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MBC 표준FM|[[파일:mbc-fm-gray.png|width=170]]]] || || 13:00 - 14:00 ||<|4> → || '''14:00 - 16:00''' ||<|4> → || 16:00 - 17:00 || || [[1시 뉴스#s-3|1시 뉴스]] || [[2시 뉴스#s-3.2|2시 뉴스]]/[[3시 뉴스#s-3.2|3시 뉴스]][*A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4시 뉴스#s-3.3|4시 뉴스]] || || [[싱글벙글쇼|이윤석, 신지의 싱글벙글쇼]] (3~4부) || '''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A] ||<|2> [[지금은 라디오 시대|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 시대]] (1~2부) || || [[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13:52) || [[잠깐만(라디오)|잠깐만]](15:03) || ||<-2> [[파일: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png|width=100%]] || || '''프로그램명''' ||'''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 || || '''진행자'''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2013년 12월 9일 ~ ),,, '''[[박영진]]''' ,,(2022년 5월 2일 ~ ),, || || '''연출''' ||하정민 || || '''구성''' ||최혜영, 박경향, 장혜진 || || '''방송시간''' ||'''매일''' / 14:05 ~ 16:00[* [[부산문화방송|부산지역]], [[광주문화방송|평일 광주(전남일부) 지역]]의 경우 오후 2시 5분 ~ 3시] || || '''송출채널''' ||'''[[MBC 표준FM|[[파일:mbc-fm.png|width=125]]]]''', '''[[MBC mini]]''' || || '''외부링크''' ||[[http://www.imbc.com/broad/radio/fm/hurray|[[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www.youtube.com/channel/UCKNZsAeQXpvI-Mpoc0ZKh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MBC봉춘라디오] || [목차] [clearfix] == 개요 == [[MBC 표준FM]]에서 매일 오후 2시 5분부터 오후 4시까지 방송하는 오락 전문 라디오 프로그램이며, DJ는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박영진]]이다. == 역사 == [[파일:즐거운 오후 2시.jpg]] [[http://www.imbc.com/broad/radio/fm/funny2|즐거운 오후 2시 (2시만세 전신) 공식 홈페이지]] 이 프로그램의 전신은 [[1998년]] [[11월 2일]]부터 방송되었던 '''즐거운 오후 2시'''.[* [[1987년]] [[4월 1일]]부터 [[1991년]] [[9월 30일]]까지도 같은 타이틀로 방송을 했었다. 이후 오후 2시대에는 퀴즈 프로그램들을 방송했다. 이 때 거쳐간 DJ 중 하나가 [[박명수]]. 수도권에서 방송된 "'''즐거운 오후 2시'''"가 폐지된 이후에는 일부 타 지역 [[MBC]]에서만 같은 제목의 [[지역방송|로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방송 초기에는 [[이택림]], [[김나운]]이 진행했으며, 이후 [[김혜림(1968)|김혜림]], [[노사연]] 등이 여자 진행자로 거치면서 5년 넘게 방송되었다. 이 프로그램을 기점으로 [[노사연]]은 '''꽃사슴'''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이택림]]이 맡았던 캐릭터는 '''밴댕이'''. 청취자 퀴즈 중 [[이택림]]이 하모니카를 불며 음악 문제를 주기도 했다. 그러다가 2004년 4월 봄 개편 때 [[이택림]]이 하차하고, 남자 진행자로 '''숫사슴''' [[지상렬]]이 투입되며 타이틀이 '''2시만세'''로 바뀌었다. 당시 지상렬의 입담이 한참 예능에서 빛을 발하던 시기라 프로그램의 인기는 좋았다. 2010년 4월 두 DJ가 모두 하차하고 [[김흥국]], [[김경식]]이라는 남성 더블 DJ를 투입함으로써 방송은 전환기를 맞았다. [[톰과 제리|털과 제리]] 콤비. 이 때 김흥국은 [[2010 남아공 월드컵]] 16강 진출 공약으로 수염을 미는 삭털식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1년 만에 DJ에서 물러나게 되는데... 