(영화)|베테랑]] 13,414,484명 * [[2016년]]: [[부산행]] 11,567,662명 * [[2017년]]: [[신과함께-죄와 벌]] 14,414,669명 * [[2018년]]: [[신과함께-인과 연]] 12,278,010명 * [[2019년]]: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 16,266,338명 * [[2020년]]: [[남산의 부장들]] 4,750,345명[* 8년만에 박스오피스 1등이 1천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019년과 비교하면 '''무려 1120만여명'''이나 적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람들이 영화관을 잘 찾지 않았던 이유가 컸다. 이런 불황속에서도 500만명 가까운 관객을 동원한 것도 놀라운 일. 하지만 VOD나 TV, [[넷플릭스]] 등으로 본 사람도 많으니 이 영화를 본 사람은 딱 500만명이라고 말하긴 어렵다.] * [[2021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7,551,990명[* 코로나19가 한창인데도 불구하고 코로나19의 영향이 적었던 [[남산의 부장들]]보다 관객수가 더 높고 10년 만에 나온 외화 전체 박스오피스 1위 영화다.] * [[2022년]]: [[범죄도시2]] 12,693,415명[* [[2020년대]] 첫 [[천만 영화]]이다.] * [[2023년]]: === [[미국]] === [include(틀:미국 역대 영화 흥행 순위)] ==== 연도별 북미 박스오피스 1위 ==== * [[1950년]]: [[신데렐라(애니메이션)|신데렐라]] * [[1951년]]: [[#쿠오 바디스-3|쿠오 바디스]] * [[1952년]]: [[지상 최대의 쇼(영화)|지상 최대의 쇼]] * [[1953년]]: [[피터 팬(애니메이션)|피터 팬]] * [[1954년]]: [[#화이트 크리스마스-2|화이트 크리스마스]] * [[1955년]]: [[레이디와 트램프]] * [[1956년]]: [[십계(영화)|십계]] * [[1957년]]: [[#콰이 강의 다리-3|콰이 강의 다리]] * [[1958년]]: [[https://en.wikipedia.org/wiki/South_Pacific_(1958_film)|남태평양]] * [[1959년]]: [[벤허(1959년 영화)|벤허]] * [[1960년]]: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32063|스위스 로빈슨 가족]] * [[1961년]]: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 * [[1962년]]: [[지상 최대의 작전]] * [[1963년]]: [[클레오파트라(1963)|클레오파트라]] * [[1964년]]: [[메리 포핀스(영화)|메리 포핀스]] * [[1965년]]: [[사운드 오브 뮤직(영화)|사운드 오브 뮤직]] * [[1966년]]: [[천지창조#영화]] * [[1967년]]: [[졸업(영화)|졸업]] * [[1968년]]: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B%8B%88_%EA%B1%B8|화니걸]] * [[1969년]]: [[내일을 향해 쏴라]] * [[1970년]]: [[러브 스토리]] * [[1971년]]: [[https://en.wikipedia.org/wiki/Billy_Jack|빌리잭]] * [[1972년]]: [[대부(영화)|대부]] * [[1973년]]: [[엑소시스트(영화)|엑소시스트]] * [[1974년]]: [[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A0%88%EC%9D%B4%EC%A7%95_%EC%83%88%EB%93%A4%EC%8A%A4|브레이징 새들스]] * [[1975년]]: [[죠스(영화)|죠스]] * [[1976년]]: [[록키]] * [[1977년]]: [[스타워즈(영화)|스타워즈]] * [[1978년]]: [[슈퍼맨(영화)|슈퍼맨]] * [[1979년]]: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 [[1980년]]: [[제국의 역습]] * [[1981년]]: [[레이더스(영화)|레이더스]] * [[1982년]]: [[E.T.]] * [[1983년]]: [[제다이의 귀환]] * [[1984년]]: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B2%84%EB%A6%AC_%ED%9E%90%EC%8A%A4_%EC%BA%85|베벌리 힐스 캅]] * [[1985년]]: [[백 투 더 퓨처 시리즈|백 투 더 퓨처]] * [[1986년]]: [[탑건(영화)|탑건]] * [[1987년]]: [[https://ko.wikipedia.org/wiki/%EC%84%B8_%EB%82%A8%EC%9E%90%EC%99%80_%EC%95%84%EA%B8%B0_%EB%B0%94%EA%B5%AC%EB%8B%88|세남자와 아기바구니]] * [[1988년]]: [[레인맨]] * [[1989년]]: [[배트맨(1989년 영화)|배트맨]] * [[1990년]]: [[나 홀로 집에]] * [[1991년]]: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 [[1992년]]: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 [[1993년]]: [[쥬라기 공원(영화)|쥬라기 공원]] * [[1994년]]: [[포레스트 검프]] * [[1995년]]: [[토이 스토리]] * [[1996년]]: [[인디펜던스 데이]] * [[1997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 [[1998년]]: [[라이언 일병 구하기]] * [[1999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 [[2000년]]: [[https://ko.wikipedia.org/wiki/%EA%B7%B8%EB%A6%B0%EC%B9%98_(2000%EB%85%84_%EC%98%81%ED%99%94)|그린치]] * [[2001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 [[2002년]]: [[스파이더맨(영화)|스파이더맨]] * [[2003년]]: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2004년]]: [[슈렉 2]] * [[2005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 * [[2006년]]: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 [[2007년]]: [[스파이더맨 3]] * [[2008년]]: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 * [[2009년]]: [[아바타(영화)|아바타]] * [[2010년]]: [[토이 스토리 3]] * [[2011년]]: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 [[2012년]]: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 [[2013년]]: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 * [[2014년]]: [[아메리칸 스나이퍼]] * [[2015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 [[2016년]]: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 [[2017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 [[2018년]]: [[블랙 팬서(영화)|블랙 팬서]] * [[2019년]]: [[어벤져스: 엔드게임]] * [[2020년]]: [[나쁜 녀석들: 포에버]] * [[2021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 [[2022년]]: [[탑건: 매버릭]] ==== 