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해군작전사령관)] ---- [include(틀:해군교육사령관)] ---- [include(틀:제3함대사령관)] ---- [include(틀:박근혜 정부의 국무위원)]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A24, #993334 20%, #993334 80%, #801A24)" '''{{{#fff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ffffff 대한민국 제40대 합동참모차장}}}]] [br] {{{+1 박인용}}} [br] 朴仁鎔 | Park In-yong}}}'''}}}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age.kmib.co.kr/201411181611_61110008868449_1.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52년]] [[9월 1일]] ([age(1952-09-01)]세) ||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화접리[br](현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밀양 박씨]] 집성촌이다.] || ||<|2> '''{{{#ffffff 복무}}}''' ||[[대한민국 해군]] || ||1974년 ~ 2008년 || ||<|4> '''{{{#ffffff 재임기간}}}''' ||제40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 || ||2006년 11월 16일 ~ 2008년 04월 01일 || ||초대 [[국민안전처장관]] || ||2014년 11월 19일 ~ 2017년 07월 25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fff '''학력'''}}} ||[[경희고등학교]] {{{-2 ([[졸업]])}}} || || '''{{{#ffffff 임관}}}''' ||[[해군사관학교]] {{{-2 (28기)}}} || || '''{{{#ffffff 최종계급}}}''' ||'''[[대한민국 해군|해군]] [[대장(계급)|대장]]''' || || '''{{{#ffffff 최종보직}}}'''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 || || '''{{{#ffffff 경력}}}''' ||[[해군작전사령관]][br][[해군교육사령관]][br][[제3함대사령관|해군제3함대사령관]] || || '''{{{#ffffff 본관}}}''' ||[[밀양 박씨]] || || '''{{{#ffffff 가족}}}''' ||부인 임순숙, 슬하 1녀 || || '''{{{#ffffff 종교}}}''' ||[[불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해군]]의 전 [[군인]]. 예비역 [[대한민국 해군|해군]] [[대장(계급)|대장]].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 [[국민안전처장관]]을 지냈다. == 생애 == 1952년,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화접리(현 [[남양주시]] [[별내동]])[* 그는 조상 대대로 살아온 남양주 토박이라고 한다.]에서 태어나 화접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 [[경희고등학교]](8회)를 거쳐 1970년 [[해군사관학교]](28기)에 입학했다. 1974년에 졸업과 함께 [[소위]]로 임관했다. 소장 시절 [[대한민국 해군본부|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제3함대사령관]]을 역임했다. 중장 진급 후 [[해군교육사령관]], [[해군작전사령관]]등 해군 작전·인사·교육·조직 등 주요 분야를 두루 거쳤다. ===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 === [[해군작전사령관]]을 역임하던 도중 2006년 11월 16일 중장 직위로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에 보임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467699|#]] 2007년 4월 보직을 유지하며 [[대장(계급)|대장]]으로 진급했다. 당시 합동참모차장을 격상하려던 국방부의 움직임 때문에 [[중장]]이 아닌 [[대장(계급)|대장]]으로 보임되었다.[* 전임자였던 공군 [[김명립]] 장군도 대장이었지만 2008년 10월부터 다시 중장 보임. 1990년대 초반에 육군대장이었던 [[송응섭]] 장군과 [[김재창]], [[편장원]] 장군의 케이스도 있다.] 2008년 [[대장(계급)|대장]]으로 예편했다. === [[국민안전처장관]] ===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4111900630001300_P2.jpg|width=450]] [[2014년]]에 [[국민안전처]]가 신설되자 첫 장관이 되었다.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김관진]]이었는데 과거 김관진 안보실장과는 합참의장 - 합참차장이라는 상하관계로 있었던 이력이 있다. [youtube(LI6VZS0rW7A)] [[국민안전처]]가 폐지되기 하루 전에 장관직에서 자진 퇴임하였다. 퇴임식을 하지 않고 직원들과 악수를 하고 인사를 나눈 뒤 그대로 청사를 떠났다. 그는 모든 직원이 한 마음으로 국민 안전을 위해 노력했지만, 국민에게 폐만 끼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이후 [[문재인 정부]] 출범때 [[국민안전처]]가 폐지되면서 '''역사상 유일한 [[국민안전처장관]]'''이 되었다. == 논란 == 박인용은 2014년 12월4일 열린 [[국민안전처]] 장관 후보자 인사 [[청문회]]에서 [[연평도 포격전]] 이튿날인 2010년 11월 25일에 골프를 친 것으로 드러났다. 박인용은 "연평도 포격 이튿날 당시 민간인 신분이었지만 적절치 못한 행동이었다고 생각하고 국민들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박인용은 군 재직 시절 3차례의 [[위장전입]]에 관한 의혹의 대상이 됐다. 국민안전처 장관 인사청문회 당시 [[박남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수도권 지역에 3년 이상 거주해야 군인 아파트 분양 1순위가 되는데 진해로 주소를 옮기면 1순위 자격이 박탈되니까 서울 처형 집에 위장전입을 해놓은 것 아니냐"며 "공직자가 부동산에 이렇게 집착을 해도 되느냐"고 말했다. 박인용은 국민안전처 장관 후보자 시절 소득 6천만 원의 신고를 누락한 사실이 인사청문회 준비과정에서 드러나 뒤늦게 세금을 납부했다. 박인용은 주정차와 속도위반 과태료를 상습적으로 체납해 25차례에 걸쳐 개인 자가용 압류통보를 받았다. == 주요 보직 == * 전북함 함장 (1993) * 1전투전단장 (2000) * 3함대사령관 (2003) * 해군 전투발전단장 (2004) * 해군교육사령관 (2005) * 해군작전사령관 (2006) * 합동참모차장 (2006) == 여담 == * 동기로는 [[대한민국 해군]]에서 처음으로 [[잠수함]] [[함장]]을 지낸 [[안병구]] [[제독]]이 있고,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정승조]] 합참의장의 친형 정동조 예비역 준장도 해사 28기로 박인용 장관과 동기다. 정동조 제독은 해사를 3등으로 졸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류:1952년 출생]][[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밀양 박씨]][[분류:해군사관학교 출신]][[분류:해군작전사령관]][[분류: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분류:국민안전처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