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등래퍼2에 참가했었던 본명이 박영서인 래퍼, rd1=Cloudybay)]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롤스타 상/SUPPOR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yhem_Kariv2023.jpg |width=100%]]}}} || ||<-2> '''{{{+1 KariV}}}''' || ||<-2> {{{#000 '''박영서 (Bak Young-seo)'''}}} || || '''출생''' ||[[1998년]] [[1월 8일]] ([age(1998-01-08)]세)[br][[인천광역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ID''' ||'''KariV'''[br]CMZ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UPPORT[* DPS → SUPPORT → DPS → SUPPORT] || || '''주 영웅''' ||[[젠야타|[[파일:젠야타 초상화.png|width=30]]]] [[아나(오버워치)|[[파일:아나 초상화.png|width=30]]]] [[바티스트(오버워치)|[[파일:바티스트 초상화.png|width=30]]]][[모이라(오버워치)|[[파일:모이라 초상화.png|width=30]]]] [[위도우메이커|[[파일:위도우메이커 초상화.png|width=30]]]] [[맥크리|[[파일:맥크리 초상화.png|width=30]]]] [[자리야|[[파일:자리야 초상화.png|width=30]]]][* 딜러와 탱커, 힐러 모두를 다룰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FLEX다.] || || '''소속''' ||[[파일:Mighty_logo.png|width=20]] [[Mighty|Mighty AOD]][br](2016.06.10 ~ 2017.06.02) '''[[Immortals|[[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Immortalslogo_square.png|width=20]] Immortals]]'''[br]'''(2017.06.02 ~ 2017.11.02)'''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width=20]] LA 발리언트 ]]'''[br]'''(2017.11.02 ~ 2019.10.24)'''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 [br](2019.10.24 ~ 2020.10.25) [[광저우 차지|[[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width=20]] 광저우 차지]][br](2020.11.11 ~ 2021.10.04) [[플로리다 메이헴|[[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width=25]] 플로리다 메이헴]][br](2022.04.05 ~ 2022.06.15) [[플로리다 메이헴|[[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width=25]] 플로리다 메이헴]] {{{-3 코치}}}[br](2022.06.15 ~ 2022.09.01) [[Twisted Minds|[[파일:twis_logo_full.png|width=20]] Twisted Minds]] {{{-3 코치}}}[br](2022.12.01 ~ 2023.07.06)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0]] 보스턴 업라이징 ]]{{{-3 코치}}}[br](2023.07.06 ~ 2023.10.13)''' || || '''국가대표'''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출력= )] {{{-3 코치}}} ([[2023 오버워치 월드컵|2023]]) || ||<-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arivOW,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karivow/?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kariv2|[[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m.douyu.com/9643365|DOUYU]][* 중국의 개인 방송 사이트, 전 소속 팀 광저우 차지의 스폰서 기업.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출신의 [[플로리다 메이헴]] 소속 오버워치 前 프로게이머. == 주요 경력 == ||<-5> '''{{{#fff 우승 경력}}}''' || ||<-5> '''[[2017 오버워치 컨텐더스 북미 시즌 제로]] 우승''' || || 대회 출범 || → || '''Immortals''' || → || [[EnVyUs/오버워치|EnVyUs]] || ||<-5>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스테이지4 결산#s-3.1|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스테이지4]] 우승''' || || [[뉴욕 엑셀시어]] || → || '''LA 발리언트''' || → || [[밴쿠버 타이탄즈]] || ||<-5> '''{{{#white 수상 경력}}}''' || ||<-5> '''[[2019 오버워치 리그]] 롤스타 상 SUPPORT 부문''' || || 대회 출범 || → || '''박영서'''[br][[박호진(프로게이머)|박호진]][br][[이주석(프로게이머)|이주석]][br][[그랜트 에스피]] || → || 미정 || == 상세 == [[구판승|Fate]] 선수와 함께 [[Mighty|Mighty AOD]] 출신 선수이다. 