물가 상승률 적용 ==== [[https://www.boxofficemojo.com/chart/top_lifetime_gross_adjusted/?adjust_gross_to=2020|참조]] * 1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미국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 * 2위: [[스타워즈(영화)|스타워즈]] (1977) * 3위: [[사운드 오브 뮤직(영화)|사운드 오브 뮤직]] (1965) * 4위: [[E.T.]] (1982) * 5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1997) * 6위: [[십계(영화)|십계]] (1956) * 7위: [[죠스(영화)|죠스]] (1975) * 8위: [[닥터 지바고]] (1965) * 9위: [[엑소시스트(영화)|엑소시스트]] (1973) * 10위: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1937) ==== 개봉 첫 주말 흥행 ==== 개봉 첫 주말([[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3일 간의 수치만을 말한다. [[http://www.boxofficemojo.com/alltime/weekends/|참조]] * 1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3억 5712만 달러)''' (2019) * 2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2억 6000만 달러) (2021) * 3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억 5769만 달러) (2018) * 4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억 4796만 달러) (2015) * 5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2억 2200만 달러) (2017) * 6위: [[쥬라기 월드]] (2억 880만 달러) (2015) * 7위: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2억 744만 달러) (2012) * 8위: [[블랙 팬서(영화)|블랙 팬서]] (2억 200만 달러) (2018) * 9위: [[라이온 킹(2019)]] (1억 9177만 달러) (2019) * 10위: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1억 9127만 달러) (2015) ==== 프랜차이즈, 시리즈 ==== [[http://boxofficemojo.com/franchises/?view=Franchise&sort=sumgross&order=DESC&p=.htm|참조]] * 1위: '''''' [[스타워즈 시리즈]] '''현재 상영중''' * 2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현재 상영중''' * 3위: [[해리포터 시리즈|J.K. 롤링의 위자딩 월드]] '''현재 상영중'''[* 스핀오프 [[신비한 동물사전]] 4부작 추가 개봉예정 및 기존의 해리포터 시리즈 포함] * 4위: [[배트맨 실사영화 시리즈]] '''현재 상영중''' * 5위: [[엑스맨 실사영화 시리즈]] '''현재 상영중''' * 6위: [[틀: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디즈니 실사영화 시리즈]] '''현재 상영중''' * 7위: [[007 시리즈]] '''현재 상영중''' * 8위: [[스파이더맨 시리즈]] '''현재 상영중''' * 9위: [[DC 확장 유니버스]] * 10위: [[레젠다리움]] ==== 상영등급별 ==== 미국의 상영등급은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 문서 참조. ===== G 등급 ===== [[https://www.boxofficemojo.com/alltime/domestic/mpaa.htm?page=G&p=.htm|참조]] * 1위: '''[[토이 스토리 4]] (4억 3404만 달러) (2019)''' * 2위: [[라이온 킹]] (4억 2278만 달러) (1994) * 3위: [[토이 스토리 3]] (4억 1500만 달러) (2010) * 4위: [[니모를 찾아서]] (3억 8084만 달러) (2003) * 5위: [[몬스터 주식회사]] (2억 9064만 달러) (2001) * 6위: [[몬스터 대학교]] (2억 6849만 달러) (2013) * 7위: [[토이 스토리 2]] (2억 4585만 달러) (1999) * 8위: [[카(애니메이션)|카]] (2억 4408만 달러) (2006) * 9위: [[월-E]] (2억 2381만 달러) (2008) * 10위: [[토이 스토리]] (2억 2323만 달러) (1995) * 11위: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2억 1897만 달러) (1991) * 12위: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2억 1735만 달러) (1991) * 13위: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 (2억 645만 달러) (2007) * 14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미국 영화)|바람과 함께사라지다]] (2억 85만 달러) (1939) * 15위: [[카 2]] (1억 9145만 달러) (2011) ===== PG 등급 ===== [[https://www.boxofficemojo.com/alltime/domestic/mpaa.htm?page=PG&p=.htm|참조]] * 1위: '''[[인크레더블 2]] (6억 858만 달러) (2018)''' * 2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5억 7322만 달러) (2023) * 3위: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5억 4364만 달러) (2019) * 4위: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 (5억 448만 달러) (2017) * 5위: [[도리를 찾아서]] (4억 8630만 달러) (2016) * 6위: [[겨울왕국 2]] (4억 7737만 달러) (2019) * 7위: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4억 7454만 달러) (1999) * 8위: [[스타워즈(영화)|스타워즈]] (4억 6100만 달러) (1977) * 9위: [[슈렉 2]] (4억 4123만 달러) (2004) * 10위: [[E.T.]] (4억 3511만 달러) (1982) * 11위: [[겨울왕국]] (4억 95만 달러) (2013) * 12위: [[미니언즈 2]] (3억 6970만 달러) (2022) * 13위: [[마이펫의 이중생활]] (3억 6838만 달러) (2016) * 14위: [[슈퍼배드 2]] (3억 6807만 달러) (2013) * 15위: [[정글북(영화)|정글북]] (3억 6400만 달러) (2016) ===== PG-13 등급 ===== [[https://www.boxofficemojo.com/alltime/domestic/mpaa.htm?page=PG-13&p=.htm|참조]] * 1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9억 3666만 달러) (2015)''' * 2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8억 5837만 달러) (2019) * 3위: [[아바타(영화)|아바타]] (7억 6051만 달러) (2009) * 4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7억 257만 달러) (2021) * 5위: [[탑건: 매버릭]] (7억 123만 달러) (2022) * 6위: [[블랙 팬서(영화)|블랙 