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움 히어로즈/간략(투수))] ||
'''{{{#FFFFFF 박승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넥센 히어로즈|{{{#FFF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105번}}}''' || || 김상현[br](2015) || {{{+1 →}}} || '''박승주[br](2016)''' || {{{+1 →}}} || [[변상권]][br](2018) || ||<-5> '''{{{#FFFFFF [[넥센 히어로즈|{{{#FFF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95번}}}''' || || [[임혜동]][br](2016) || → || '''박승주[br](2017)''' || → || [[김은성]][br](2019)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96번}}}''' || || 김상현[br](2019) || → || '''박승주[br](2020)''' || → || [[주승빈]][br](2022~)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12번}}}''' || || [[신준우]][br](2020) || → || '''박승주[br](2021)''' || → || [[김현우(2001)|김현우]][br](2022)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42번}}}''' || || [[박주성(야구선수)|박주성]][br](2020~2021) || → || '''박승주[br](2022~)''' || → || [[현역#s-2]]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움 박승주 프로필.png|width=100%]]}}} || ||<-2> '''키움 히어로즈 No.42''' || ||<-2> '''{{{+2 박승주}}}[br]朴承珠 | Park Seungjoo''' || ||<|2> '''출생''' ||[[1994년]] [[2월 12일]] ([age(1994-02-12)]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화계초등학교|화계초]]^^(자이언츠리틀)^^ - [[언북중학교|언북중]] - [[경기고등학교 야구부|경기고]]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 || '''신체''' ||181cm | 96kg || || '''포지션''' ||[[중간계투]]||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년 [[육성선수]] ([[넥센 히어로즈|넥센]]) || || '''소속팀''' ||[[넥센 히어로즈|넥센]]-[[키움 히어로즈]] (2016~2017, 2020~) || || '''연봉''' ||4,500만원 (40.6%↑, 2023년) || ||<-2> [[https://www.heroesbaseball.co.kr/players/pitcher/view.do?num=400|[[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width=20]]]]{{{#000,#fff |}}}[[https://instagram.com/seungjoo_par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키움 히어로즈]]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경기고 시절에는 포수였으나 동국대 진학 후 투수로 전향했다. === [[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 히어로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segye.com/20170620001995_0.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heroesbaseball.co.kr/9587932d-5e5b-410a-9eb9-9b6756439789.jpg|width=100%]]}}} || ==== 2016 시즌 ==== 2016년 넥센 히어로즈에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 2017 시즌 ==== [[넥센 히어로즈/2017년/6월#s-7.2|6월 17일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선발 [[앤디 밴 헤켄]]의 뒤를 이어 등판, 3이닝 1실점을 기록하고 '''데뷔전'''에서 [[세이브]]를 올렸다. [[최준석]]과 [[이대호]]라는 수준급 타자들을 잘 잡아내며 9회까지 던졌고, 막판에 조금 힘이 빠져 공이 날려 볼넷과 사사구를 남발하긴 했지만 끝까지 마무리하는 데 성공하였다. 58개의 투구 가운데 무려 56개가 속구였는데, 경기 후 가진 인터뷰에 의하면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는 아니고 보유 구질 중에 속구가 가장 자신이 있어서였다고. 1군 데뷔전에서 세이브를 따낸 것은 KBO 리그 역대 26번째이다.[* 직전 사례로 14시즌 KIA의 [[하이로 어센시오|어센시오]]가 있고, 국내 선수 중 직전 기록은 13시즌 두산의 [[이정호(1992)|이정호]]가 있었다.] 