원래는 DPS였으나 [[정준(프로게이머)|Erster]]와 포지션 스왑을 하였다. 그 이후 마이티의 경기력이 올라가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3]]에서 당시 준우승까지 올라갔던 [[콩두 판테라]]를 이겼을 정도이다. [[Immortals]]를 거쳐 [[LA 발리언트]]에서 꾸준히 활약중이다. 개인방송에서는 원래 DPS 출신인 만큼 [[솔저: 76]]이나 [[위도우메이커]]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미친에임 카리브] 2019년에는 히트스캔 DPS를 담당하던 [[SoOn]]이 [[파리 이터널]]로 이적함에 따라 다시 한 번 DPS 롤을 맡기도 했다.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1 5주차 서울 다이너스티와의 경기 3세트 오아시스에서 [[김병선(프로게이머)|Fleta]]의 EMP를 미리 피해서 소리방벽으로 팀원들을 구해내는 센스를 보였다.[* 더군다나 이때 LA 발리언트가 EMP를 받으면 큰 영향을 입는 라인하르트, 자리야, 로드호그, 디바 4탱커에 모이라와 루시우로 구성되어 있었다.] 아나, 젠야타, 루시우, 모이라, 메르시 등 모든 힐러를 수준급으로 다루고 로드호그, 자리야 같은 서브탱커는 물론 바스티온, 트레이서, 한조, 위도우메이커, 솔저, 겐지, 심지어는 파라까지 다뤄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사실상 오버워치 리그에서 가장 넓은 영웅폭을 자랑하고 있다. 실제로 시즌 중 18개의 영웅을 다뤄내며 '가장 많은 영웅을 플레이한 선수'에 이름을 올렸다. 게다가 위도우 실력이 출중한지라 위도우 장인으로 유명한 [[휴스턴 아웃로즈]]의 [[린저]]를 상대로 근소 우위로 싸우는 모습을 보였고, [[샌프란시스코 쇼크]]의 [[안드레이 프란시스티|베이비베이]]를 상대로 미친 듯한 위도우 캐리력을 뽐내며 킬뎃 9.5의 위도우 POTM을 받기도 하였다. 스테이지 2때는 [[어질리티]]의 부진 때문에 [[SoOn]]과 같이 DPS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며, 이 기간에는 무너지는 팀을 거의 홀로 지탱했다고 평가받을 정도로 캐리력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물론 주 영웅인 젠야타도 파괴력이나 안정성, 궁배분 등에 있어서 최고로 꼽히는 [[박세현(프로게이머)|네코]], [[비도신]], 심지어 리그 후반엔 독보적인 세계 최고의 젠야타인 [[쪼낙]]과 맞먹거나 상회하는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어질리티]]가 다시 폼이 올라옴과 동시에 [[Bunny]]등 실력있는 딜러들의 영입, 서브힐러보다 메인힐러를 더 잘 다루는 [[Custa]]가 들어오고 서브힐러 쪽에 훨씬 더 가까운 [[uNKOE]]가 [[댈러스 퓨얼]]로 트레이드되며 메인힐러나 딜러로 활약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다만 위도우메이커는 경우에 따라 가끔 나오는데, 피지컬이 꽤나 올라온 [[SoOn]]조차 KariV보다는 위도우메이커 실력이 떨어진다고 평가받을 정도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위도우플레이는 4스테이지의 LAV-LAG전으로, 호라이즌에서 팀의 2번째 공격(2점을 먹은 후 2점을 먹히고 다시 공격할때)에서 맹렬하게 활약했다. 이후 리그에서 제공한 시즌1의 치명타 수치가 가장 높은 위도우 랭킹에 1위로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다. 2018년, 현재 한국에선 국가대표 유력 후보로 꼽혔으면 하는 선수로 기대를 받았고 7월 3일, 국가대표 12인 로스터 중 한 명이 되었다.[[https://twitter.com/OwwcKoreaTeam/status/1154695194979139584?s=19|공식 트윗]] 다만 아쉽게도 예선/8강 전부 7인 로스터에 들진 못했다.[[https://twitter.com/OwwcKoreaTeam/status/1156772423737327616?s=19|공식 트윗]] 당시 메타가 [[쪼낙]]같은 영웅폭이 작지만 강한 서브힐러보다는 실력이 조금 떨어져도 카리브처럼 FLEX로 활동할 수 있는 서브 힐러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향후 본선에서는 국가대표 후보로 뽑힐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수준급 위도우와 트레이서 , 로드호그 등 현재 메타에 FLEX로써 참여할 수 있는 최적의 영웅폭을 갖췄다.] 그 이후 2018 오버워치 리그 후반에 유행하던 2스나+오리사+D.Va+로드호그+메르시 조합이 3탱3힐을 상대로 약한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본선 로스터에 포함되기 힘들어졌다는 의견과, 딜러/힐러에 모두 숙련된 카리브를 6인 로스터에 넣은 뒤 [[홍연준|아크]]나 [[아나모]], [[쪼낙]], 탱커 둘과 탱커와 히트스캔/투사체 딜러 모두 출중한 [[김해성|리베로]]나 [[김병선(프로게이머)|플레타]]를 넣고 3탱(2탱+플레타/리베로) 3힐(카리브+아나모/아크+쪼낙)조합과 2딜(카리브+리베로/플레타) 2탱(레킹볼+디바) 2힐(쪼낙+아크/아나모)조합을 모두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의견이 대립했었다. 