팬서]] (7억 43만 달러) (2018) * 7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6억 7882만 달러) (2018) * 8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6억 5936만 달러) (1997) * 9위: [[아바타: 물의 길]] (6억 5902만 달러) (2022) * 10위: [[쥬라기 월드]] (6억 5239만 달러) (2015) * 11위: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6억 2336만 달러) (2012) * 12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6억 2018만 달러) (2017) * 13위: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 (5억 3523만 달러) (2008) * 14위: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5억 3218만 달러) (2016) * 15위: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5억 5152만 달러) (2019) ===== R 등급 ===== [[https://www.boxofficemojo.com/alltime/domestic/mpaa.htm?page=R&p=.htm|참조]] * 1위: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3억 7078만 달러) (2004)''' * 2위: [[데드풀(영화)|데드풀]] (3억 6307만 달러) (2016) * 3위: [[아메리칸 스나이퍼]] (3억 5013만 달러) (2014) * 4위: [[조커(2019)|조커]] (3억 3545만 달러) (2019) * 5위: [[그것(영화)|그것]] (3억 2883만 달러) (2017) * 6위: [[데드풀 2]] (3억 2459만 달러) (2018) * 7위: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2억 8200만 달러) (2023)[*상영중] * 8위: [[매트릭스 2: 리로디드]] (2억 8158만 달러) (2003) * 9위: [[행오버]] (2억 7732만 달러) (2009) * 10위: [[행오버|행오버 2]] (2억 5446만 달러) (2011) * 11위: 비버리 힐즈 캅 (2억 3476만 달러) (1984) * 12위: [[엑소시스트(영화)|엑소시스트]] (2억 3291만 달러) (1973) * 13위: [[로건(영화)|로건]] (2억 2628만 달러) (2017) * 14위: [[19곰 테드]] (2억 1882만 달러) (2012) * 15위: [[라이언 일병 구하기]] (2억 1705만 달러) (1998) === [[중국]] === [include(틀:중국 역대 영화 흥행 순위)] [[중국 영화]] 시장이 무섭게 성장하는 시장이라는 걸 입증이라도 하듯, '''기록이 순식간에 휙휙 바뀐다'''(...). [[2010년대]] 이후 작품들로만 채워져있으며, 과반수는 [[2020년대]] 작품들이다. [[중국]] 박스오피스 역대 1위 기록을 찍었던 [[2009년]] 작 [[아바타(영화)|아바타]]는 62위로 떨어졌다. 중국 역대 흥행 1,2,3위인 [[장진호(영화)|장진호]], [[전랑 2]], [[안녕, 리환잉]]은 비 할리우드 영화들 중에서 역대 전세계 박스오피스 100위권에 들어선 유일한 영화들이며, 특히 장진호는 중국 내수만으로 9억 달러라는 기록을 세우는 등 어째서 글로벌 대기업들이 [[Band in China|중국을 열심히 빨아주는지]] 돈으로 보여주었다. 코로나 시대로 들어선 2020년에는 '''아예 월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할 뻔 했으나,''' 아무도 예상치 못한 귀멸의 칼날의 대흥행으로 1위를 빼앗겼고, 2021년에도 9억 달러를 벌은 장진호가 박스오피스 1위를 노리고 있으나 스파이더맨의 개봉으로 다시 1위를 빼앗겼다. [[2023년]] 기준, 중국 영화가 역대 Top 10 중에 9편을 차지한다. 외국 영화로 중국 역대 박스오피스 Top 10에 들어간 영화는 '''[[어벤져스: 엔드게임]] 단 1편'''이다. 나머지 모든 외국 영화들은 2021년 들어서 중국 자국 영화들한테 [[전멸]]당했다. ====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 ==== 다음은 '''[[중국]]에서 상영된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이다. * 1위: '''[[장진호(영화)|장진호]] (长津湖) (57억 7545만 위안) (2021)''' * 2위: [[전랑 2]] (战狼 2) (56억 8874만 위안) (2017) * 3위: [[안녕, 리환잉]] (你好, 李焕英) (54억 1330만 위안) (2021) * 4위: [[나타지마동강세]] (哪吒之魔童降世) (50억 3502만 위안) (2019) * 5위: [[유랑지구]] (流浪地球) (46억 8674만 위안) (2019) * 6위: [[https://ko.m.wikipedia.org/wiki/%EB%8B%B9%EC%9D%B8%EA%B0%80%ED%83%90%EC%95%88_3|탐정 당인 3]] (唐人街探案 3) (45억 1505만 위안) (2021) * 7위: [[https://en.wikipedia.org/wiki/The_Battle_at_Lake_Changjin_II|장진호지수문교]] (长津湖之水门桥) (37억 1550만 위안) (2022) (진행중) * 8위: [[홍해행동]] (红海行动) (36억 5121만 위안) (2018) * 9위: [[탐정 당인 2]] (唐人街探案 2) (33억 9769만 위안) (2018) * 10위: [[미인어]] (美人鱼) (33억 9718만 위안) (2016) === [[홍콩]] === [[홍콩 달러]] (HK$)로 집계한다.[[https://zh.wikipedia.org/wiki/%E9%A6%99%E6%B8%AF%E6%9C%80%E9%AB%98%E9%9B%BB%E5%BD%B1%E7%A5%A8%E6%88%BF%E6%94%B6%E5%85%A5%E5%88%97%E8%A1%A8|참조]] * 1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2억 2190만 달러)''' (2019) * 2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억 8662만 달러) (2009) * 3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1억 5330만 달러) (2018) * 4위: [[아바타: 물의 길]] (1억 3866만 달러) (2022) * 5위: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1억 3306만 달러) (2015) * 6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1억 3162만 달러) (1997) * 7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억 2072만 달러) (2021) * 8위: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1억 1347만 달러) (2016) * 9위: [[탑건: 매버릭]] (1억 778만 달러) (2022) * 10위: [[아이언맨 3]] (1억 639만 달러) (2013) ====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 ==== 다음은 '''[[홍콩]]에서 상영된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이다. * 1위: '''[[콜드 워(2012)|코드네임: 콜드 워 2]]''' '''(6,682만 달러)''' (2016) * 2위: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6,185만달러) (2012) * 3위: [[쿵푸허슬]] (6,127만 달러) (2004) * 4위: [[소림축구]] (6,073만 달러) (2001) * 5위: [[엽문(영화)|엽문 3: 최후의 대결]] (6,026만 달러) (2008) * 6위: [[폴리스 스토리 4|폴리스 스토리 4 - 간단임무]] (5,751만 달러) (1996) * 7위: 홍번구 (5,691만 달러) * 8위: [[미인어]] (5,523만 달러) (2016) * 9위: [[무간도]] (5,505만 달러) (2002) * 10위: [[도신 2]] (5,254만 달러) (1994) === [[대만]] === [[신 대만 달러]] (NT$)로 집계한다.