타이트한 상황에서 마무리 투수가 기록하는 전형적인 세이브는 아니었지만 어쨌든 기록은 기록. 소속팀 [[장정석]] 감독에 의하면 예정된 투구 개수보다 더 많이 던졌지만 기록을 올릴 기회를 주기 위해서 조금 더 던지게 했다고 한다. 사실 점수차가 좀 큰 상태에서의 등판이었기에 긴 이닝을 맡길 수 있었던 것이고, 당장 주력 투수로 활약을 기대할 만한 상황도 아니긴 하지만, 최소한 가비지 타임에서는 좀 더 시험해볼 만도 했는데, 포수를 3명 올리고 투수 엔트리를 11명만 유지하는 장정석 감독의 정책으로 인해 [[조상우]]에게 자리를 만들어주기 위해 6월 20일 경기를 앞두고 2군으로 갔다. 그 이후에는 이렇다할 소식이 없다가, 2017 시즌 종료 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 2020 시즌 ==== 그러던 와중 2020년 4월 6일 현재 구단 공식 홈페이지에 다시 등록된 것으로 보아 군 복무를 하고 다시 육성선수로 입단한 듯 하다. 7월 7일 갑자기 1군에 등록되었다. 부족한 불펜 자원을 메꾸려는 듯 하다. 데뷔 2번째 등판인 7월 10일 KIA전에서 11회말 등판해 1사 1,2루 상황에서 대타로 등장한 [[최원준(1997)|최원준]]에게 2-유간을 가르는 끝내기 안타를 허용했다. ⅓이닝 2피안타 1탈삼진 1볼넷을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 2021 시즌 ==== 1군에서 많은 기회를 받지 못했다. ==== 2022 시즌 ==== 2022년에 들어서는 [[조상우]], [[김성민(1994)|김성민]] 등의 이탈로 자리가 생긴 1군 불펜에서 패전조로 콜업되어 나름 괜찮은 활약을 해주고 있다. 6월 4일 기준 10경기 등판해 9⅔이닝을 던지며 무실점을 기록하고 있고 피안타도 3개밖에 기록하지 않았다. 단 안타를 안 맞는 만큼 볼넷을 내주긴 하지만 그래도 패전조가 ERA 0, WHIP 1.03을 기록하고 있을 정도면 충분히 차고 넘치는 셈. 8월 26일 NC전 4회말에 만루를 만들어 놓고 강판된 [[김선기]]의 뒤를 이어 이닝을 실점 없이 끝낸 후, 5회말도 삼자범퇴로 막았다. 이후 [[김성진(1997)|김성진]], [[김태훈(1992)|김태훈]], [[김재웅]]이 자신들의 역할을 해 주며 2017년 데뷔 이후 첫 번째 승리를 챙겼다. 8월 들어서 자주 나오고 있는데도 성적이 나쁘지 않다. ==== 2023 시즌 ==== 5월 두 경기를 던지고 고양에 내려갔고, 8월 1일 LG전을 앞두고 오랜만에 콜업되어 8회 4~7번 타순을 1피안타로 잘 막았다. 이날은 직구와 슬라이더만 구사했다. 8월부터 투수진에 공백이 생긴 팀을 위해 마당쇠 및 세컨더리 셋업맨 역할을 수행한다. 궂은 상황에서 멀티이닝도 자주 소화하며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는 중. 9월15일 사직 롯데전에서 10회 말 끝내기 [[밀어내기(야구)|밀어내기]]로 팀은 패배하게 되고 패전투수가 되었다. 그리고 16일 엔트리 말소 되었다. == 피칭 스타일 == 리그 최상위권의 수직 무브먼트와 2683 rpm 정도의 준수한 분당 회전수의 포심 패스트볼이 위력적이다. 평균 구속은 140, 최고 구속은 148로 구속이 그리 빠른 편이 아니나 묵직한 구위로 아웃 카운트를 잡아내는 스타일이다. == 연도별 성적 == ||<-18>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6 ||<|2> [[키움 히어로즈|넥센]] ||<-17> 1군 기록 없음 || || 2017 || 1 || 3 || 0 || 0 || 1 || 0 || - || 3.00 || 165.8 || 0 || 0 || 3 || 0 || 1 || 1 || 1.00 || || 2018 ||<-17><|2> 1군 기록 없음[* 상술했듯 이 기간 동안에는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어 있었다.] || || 2019 || || 2020 ||<|3> [[키움 히어로즈|키움]] || 5 || 3⅔ || 0 || 1 || 0 || 0 || 0.000 || 19.64 || 24 || 10 || 0 || 5 || 3 || 8 || 8 || 4.09 || || 2021 || 3 || 4⅓ || 0 || 0 || 0 || 0 || - || 4.15 || 106.8 || 3 || 0 || 3 || 1 || 2 || 2 || 1.38 || || 2022 || 27 || 25 || 1 || 0 || 0 || 0 || 1.000 || 4.32 || 92.6 || 20 || 3 || 21 || 22 || 12 || 12 || 1.64 || ||<-2> '''[[KBO 리그|KBO]] 통산 [br] (4시즌)''' || 36 || 36 || 1 || 1 || 1 || 0 || 0.500 || 5.75 || 78.3 || 33 || 3 || 32 || 26 || 23 || 23 || 1.81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승주, version=25, paragraph=2)]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키움 히어로즈/현역]][[분류:언북중학교 출신]][[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동국대학교 출신]][[분류:투수로 전향한 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