특히 레킹볼을 메인탱커로 하는 2-2-2에서는 조합이 유동적이지 못했고, 3탱 3힐로 변경할 때에는 딜러 둘이 힐러/탱커(주로 자리야)를 하나씩 맡거나 아예 힐러가 2-2-2시에 딜러를 맡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이 경우에 특히 딜러와 힐러의 포지셔닝이나 플레이 스타일에 큰 갭[* 현재나 그 전 메타에서도 긴 기간(직전의 2스나 3탱 메르시 메타, 브라자, 돌진 조합, 위도우-정크렛-윈스턴-디바-메르시-젠야타까지.) 동안 모두 딜러가 기용 될 경우 매우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요구했었다. 현재의 자리야 역시 상대의 디바나 자리야를 견제하며 궁을 빠르게 채우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에 플레이 스타일이 크게 다르지 않다.]이 있기에[* 서울 다이너스티의 기도 선수를 보자.] 딜러 전담 선수가 힐러를 맡는 경우에 전체적인 조직력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었다. 하지만 모든 딜러와 모든 힐러를 최상위권으로 운용할 수 있는 카리브가 6인 로스터에 있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사라졌었다. 즉, 당시 메타에 맞는 가장 이상적인 플레이어라고 할 수 있다.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을 앞두고 딜러로 전향하였다. 시즌 전 쑨이 [[파리 이터널]]로 이적한 것을 딜러 기량까지 훌륭한 카리브로 메꾸고, 빈 서브힐러 자리에는 팀 내 훌륭한 서브힐러 유망주로 평가받는 이자야키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츠 메타에서 자리야의 기량도 다소 부진하고 이자야키의 초월 판단도 아쉬운 모습을 보여 다시 서브힐러로 돌아왔다. 물론 히트스캔 능력은 뛰어나기 때문에 언제든지 flex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다. 19년 6월 24일, [[밴쿠버 타이탄즈|밴쿠버]] 전에서는 아나로 [[김효종(2000)|학살]]의 파라를 숨도 못쉴 정도로 잠재웠으며, 다른 밴쿠버 팀원들도 거의 매 한타마다 재우고 시작하여 강제로 5대6 싸움을 시작하는 경악할 만한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그에 걸맞게 MVP를 수상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eWCKRnHdpP8|밴쿠버를 패배시킨 카리브의 아나]] 이 경기 뿐만 아니라, 전 경기에서도 상하이 드래곤즈의 띵 선수를 전담마크하여(EMP 쓰기 직전의 솜브라를 재우는 등) 무지막지한 아나 플레이를 보여주면서 '''세계 최고의 아나'''로도 거론되기 시작하고 있다. 개인 활동과는 별개로 팀이 스테이지 2부터 팀 체질 개선에 박차를 가해 스테이지 4 시작 직전에는 그 많던 한국인 선수들을 트레이드, 방출, 은퇴 등으로 전부 내보냈다. 당시 LA 발리언트의 유일한 한국인 선수였으나, 이후 토론토로 이적하였다. 토론토에서는 소년가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전 경기에 출전하며 팀이 위기에 빠졌을 때 힐밴과 모아쏘기로 활로를 뚫어줬다. [[https://youtu.be/Kc4Ok1AuFDM?t=6405|혼자 4킬하는 카리브(POTM)]] 피셔에게는 실수가 없다는 칭찬도 들을 정도이다. 부진한 팀에서 유일하게 제몫을 다해주는 선수라는 평이다. 이후 [[광저우 차지]]로 이적했다. 상하이전 첫 맵인 리장타워에서 젠야타로 상대 포커싱에 녹아 초월 타이밍을 놓치는 큰 실수가 있었다. 젠야타와 아나, 모이라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다루고 있음을 증명했으나 바티스트의 핵심 스킬인 불사장치 판단이 많이 아쉽다는 평이다. 시즌 종료 후에는 [[플로리다 메이헴]]으로 이적하였다. 공교롭게도 2016~17년사이 [[Mighty|Mighty ADO]]에서 같이 활동했던 [[정태성(프로게이머)|아나모]]와 같은 팀이 되었다. 메이헴에서는 코치직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메이헴의 코치로 있다가 9월1일 본인이 직접 계약해지를 했다는 소식이 트위터에 올라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19 오버워치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팀/후보 12인)]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정규 시즌 미출전 선수)] [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사우디아라비아 대표팀)]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1998년 출생]][[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트위치 스트리머]][[분류:나무위키 인터넷 방송인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