[[https://zh.m.wikipedia.org/zh/台灣最高電影票房|참조]] * 1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1억 달러)''' (2009) * 2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9.03억 달러) (2019) * 3위: [[쥬라기 월드]] (8.27억 달러) (2015) * 4위: [[분노의 질주: 더 세븐]] (8.19억 달러) (2015) * 5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7.89억 달러, 3D 재개봉 포함) (1997) * 6위: [[트랜스포머 3]] (7.6억 달러) (2011) * 7위: [[아바타: 물의 길]] (7.44억 달러) (2022) * 8위: [[탑건: 매버릭]] (7.34억 달러) (2022) * 9위: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6.5억 달러) (2017) * 10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6.41억 달러) (2018) ====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 ==== 다음은 '''[[대만]]에서 상영된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이다. * 1위: '''하이자오 7번지''' '''(5.3억 달러)''' * 2위: 워리어스 레인보우: 항전의 시작 (4.72억 달러) * 3위: 대미로만(David Loman) (4.28억 달러) * 4위: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4.2억 달러) (2012) * 5위: [[나의 소녀시대]] (4.1억 달러) (2015) * 6위: 카노 (3.3억 달러) * 7위: 워리어스 레인보우2: 최후의 결전 (3.18억 달러) * 8위: 진두(Din Tao, Leader of the Parade) (3.17억 달러) * 9위: 요리대전 (3.1억 달러) * 10위: [[쿵푸허슬]] (3억 달러) (2004) === [[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순위|일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순위)] [include(틀:역대 일본 영화 시장 흥행 상위)] [[엔화]](円)로 집계한다. ==== 실사 영화 흥행 순위 ==== * 1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277.7억 엔) (1997)''' * 2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203.0억 엔) (2001) * 3위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173.5억 엔) (2003) * 4위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영화)|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173.0억 엔) (2002) * 5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59.0억엔) (2009) * 6위 [[탑건: 매버릭]] (137.0억 엔) (2022) * 7위 [[라스트 사무라이]] (137.0억 엔) (2003) * 8위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영화)|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135.0억 엔) (2004)[* 8위부터 10위까지의 흥행 수익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객수순이다.1100만 관객 동원] * 9위 [[E.T.]] (135.0억 엔) (1982) [* 8위부터 10위까지의 흥행 수익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객수순이다.1069만관객 동원] * 10위 [[아마겟돈(영화)|아마겟돈]] (135.0억 엔) (1998) [* 8위부터 10위까지의 흥행 수익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객수순이다.890만관객 동원] ==== 일본 실사 영화 흥행 순위 ==== * 1위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173.5억 엔) (2003)''' * 2위 [[https://ja.wikipedia.org/wiki/%E5%8D%97%E6%A5%B5%E7%89%A9%E8%AA%9E|남극 이야기]] (110.0억 엔) (1983) * 3위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 (101.0억 엔) (1998) * 4위 [[https://ja.wikipedia.org/wiki/%E5%AD%90%E7%8C%AB%E7%89%A9%E8%AA%9E|밀로와 오티스의 모험]] (98.0억 엔) (1986) * 5위 [[극장판 코드 블루: 닥터헬기 긴급구명]] (93.0억엔) (2018) * 6위 [[천과 지|하늘과 땅]] (92.0억 엔) (1990) * 7위 [[영원의 제로]] (87.6억 엔) (2013) * 8위 [[루키즈|루키즈 극장판]] (85.5억 엔) (2009) * 9위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85.0억 엔) (2004) * 10위 [[신 고질라]] (82.5억 엔) (2016) ==== 프랜차이즈, 시리즈 ====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films_in_Japan|참조]] * 1위 [[도라에몽 극장판]] (1372억엔) '''1980-진행중''' * 3위 [[명탐정 코난 극장판]] (1008억엔) '''1997-진행중''' * 4위 [[포켓몬 극장판]] (941억엔) '''1998-진행중''' * 5위 [[스타 워즈]] (823억엔) '''1977-진행중''' * 6위 남자는 괴로워 (653억엔) 1969-1995 * 7위 [[고지라 시리즈]] (605억엔) '''1954-진행중''' * 8위 [[원피스 극장판]] (558억엔) '''2000-진행중''' * 9위 [[드래곤볼 극장판]] (523억엔) '''1986-진행중''' * 10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469억엔) '''2008-진행중''' * 11위 [[쥬라기 공원 시리즈]] (451억엔) '''1993-진행중''' * 12위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 (433억엔) '''2003-진행중''' * 13위 [[춤추는 대수사선]] (407억엔) 1998-2012 * 14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귀멸의 칼날 시리즈]] (404억엔) '''2020-진행중''' * 15위 [[겨울왕국 시리즈]] (389억엔) '''2014-진행중''' ==== 연도별 일본 박스오피스 1위 ==== [[https://pixiin.com/ranking-japan-boxoffice-ko/|참조]] [[http://www.eiren.org/boxoffice_e/index.html|참조 2]] * [[1993년]]: [[쥬라기 공원(영화)|쥬라기 공원]] 128.5억 엔 * [[1994년]]: [[스피드(영화)|스피드]] 