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내야수))] ||
'''{{{#ffffff 박주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로고.png|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cd7f32 동메달}}}''' ||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FFFFFF 2023}}}]]''' || ---- ||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width=50]] '''2023 [[리얼글러브 어워드#s-3.2.2]] 퓨처스리그 우수선수상(NC)''' ||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00번}}}''' || ||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br](2018) || {{{+1 →}}} || '''박주찬[br](2019)''' || {{{+1 →}}} || [[임형원]][br](2020) || ||<-2> '''{{{#ffffff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No.6}}}''' || ||<-5> '''{{{#fff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71번}}}''' || || [[정구범]][br](2022) || {{{+1 →}}} || '''박주찬[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주찬2023프로필.png|width=100%]]}}} || ||<-2> '''{{{#ffffff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No.6}}}''' || ||<-2> '''NC 다이노스 No.71''' || ||<-2> '''{{{#00275a {{{+2 박주찬}}} [br] 朴柱燦 | Park Juchan}}}''' || || '''출생''' ||[[1996년]] [[1월 11일]] ([age(1996-01-1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동막초 - [[경포중학교|경포중]] - [[강릉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 -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 || || '''신체''' ||178cm, 84kg || || '''포지션''' ||[[내야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9년 [[육성선수]]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9, 2023~) || || '''병역''' ||[[현역병|현역]] (2020~2021) || || '''연봉''' ||3,000만원 (202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NC 다이노스]] 소속 내야수, 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강릉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 야구부에서 포수로 뛰었으나 강릉고 재학 시절에는 그리 인상적인 타격을 보여주지 못했고, 특히 졸업반 때는 14경기 55타석에서 .188의 타율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결국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하고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학교]]로 진학, 대학 진학 이후에는 1학년 때부터 중심 타선에 배치될 정도로 나름 향상된 타격 성적을 기록했으며, 4학년이던 2018년에는 결승전에서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강릉영동대]]를 상대로 2점 홈런을 치는 등 맹활약하면서 동아대의 35년만의 전국체전 우승 순간을 함께하기도 했다. [[http://leaders.asi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635|#]]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600&key=20181019.22020008077|#]] 이후 졸업을 앞두고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신인드래프트]]에도 참여했는데, 여기서도 10라운드 내에서 이름을 불리지 못했으나 이번에는 [[NC 다이노스]]의 [[육성선수]] 입단 제의를 받고[* 이 드래프트에서는 대졸 포수들이 유독 지명을 못 받았다. 유일하게 지명받은 대졸 포수는 [[kt wiz]] 소속의 [[고성민]]이며, 박주찬을 비롯한 다른 대졸 포수들은 대부분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입단하면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 [[NC 다이노스]] === ==== 2019 시즌 ==== 입단 후 1군 무대를 밟지 못한 채 방출되었고, 현역으로 군복무를 마쳤다. 2군 성적은 39경기 출장하여 74타수 17안타(2루타 5개)를 치면서 타율 0.230, 출루율 0.278, 장타율 0.297을 기록했다. ==== 방출 후 재입단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4027358|대졸→육성선수→방출→재입단…"후회없이 하자" 퓨처스 남부 '타율 1위'의 간절한 외침]] 2022년 11월 2일 NC 다이노스 유튜브 채널에 올라 온 [[https://www.youtube.com/watch?v=59uC8h3pCVk|마무리 훈련 영상]]을 통해 NC에서 방출된 [[박영빈]]과 함께 재입단 테스트를 받고 있는 사실이 알려졌고, 무난히 통과하며 선수단에 합류했다. 