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a520 박재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75번}}}''' || || 팀 창단 || {{{+1 →}}} || '''{{{#ffffff 박재현[br](2014~2016)}}}''' || {{{+1 →}}} || [[최훈재]][br](2017~2020)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74번}}}''' || || [[이철성(야구)|이철성]][br](2012~2016) || {{{+1 →}}} || '''{{{#074ca1 박재현[br](2017~2020)}}}''' || {{{+1 →}}} || [[박한이]][br](2021~)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재현제주고.jpg|width=100%]]}}} || ||<-2> '''{{{#daa520 제주고등학교 야구부 No.70}}}''' || ||<-2> '''{{{#191970 {{{+1 박재현}}}[br]朴宰賢 | Park Jae-Hyun}}}''' || ||<|2> '''출생''' ||[[1973년]] [[7월 26일]] ([age(1973-07-26)]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구옥산초등학교|대구옥산초]] - [[경복중학교|경복중]]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계명대학교 야구부|계명대]]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s-3.2|1996년 2차 4라운드]] (전체 26번,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 '''소속팀''' ||[[현대 피닉스]] (1996) || || '''지도자''' ||[[경상중학교]] 야구부 감독 (1997~2000) [br]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01~2004) [br] [[계명대학교 야구부]] 코치 (2005~2006) [br]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07~2008) [br]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09) [br] [[계명대학교 야구부]] 코치 (2011~2013) [br] [[kt wiz]] 수비코치 (2014) [br] [[kt wiz/2군|kt wiz 2군]] 수비코치 (2015~2016) [br]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수비코치 (2017) [br] [[삼성 라이온즈]] 1군 주루코치 (2018)[* ~6월 25일][br][[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 2군]] 수비코치 (2018~2020)[* 6월 26일~] [br] [[제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21~)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현대 피닉스]]의 야구선수이자 현 제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 선수 경력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와 [[계명대학교 야구부|계명대]](석사 포함)를 졸업하고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쌍방울 레이더스]]의 2차 4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쌍방울 입단 대신 [[실업야구]] 팀인 [[현대 피닉스]]에서 선수 생활을 1년간 했다. == 지도자 경력 == [[현대 피닉스]]에서 뛰다가 1년만에 선수 생활을 그만둔 뒤 일찌감치 아마추어 야구 지도자로 전업했고, 경상중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아 2000년에는 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감독상을 받았다. 이후 경북고와 계명대의 코치를 맡았다가 2013년 말 [[kt wiz]]가 창단된 후 kt에 합류해 2군 수비코치를 맡았다. 2016 시즌 후 코치진 개편을 선언한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 제의를 받아들이며 고향 팀 유니폼을 지도자가 되어 처음으로 입어보게 되었다. 보직은 3군 수비코치. 2018년부터 1군 주루코치 보직을 맡았으나 동년 6월 26일에 2군으로 내려갔다. 2020시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으며 팀을 떠났다. 그런데 [[신동수 SNS 막말 파문]]에 언급되었다. '''또록이'''라는 별명을 붙인 다음에 신동수 선수에게 욕설이 포함된 뒷담을 들었다.[* 내용 중에 박재현 코치를 비난하는 내용이 아닌 그냥 일상적인 일들도 있는데 그런 일에서도 또록이라고 불렸다.] 특히 공개된 카톡에서 어떻게든 아들뻘의 선수와 친밀하게 지내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보여 많은 팬들을 안타깝게 했다. 이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29&aid=0000050214|박 코치의 입장이 나온 기사]]가 떴는데 '내 진심이 선수들에게 온전히 전달되지 못한 것 같아서 그게 마음 아프다'는 대인배스러운 말을 남겼고 수능을 본 딸이 이 사실을 접하고 펑펑 울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삼성에서 나온 이후 당초에는 [[유신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갈 예정이었다가 2021년 2월 [[제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21년 5월 29일 부산 기장군 현대차드림볼파크에서 펼져진 2021 고교 주말리그 하반기 첫 경기인 부산공고와의 경기에서 10-3 7회 콜드게임으로 승리하였다. 이 승리는 감독 부임 후 7번째 경기[* 전반기 6전 전패]만에 첫승이자 제주고 야구부가 2018년 이후 1049일 동안 41연패를 끊는 경기였다.[* 제주고는 1, 2학년 선수 11명으로 출전한 경기에서 이뤄진 기적이다.][[https://sports.v.daum.net/v/20210530123553288|기사]] 2022년에는 같이 삼성에서 코칭스태프로 일했던 [[조규제]] 전 코치를 투수코치로, 그리고 [[KIA 타이거즈]] [[김선빈]]의 동생인 김선현을 타격코치로 선임하면서 코칭스태프를 보강했다. 2022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제주고 야구부가 대회 모범상을 수상했다. 2022년 9월 1일 한라일보와의 [[http://m.ihalla.com/article.php?aid=1661958000731486269#_DYAD|인터뷰]]에서는 "제주도 안에서 좋은 선수를 육성하고 이들이 프로 무대에서 잘 성장해 다시 제주에서 지도자를 맡을 수 있는 선순환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도내 야구부의 연계 육성은 물론 훈련 환경과 코칭 스태프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제주에 온 이상 제주 야구가 자립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 싶다." 라는 의견을 남겼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재현, version=75)] [[분류:1973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계명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밀양 박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