70.3억 엔 * [[1995년]]: [[다이하드 3]] 72억 엔 * [[1996년]]: [[인디펜던스 데이]] 106.5억 엔 * [[1997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262억 엔 * [[1998년]]: [[아마겟돈(영화)|아마겟돈]] 135억 엔 * [[1999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127억 엔 * [[2000년]]: [[미션 임파서블 2]] 97억 엔 * [[2001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16.8억 엔 * [[2002년]]: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 173억 엔 * [[2003년]]: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175.5억 엔 * [[2004년]]: [[하울의 움직이는 성(애니메이션)|하울의 움직이는 성]] 196억 엔 * [[2005년]]: [[해리 포터와 불의 잔(영화)|해리 포터와 불의 잔]] 110억 엔 * [[2006년]]: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100.2억 엔 * [[2007년]]: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 109억 엔 * [[2008년]]: [[벼랑 위의 포뇨]] 155억 엔 * [[2009년]]: [[아바타(영화)|아바타]] 156억 엔 * [[2010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18억 엔 * [[2011년]]: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96.7억 엔 * [[2012년]]: 브레이브 하츠: 우미자루 73.3억 엔 * [[2013년]]: [[바람이 분다(애니메이션)|바람이 분다]] 120.2억 엔 * [[2014년]]: [[겨울왕국]] 255억 엔 * [[2015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116.3억 엔 * [[2016년]]: [[너의 이름은.]] 250.3억 엔 * [[2017년]]: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 124억 엔 * [[2018년]]: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131.1억 엔 * [[2019년]]: [[날씨의 아이]] 141.9억 엔 * [[2020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403억 엔 * [[2021년]]: [[극장판 주술회전 0]] 137.4억 엔 * [[2022년]]: [[원피스 필름 레드]] 193.5억 엔 === [[영국]] === [[파운드 스털링]](£)으로 집계한다. [[http://www.25thframe.co.uk/charts/top-grossing-movies-uk.php|참조]]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films_in_the_United_Kingdom|참조]] * 1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1억 2,180만 파운드)''' (2015) * 2위: [[007 스카이폴]] (1억 290만 파운드) (2012) * 3위: [[007 노 타임 투 다이]] (9,800만 파운드) (2021) * 4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9,690만 파운드) (2021) * 5위: [[007 스펙터]] (9,525만 파운드) (2015) * 6위: [[아바타(영화)|아바타]] (9,474만 파운드, 재상영 포함) (2009) * 7위: [[바비(영화)|바비]] (9,258만 파운드) (2023) * 8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8,870만 파운드) (2019) * 9위: [[탑건: 매버릭]] (8,328만 파운드) (2022) * 10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8,270만 파운드) (2017) === [[프랑스]] === 관객수로 집계한다. 다음 순위는 재상영까지 포함한 최종 수치.[[http://www.jpbox-office.com/top100.php?variable=France|참조]][[http://www.jpbox-office.com/v9_top100.php?view=2|참조]] * 1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2,177만 4,181명)''' (1997) * 2위: 알로 슈티! (2,048만 9,303명) (2008) * 3위: [[언터쳐블#s-6|언터쳐블 : 1%의 우정]] (1,949만 688명) (2012) * 4위: 빅 몹 (1726만 7607명) (1966) * 5위: [[옛날 옛적 서부에서]] (1,486만 2,764명) (1968) * 6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467만 7888명) (2009) * 7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미국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671만 9,236명) (1939) * 8위: [[아스테릭스|아스테릭스와 오벨릭스]] (1455만 9509명) (2002) * 9위: 십계명 (1422만 9745명) (1954) * 10위: [[아바타: 물의 길]] (1397만 306명) (2022) === [[독일]] === 주로 관객수로 집계한다. [[http://www.insidekino.de/DJahr/DAlltime100.htm|참조]]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 박스오피스를 표시하는 것은 [[유로]]화이다. 나중에 영화가 극장에서 내려가면 최종 관객 수만 따로 추산해서 발표하는 식이다. * 1위: '''[[정글북(애니메이션)|정글북]]''' '''(2,739만 3,531명)''' (1967) * 2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1,880만 9,599명, 재상영 포함) (1997) * 3위: [[옛날 옛적 서부에서]] (1,300만명, 추정치) * 4위: [[닥터 지바고]] (1,275만명, 추정치) * 5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1,256만 5,007명) (2001) * 6위: 튜니티라 불러다오 (1,226만 7,000명) * 7위: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 - 반지 원정대]] (1,193만 785명) (2001) * 8위: [[라이온킹]] (1,188만 8,184명) (1994) * 9위: 마니뚜의 신발 (1,172만 1,183명) * 10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130만 7,305명) (2009) === [[인도]] === 흥행 수익은 [[인도 루피|루피]]로 집계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films_in_India|참조]] * '''1위: [[바후발리 2: 더 컨클루전]] (142억 9830만 루피)''' (2017) * 2위: K.G.F: Chapter 2 (100억 루피) (2022) * 3위: [[RRR: 라이즈 로어 리볼트]] (94억 4000만 루피) (2022) * 4위: [[로봇(인도영화)#s-2.1|2.0]] (56억 5000만 루피) (2018) * 5위: [[당갈]] (53억 8030만 루피) (2016) * 6위: [[바후발리: 더 비기닝]] (51억 6000만 루피) (2015) * 7위: [[피케이|PK]] (46억 3330만 루피) (2015) * 