테스트 당시에는 원래 포지션인 포수가 아닌 3루수로 나섰으며 이후 2023 시즌 개막 후 퓨처스리그에서 주로 '''2루수'''로, [[김철호(야구선수)|김철호]]가 2루수로 출장하는 날에는 '''3루수'''로도 출장하고 있다. ==== 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주찬230512.jpg|width=100%]]}}}|| 퓨처스리그 NC C팀에서 3할대 중후반의 타율과 5할대 장타율을 기록하며 좋은 타격감을 이어가는 중이다. 4월 19일 수훈선수 [[https://www.instagram.com/p/CrNgoO2JI3i/|인터뷰]]에서 "19년도에 팀을 나갔다가 어렵게 다시 유니폼을 입고 뛰는 지금 이 순간이 정말 보람 있고 좋다. 유니폼을 입고 있을 때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이 유니폼을 오랫동안 입고 뛰고 싶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5월 12일 퓨처스 KIA전에서는 2루타 포함 4타수 4안타 1타점 2득점을 기록하며 원맨쇼를 펼쳤다. 이날 경기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848751|인터뷰]]에선 "내가 친 타구가 다양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공이 들어올 때 포인트만 생각하고 스윙을 하다면 좋은 타구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이 가는 것 같다. 좋은 감각에서 계속적으로 유지하려고 노력 중이다. 기회가 된다면 이 좋은 느낌을 N팀에 올라가서도 보일 수 있으면 좋겠다"라며 바람을 드러냈다. 7월초까지 퓨처스 남부리그 타율 1위를 기록했으며, 퓨처스 올스타전에도 출장했으나 안타는 없었다. 이후에도 꾸준하게 퓨처스리그 경기에 출전하여 고감도 타격을 선보이며 퓨처스 최종 83경기 295타수 99안타(2루타 25개, 3루타 2개) 3홈런 34타점 4도루 21사사구, 타출장 .336/.377/.464를 기록했다. 특히 시즌 타율은 퓨처스 전체 3위의 기록. 2023년 10월 10일 [[서호철]]이 발목 부상으로 말소되자 정식 선수로 전환되었고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1군에 콜업'''되는 기회가 왔다. 당일 홈경기에 9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무안타를 기록하긴 했으나 7회말 마지막 타석에 우익수 방면으로 잘 밀어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2023년 10월 12일 잠실 두산전에서 3루수로 선발 출장해, 첫 타석에서 '''프로 데뷔 첫 안타'''를 신고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41297007, height=281)]}}} || || 박주찬 1군 첫 안타 장면 || 이후로도 1군 경기에 계속 출전하며 차근차근 공수 경험을 쌓고있다. 13일 LG전 4타수 1안타 1득점 1삼진을 기록하면서 데뷔 후 두 번째 안타 및 '''데뷔 첫 득점'''을 올렸다. 이후 두 경기에서는 무안타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퓨처스리그 성적은 83경기 295타수 99안타(3홈런) 34타점 48득점 타출장 .336/.377/.464로 준수했으며, 1군 시즌성적은 5경력 14타수 2안타 1득점 타율 0.143이다. 시즌 후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국가대표팀으로 차출되었다. 본 대회에선 리드오프로서 전경기에 출장해 1/2/3루수를 모두 오가면서 18타수 7안타 1타점 5득점 5사사구, 타출장 .389/.500/.500 OPS 1.000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주찬2023아시아야구선수권1.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주찬2023아시아야구선수권2.jpg|width=100%]]}}} || == 플레이 스타일 == 컨택에 강점이 있는 유틸리티 선수로서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다. 다만 불안한 수비력은 보완해야할 점이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19 ||<|2> [[NC 다이노스|NC]] ||<-13> 1군 기록 없음 || || 2023 || 5 || 14 || .143 || 2 || 0 || 0 || 0 || 0 || 1 || 0 || 0 || .143 || .143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5 || 14 || .143 || 2 || 0 || 0 || 0 || 0 || 1 || 0 || 0 || .143 || .143 || == 여담 == * [[포수]] 포지션으로 프로 무대에 입성했다가 방출된 후 군 복무를 이행하고 그 팀에 재입단해 타 포지션으로 두각을 비로소 드러낸 것이 [[최형우]]와 스토리가 흡사하다.[* 다만 [[최형우/선수 경력/삼성 라이온즈#s-3|최형우]]의 경우 우투좌타이며 [[경찰 야구단]]의 초기 멤버로서 이 시기에 크게 활약한 것을 보고 [[김응룡]] 당시 삼성 라이온즈 사장이 여전히 삼성 선수인 줄 알고 착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프런트에서 급히 재입단을 시킨 케이스고, 박주찬의 경우 우투우타이며 현역으로 군복무를 하고 방출되었던 팀에 다시 입단 테스트를 받고 통과하여 재입단한 케이스라 세부적인 부분은 다르다.] * NC 팬들은 2차 드래프트를 통해 NC로 이적한 [[송승환(야구선수)|송승환]]과 외모가 굉장히 닮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쌍꺼풀이 있는 눈과 진한 인상, 구릿빛 피부가 비슷한 느낌을 주는데, 다만 키는 183cm인 송승환에 비해 다소 작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강릉고등학교 출신]][[분류:동아대학교 출신]][[분류:우투우타]][[분류:포수]][[분류:내야수]][[분류:NC 다이노스/현역]][[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