8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44억 6000만 루피) (2019) * 9위: 카슈미르의 소녀 (44억 4920만 루피) (2015) * 10위: 타이거는 살아있다 (43억 4820만 루피) (2017) === [[이탈리아]] === 흥행수입은 [[유로]](€)로 집계하며, 관객수 자료도 집계하므로 함께 싣는다. [[https://it.wikipedia.org/wiki/Film_con_maggiori_incassi_in_Italia|참조]] ==== 매출액 기준 순위 ==== * 1위: '''[[아바타(영화)|아바타]]''' '''(6,567만 유로)''' (2009) * 2위: 쿼 바도? (Quo vado?) (6,534만 유로) (2016) * 3위: Sole a catinelle (5,194만 유로) (2013) * 4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5,022만 유로) (1997) * 5위: Tolo Tolo (4,620만 유로) (2020) * 6위: 왓 어 뷰티풀 데이 (4,347만 유로) (2011) * 7위: [[라이온 킹(영화)|라이온 킹]] (3,751만 유로) (2019) * 8위: [[인생은 아름다워]] (3,123만 유로) (1997) * 9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3,039만 유로) (2010) * 10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3,028만 유로) (2019) ==== 관객수 기준 순위 ==== * 1위: '''[[전쟁과 평화#s-5]]''' ''' (1,570만 7,723명)''' (1956) * 2위: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1,562만 3,773명) (1972) * 3위: [[황야의 무법자]] (1,479만 7,275명) (1964) * 4위: 튜니티는 아직도 내이름 (1,455만 4,172명) (1971) * 5위: [[석양의 건맨]] (1,454만 3,161명) (1965) * 6위: [[달콤한 인생]] (1,361만 7,148명) (1960) * 7위: 돈 카밀로 (1,321만 5,653명) (1952) * 8위: [[율리시스]][* [[율리시스(소설)]]와는 다른 내용이다.] (1,317만 322명) (1954) * 9위: 들고양이 (The Leopard) (1,285만 375명) (1963) * 10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1,259만 2,231명) (1955) === [[호주]] === [[호주 달러]](AU$)로 집계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films_in_Australia|참조]] * 1위: '''[[아바타(영화)|아바타]]''' '''(1억 1578만달러)''' (2009) * 2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9,404만달러) (2015) * 3위: [[아바타: 물의 길]] (9,338만달러) (2022) * 4위: [[탑건: 매버릭]] (9,333만달러) (2022) * 5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8,417만달러) (2019) * 6위: [[바비(영화)|바비]] (8,217만달러) (2023) * 7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8,048만달러) (2021) * 8위: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6,411만달러) (2019) * 9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6,202만달러) (2018) * 10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5,809만달러) (2017) ==== [[호주]] 제작 영화 흥행 순위 ==== '''순수 호주 국적''' 영화는 물론, '''호주의 자본을 들인''' 합작 영화도 포함한 순위이다. * 1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4,900만달러)''' (2015) * 2위: 크로커다일 던디 (4,770만달러) * 3위: 오스트레일리아 (3,755만달러) * 4위: 꼬마돼지 베이브 (3,677만달러) * 5위: [[해피 피트]] (3,178만달러) (2007) * 6위: [[라이언]] (2,772만달러) (2017) * 7위: [[물랑 루즈(영화)|물랑 루즈]] (2,773만달러) (2001) * 8위: [[위대한 개츠비]] (2,738만달러) (1925) * 9위: 크로커다일 던디 2 (2,491만달러) * 10위: 댄싱 히어로 (2,176만달러) === [[러시아]] === [[러시아 루블|루블]]화(руб), 또는 관객수로 집계하며 소련 시절의 흥행기록은 포함되지 앟는다. [[http://www.kinopoisk.ru/top/|참조]] [* 소련시절에 관객흥행 1위를 기록한 영화는 멕시코 영화작품인 예세니아(1971, Yesenia, 소련에서는 1975년 개봉, 관객수 약 9140만명)이며 소련영화 기준으로는 1979년작인 20세기의 해적들(Пираты XX века, 관객수 약 8760만명)이 최다 관객동원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위: '''[[아바타(영화)|아바타]]''' (2009) * 2위: [[캐리비안의 해적: 낯선 조류]] (2011) * 3위: [[스탈린그라드(2013)|스탈린그라드]] (2013) * 4위: [[슈렉|슈렉 포에버]] (2010) * 5위: [[아이스 에이지#s-2.4|아이스 에이지4-대륙이동설]] * 6위: [[장화신은 고양이(영화)|장화신은 고양이]] (2012) * 7위: [[마다가스카 3]] (2012) * 8위: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2014) * 9위: [[호빗: 뜻밖의 여정]] (2012) * 10위: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2012) ==== [[러시아]] 영화 흥행 순위 ==== * 1위: [[스탈린그라드(2013)|스탈린그라드]] (2013) * 2위: 운명의 장난 2 * 3위: 비이 * 4위: 데이 워치 * 5위: [[제독의 연인]] (2008) * 6위: 크리스마스 트리 3 * 7위: 나이트 워치 * 8위: 서로 떨어진 상점의 세 기사(Три богатыря на дальних берегах) * 9위: 더 베스트 무비 * 10위: 레전드 넘버17 === [[멕시코]] === 관객수, 흥행수입 모두 집계하나 주로 흥행수입을 기준으로 한다. 화폐 단위는 [[멕시코 페소]](Mex$).[[http://canacine.org.mx/informacion-de-la-industria/estadisticas/|참조1]] [[http://canacine.org.mx/taquilla/|참조2]] * 1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5억 3549만 페소)''' (2021) * 2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4억 7421만 페소) (2019) * 3위: [[토이 스토리 4]] (13억 7561만 페소) (2019) * 4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11억 4113만 페소) (2018) * 5위: [[코코(애니메이션)|코코]] (11억 3278만 페소) (2017) * 6위: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9억 9606만 페소) (2019) * 7위: [[조커(2019)|조커]] (8억 5808만 페소) (2019) * 8위: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8억 2721만 페소) (2012) * 9위: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7억 8410만 페소) (2015) * 10위: [[분노의 질주: 더 세븐]] (7억 7929만 페소) (2015) === [[브라질]] === 관객수로만 집계하다가[* 사실 19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브라질 물가상승률이 엄청나다보니까 흥행수입으로 집계하기 난감했던것도 있다. 이때는 아무리 엄청난 흥행수입을 기록해도 몇년만 지나면 듣보잡 영화 흥행수입만도 못하게 나올 지경이었던 시절이었다.] [[2004년]]부터는 흥행수입과 관객수를 병행 집계하고 있는데 주로 관객수를 기준으로 한다. [[https://pt.wikipedia.org/wiki/Lista_de_filmes_de_maior_bilheteria#endnote_B|참조]] * 1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968만 6,119명)''' (2019) * 2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768만명) (2021) * 3위: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1,705만 5,000명) (1997) * 4위: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1,626만 7,649명) (2019) * 5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1,457만 2,181명) (2018) * 6위: [[죠스(영화)|죠스]] (1,303만 5,000명) (1975) * 7위: Nada a Perder (1,194만 4,985명) (2018) * 8위: Minha Mãe é Uma Peça 3 (1,134만 4,782명) (2019) * 9위: 십계: 구원의 길 (1,125만 9,536명) (2016) * 10위: [[엘리트 스쿼드#s-3|엘리트 스쿼드 2]] (1,120만 4,815명) (2010) == 주요국 주차별 박스오피스 1위 종합 == * 아래 그림에 포함된 국가는 [[대한민국]], [[미국]], [[중국]], [[일본]], [[대만]], [[영국]], [[프랑스]], [[독일]] 시장이다. === [[2017년]] === [[파일:a78d99672ea9972c005b04d124087566.png]] [[https://ww.namu.la/s/84c769ff943a4f9fe62654c9cc6a9604522e8c206532471df1dfb11fec3e780812d5aa5b28a453995721f637c17a0ccaedd9a576d2a64fb34fb5df2474c5c5bffeae4f115d41ffa3d2f2c3629ee7d5ca201a88bffd2935e0831cca8db1b5ba11118ebacc62157eb618efc4ba6e4e52d4|크게 보기]] [[http://extmovie.maxmovie.com/xe/index.php?mid=movietalk&document_srl=36431632|자료 출처]] === [[2018년]] === [[파일:ef23f232018boxoffice23.png]] [[https://w.namu.la/s/2a2977261883533af92059d7148922209e74e057eebecb330bd5ad8645928afeca2209768b867370e235700c03dae9716fdef820e4c60e118ebe9d9832b19c1adc4ab01d7e628245284e47ddd9903f7e62617ce9c7a4c122e91a77feac9d9facb41adc81da92243adbe5875b90464804|크게 보기]] [[https://extmovie.maxmovie.com/xe/movietalk/42657850|자료 출처]] == 역대 장르별 박스오피스 순위 == ===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 순위 === ==== 세계 ==== * 1위: [[겨울왕국 2]] (14억 5002만 달러) (2019) * 2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13억 5975만 달러) (2023) * 3위: [[겨울왕국]] (12억 7650만 달러) (2013) * 4위: [[인크레더블 2]] (12억 4281만 달러) (2018) * 5위: [[미니언즈]] (11억 5939만 달러) (2015) * 6위: [[토이 스토리 4]] (10억 7339만 달러) (2019) * 7위: [[토이 스토리 3]] (10억 6317만 달러) (2010) * 8위: [[슈퍼배드 3]] (10억 3350만 달러) (2017) * 9위: [[도리를 찾아서]] (10억 2857만 달러) (2016) * 10위: [[주토피아]] (10억 2552만 달러) (2016) ===== 프랜차이즈, 시리즈 ===== [[https://m.the-numbers.com/movies/franchises/sort/World|출처]] * 1위: [[슈퍼배드]] 시리즈 (46억 1111만 달러) (2010~2020) * 2위: [[슈렉 시리즈]] (35억 4738만 달러) (2001~2019) * 3위: [[토이 스토리 시리즈]] (32억 7341만 달러) (1995~2022) * 4위: [[아이스 에이지]] 시리즈 (32억 662만 달러) (2002~2016) * 5위: [[겨울왕국 영화 시리즈]] (27억 6745만 달러) (2013~2019) * 6위: [[마다가스카]] 시리즈 (22억 7010만 달러) (2005~2019) * 7위: [[니모를 찾아서]] 시리즈 (19억 5764만 달러) (2003~2016) * 8위: [[인크레더블]] 시리즈 (18억 5725만 달러) (2004~2018) * 9위: [[쿵푸팬더]] 시리즈 (18억 1435만 달러) (2008~2016) * 10위: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16억 2870만 달러) (2010~2019) ===== [[셀 애니메이션|2D 애니메이션]] 순위 ===== * 1위: [[라이온 킹]] (9억 6848만 달러) (1994) * 2위: [[심슨 더 무비]] (5억 3641만 달러) (2007) * 3위: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5억 405만 달러) (1992) * 4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5억 306만 달러) (2020) * 5위: [[타잔(애니메이션)|타잔]] (4억 4819만 달러) (1999) * 6위: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4억 2496만 달러) (1991) * 7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억 3840만 달러) (2001) * 8위: [[너의 이름은.]] (3억 5800만 달러) (2016) * 9위: [[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3억 4608만 달러) (1995) * 10위: [[노틀담의 꼽추(애니메이션)|노틀담의 꼽추]] (3억 2534만 달러) (1996) ==== 대한민국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개봉 애니메이션 영화 상위 박스오피스)] ===== 프랜차이즈, 시리즈 순위 ===== 관객수 순(2022년 9월 17일 기준) * 1위: '''[[겨울왕국 영화 시리즈]] (2404만 9856명)''' 2013년 * 2위: [[쿵푸팬더 시리즈]] (1370만 3876명) 2008년 * 3위: [[슈렉 시리즈]] (1156만 5088명) 2001년 * 4위: [[슈퍼배드]] 시리즈[* [[미니언즈]], [[미니언즈2]] 포함] (1022만 5254명) 2010년 * 5위: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HE MOVIE|외전]] 포함, 24기까지의 기록.] (726만 4528명) 2008년 * 6위: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711만 684명) 2010년 * 7위: [[마다가스카]] 시리즈[* [[마다가스카의 펭귄(영화)|스핀오프]] 포함] (591만 9630명) 2005년 * 8위: [[토이 스토리]] 시리즈[* 1, 2편은 서울시 관객수만 포함] (586만 6931명) 1995년 * 9위: [[아이스 에이지]] 시리즈 (434만 318명) 2002년 * 10위: [[인크레더블]] 시리즈 (418만 8042명) 2004년 ===== [[한국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영화|영화]] 순위 ===== [include(틀: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박스오피스)] ===== [[일본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영화|영화]] 순위 ===== [include(틀: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한국 흥행 순위)] ====== 일본 [[심야 애니메이션]] [[극장판]] 순위 ======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SnottyMuddyTenderLine, 합의사항1=문단 존치 및 표제어를 '일본 심야 애니메이션 극장판'으로 고정으)] 관객수 기준. * 1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218만 9110명)''' (2021) * 2위: [[극장판 주술회전 0]] (66만 4439명) (2022) * 3위: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 마을로]] (53만 5901명) (2023) * 4위: [[러브 라이브! 더 스쿨 아이돌 무비]] (13만 3362명) (2015) * 5위: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12만 1946명) (2017) * 6위: [[하이큐!! 끝과 시작]] (9만 9854명) (2015) * 7위: [[노 게임 노 라이프 제로]] (9만 1212명) (2017) * 8위: [[극장판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헤븐즈 필 제3장 스프링 송]] (8만 7026명) (2020) * 9위: [[귀멸의 칼날: 남매의 연]] (6만 5536명) (2021) * 10위: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 (6만 3311명) (2017) ==== 미국 ==== * 1위: '''[[인크레더블 2]] (6억 858만 달러)''' (2018) * 2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5억 6628만 달러) (2023) * 3위: [[도리를 찾아서]] (4억 8629만 달러) (2016) * 4위: [[겨울왕국 2]] (4억 7737만 달러) (2019) * 5위: [[슈렉|슈렉 2]] (4억 4122만 달러) (2004) * 6위: [[토이 스토리 4]] (4억 3372만 달러) (2019) * 7위: [[라이온 킹]] (4억 2278만 달러) (1994) * 8위: [[토이 스토리 3]] (4억 1500만 달러) (2010) * 9위: [[겨울왕국]] (4억 73만 달러) (2013) * 10위: [[니모를 찾아서]] (3억 8084만 달러) (2003) ==== 일본 ==== * 1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403억 엔)''' (2020) * 2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17억 엔) (2001) * 3위: [[겨울왕국]] (255억 엔) (2013) * 4위: [[너의 이름은.]] (250억 엔) (2016) * 5위: [[모노노케 히메]] (201억 엔) (1997) * 6위: [[원피스 필름 레드]] (197억 엔) (2022) * 7위: [[하울의 움직이는 성(애니메이션)|하울의 움직이는 성]] (196억 엔) (2004) * 8위: [[벼랑 위의 포뇨]] (155억 엔) (2008) * 9위: [[스즈메의 문단속]] (143억 엔) (2022) * 10위: [[날씨의 아이]] (142억 엔) (2019) ===== [[극장판|극장판 애니메이션]] 순위 ===== [include(틀:역대 일본 TVA 극장판 흥행 순위)] ==== 중국 ==== [[https://www.douban.com/doulist/43539600/|출처]] * 1위: '''[[나타지마동강세]] (50억 7,458만 위안)''' (2019) * 2위: [[주토피아]] (15억 3036만 위안) (2016) * 3위: [[코코(애니메이션)|코코]] (12억 1184만 위안) (2017) * 4위: [[슈퍼배드 3]] (10억 3781만 위안) (2017) * 5위: [[쿵푸팬더 3]] (10억 176만 위안) (2016) * 6위: [[서유기: 대왕의 귀래]] (9억 5593만 위안) (2015) * 7위: [[쿵푸팬더 2]] (9억 5593만 위안) (2011) * 8위: [[판타스틱 부니베어]] (6억 1340만 위안) (2018) * 9위: [[너의 이름은.]] (5억 7666만 위안) (2016) * 10위: [[나의 붉은고래]] (5억 6511만 위안) (2016) ==== 대만 ==== * 1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5억 9,835만 달러)''' (2020) * 2위: [[겨울왕국 2]] (3억 4,392만 달러) (2019) * 3위: [[미니언즈]] (3억 2,100만 달러) (2015) * 4위: [[토이 스토리 4]] (3억 1,271만 달러) (2017) * 5위: [[주토피아]] (2억 8,890만 달러) (2016) * 6위: [[인크레더블 2]] (2억 6,056만 달러) (2018) * 7위: [[너의 이름은.]] (2억 5,025만 달러) (2016) * 8위: [[몬스터 대학교]] (2억 4,700만 달러) (2013) * 9위: [[토이 스토리 3]] (2억 1,000만 달러) (2010) * 10위: [[슈퍼배드 3]] (1억 8,293만 달러) (2017) === [[슈퍼히어로 영화]] === * [[슈퍼히어로 영화]] 문서의 흥행 문단 참조. === [[호러 영화]] === * 전세계 호러 영화 박스오피스 [[https://www.the-numbers.com/box-office-records/worldwide/all-movies/genres/horror|The Numbers 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horror_films|위키피디아 자료]] * 북미 호러 영화 박스오피스 [[https://www.the-numbers.com/box-office-records/domestic/all-movies/genres/horror|#]] === [[뮤지컬]] 영화 === * 전세계 뮤지컬 영화 박스오피스 [[https://www.the-numbers.com/box-office-records/worldwide/all-movies/genres/musical|The Numbers 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musicals#Box_office_revenue|위키피디아 자료]] == 기타 == * 배우별 누적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actors#Up_until_2000|#]] * 감독별 누적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film_directors|#]] == 관련 문서 == *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박스오피스 모조]] * [[영화 시장]] * [[흥행]] [[분류:기록을 세운 영화]][[분류:영화 관련 정보]][[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