이는 [[김흥국#s-7|이 항목에 더 자세히 나와있다.]] 김흥국의 후임으로는 가수 [[원미연]]이 투입되었다. 2013년 3월 봄 개편으로 그 전까지 [[좋은 주말]]을 진행하던 [[윤정수]], [[이유진(1977)|이유진]]이 새 DJ로 넘어왔지만, 얼마 못 가 하차했고,[* 2013년 11월 [[윤정수]]의 개인 파산 신청이 연관되어 있는 듯.] 같은 해 12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정경미]] 체제가 이어져 왔으며, 2021년 12월에 만 8년차가 되면서 최장수 진행 콤비가 되었다. 이후 2022년 5월부터 [[정경미]]의 정식 후임으로 [[박영진]]이 발탁되어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박영진]] 체제로 변경되었다. [[윤정수]], [[이유진(1977)|이유진]] 진행 체제 전까지는 주로 트로트를 많이 선곡하는 방송이었지만, 이후에는 대중가요 위주의 선곡으로 전환되었다.[* 요즘엔 [[SBS 러브FM]], [[KBS 제2라디오|KBS 해피FM]], [[MBC 표준FM]] 등의 지상파 3사 주요 표준FM에서는 예전처럼 트로트가 많이 선곡되지 않으며, 트로트는 아침 시간대 프로그램인 [[KBS 제2라디오|KBS 해피FM]] "[[주현미의 러브레터]]", 오후 2시 대의 프로그램인 [[SBS 러브FM]] "[[윤수현의 천태만상]]", [[KBS 제3라디오]] "[[출발! 멋진 인생|출발! 멋진 인생 이지연입니다]]"에서만 선곡된다. 이 외에서 트로트 선곡을 찾는다면 [[불교방송/라디오|BBS FM]]이나 지역별 [[TBN 한국교통방송|TBN]]까지 뒤져봐야 할 정도. 이는 당연한 것이 라디오를 듣는 주력 계층도 변화해서 10~20년 전의 20대가 나이 들면서 이제는 라디오 틀어놓는 40~50대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반대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 로컬방송 FM은 진짜 트로트를 미친듯이(...) 틀어댄다.] == 역대 방송시간 ==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2004년]] [[4월 26일]] ~ [[2005년]] [[4월 24일]] || 월~토요일 오후 2:25 ~ 오후 4:00,[br]일요일 오후 2:10 ~ 오후 4:00 || || [[2005년]] [[4월 25일]] ~ [[2010년]] [[4월 25일]] || 평일 오후 2:25 ~ 오후 4:00,[br]주말 오후 2:10 ~ 오후 4:00 || || [[2010년]] [[4월 26일]] ~ [[2012년]] [[10월 21일]] || 평일 오후 2:20 ~ 오후 4:00,[br]주말 오후 2:10 ~ 오후 4:00 || || [[2012년]] [[10월 22일]] ~ [[2017년]] [[8월 20일]] ||<|2> 평일 오후 2:15 ~ 오후 4:00,[br]주말 오후 2:10 ~ 오후 4:00 || || [[2017년]] [[12월 25일]] ~ [[2018년]] [[2월 4일]] || || [[2017년]] [[8월 21일]] ~ [[2017년]] [[12월 24일]] || 매일 오후 2:10 ~ 오후 4:00 || || [[2018년]] [[2월 5일]] ~ [[2020년]] [[3월 29일]] || 평일 오후 2:15 ~ 오후 4:00,[br]주말 오후 2:05 ~ 오후 4:00 || || [[2020년]] [[3월 30일]] ~ '''현재''' || 매일 오후 2:05 ~ 오후 4:00 || == 역대 DJ == * [[2004년]] [[4월 26일]] ~ [[2010년]] [[4월 25일]] : [[지상렬]], [[노사연]] * [[2010년]] [[4월 26일]] ~ [[2011년]] [[6월 12일]] : [[김흥국]], [[김경식]] * [[2011년]] [[6월 13일]] ~ [[2013년]] [[3월 24일]] : [[김경식]], [[원미연]] * [[2013년]] [[3월 25일]] ~ [[2013년]] [[12월 8일]] : [[윤정수]], [[이유진(1977)|이유진]] * [[2013년]] [[12월 9일]] ~ [[2022년]] [[3월 27일]] :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정경미]] * [[2022년]] [[3월 28일]] ~ [[2022년]] [[5월 1일]] :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스페셜 DJ * [[2022년]] [[3월 28일]] ~ [[2022년]] [[4월 3일]] : [[나비(가수)|나비]] * [[2022년]] [[4월 4일]] : [[이은형]] * [[2022년]] [[4월 5일]] ~ [[2022년]] [[4월 10일]] : [[허안나]] * [[2022년]] [[4월 11일]] ~ [[2022년]] [[4월 17일]] : [[박영진]] * [[2022년]] [[4월 18일]] ~ [[2022년]] [[4월 24일]] : [[안혜경]] * [[2022년]] [[4월 25일]], [[2022년]] [[4월 27일]] ~ [[2022년]] [[5월 1일]] : [[이수지]] * [[2022년]] [[4월 26일]] : [[박소영(개그우먼)|박소영]] * [[2022년]] [[5월 2일]] ~ '''현재''' :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박영진]] == 코너 == === 매일 코너 === * '''두시 만세 장원급제, 시를 쓰시오'''(월~목 1,2부) 매일 한 단어의 시제를 정하고 2~3행시를 청취자들에게 받는다. 조선시대 기믹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전화 연결 되는 청취자들도 굳이 실명을 쓰지 않고 "OOO에 사는 XXX 대감, 아낙(혹은 마님), 도령, 낭자요~" 라고 밝힌다. 시가 좋거나 재미있으면 딩동댕을 치고 통을 알리는 풍악이 흐른 후 토크를 이어가며[* 재밌는 2행시 중에는 이따금씩 [[유아인]]이 영화 [[베테랑(영화)|베테랑]]에서 맡은 배역인 [[조태오]]의 '''"어이가 없네?"''' 시리즈 2행시와 [[박보검]] 드립 시리즈 2행시가 나오기도 한다.], 반응이 아주 좋지 않거나, 괜찮은데 뭔가 어정쩡하다 싶으면 땡을 치고 [[감수성(개그콘서트)|개콘 감수성]] BGM인 상처만 앞부분이 흘러나온 후 바로 전화 연결이 끊기거나 청취자들의 신청곡이 나온다. 이후 토크를 위해 청취자들이 자기 소개를 할 때 앞에 소개문을 붙이고, 그 소개에 대해 DJ들이 물어보면 "통 되면 알려드리겠소." 라고 거래를 시전(?)하기도 한다. 2021년 10월 가을 개편 이후 매주 목요일에는 두 명의 청취자들이 한 행 씩 2행시를 완성하는 '''손에 손 잡고''' 특집을 하는데[* 그 이전에는 목요일 외에 평일 다른 요일에도 개최되었다.], 성공하면 [[코리아나]]의 [[손에 손 잡고]]의 후렴구가 나온다.[* 다만 동문서답 형이 되거나 잘 연결되었어도 뭔가 어정쩡한 것 때문에 땡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인지 올 땡이 되는 경우도 있을 정도.] 가장 재미있는 시는 땡통을 불문하고 일요일에 '''결정적 순간''' 1부로 방송된다. 방송 후반에는 문자, 미니 등으로 올라온 시들을 소개하며 땡통을 감별하는 '''땡통감별 줄을 서시오'''가 있는데 재밌는 시는 딩동댕을 치고 상품을 주며, 매주 목요일에는 '못다 전한 땡통 감별'로 한 주 동안의 시제를 이용한 2행시들 중에서 방송에 소개되지 않은 재밌는 2행시를 소개하기도 한다. 일요일 1부에서 한 주 동안 재미있는 시들을 읽어주는데, 거기서 가장 재미있는 시는 올린 사람에게 전화를 걸어 선물을 제공한다. === 주간 코너[* 2023년 8월 기준.][* 평일 1~2부 송출지역 중 부산, 광주(전남일부)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수도권, 강원, 전북)한정] === * '''자체발광 초대석''' (월 3,4부) - 원래는 화요일이나 목요일 3,4부에 비정기로 진행되다가 2021년 10월 가을 개편을 통해 월요일 고정 코너가 되었다. * '''퀴즈쇼-끝까지 간다!''' (화 3,4부) with [[김유리(1980)|김유리 리포터]] - 청취자 2명을 동시에 전화 연결해 맞춘 사람은 해당 라운드의 선물을 갖고 살아남고, 틀린 사람은 탈락이 되는 형태의 퀴즈쇼. 처음 라운드에서 살아남은 사람이 최종 라운드까지의 모든 선물을 싹쓸이하는 경우도 있으며, 매 라운드마다 도전자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 '''내가 네 아빠, 엄마를 만났을 때''' (수 3,4부) with [[배칠수]], [[조태준]], [[김경아(코미디언)|김경아]] - 결혼 한 사람들의 과거 열애사 사연을 상황극으로 재현하는 코너. 이미 사별한 배우자와의 오래 전 연애 시절 이야기를 회상하는 사연부터, 사춘기 자녀의 시점으로 부모님의 열애사를 이야기하는 사연까지 다양한 연령대 화자의 사연이 온다. 여기서 최종 선정된 사연은 일요일 코너인 결정적 순간에서 퀴즈로 나간다. * '''낭만을 잊은 그대에게''' (목 3,4부) with [[이상훈(1982)|이상훈]] - 주제를 정하고 그에 맞게 지어진 시를 소개하는 코너. 동시부터 산문시, N행시까지 다양하게 작성해도 된다. * '''박터지는 대결 박대박''' (금 1,2부) - 게스트(진행요원)가 없어 쥐포게임을 할 수 없을 경우에 진행되는 게임 코너. DJ와 청취자가 각각 준형팀과 영진팀의 2인 1조가 되어 대결을 벌인다. 예선 1라운드 명대사 이어말하기와 예선 2라운드 노래 이어부르기가 각각 두 그룹에서 진행되며 그룹별로 승리한 청취자가 최종 3라운드 스피드 게임에 진출한다. 각 라운드 별로 상품이 걸려있으며, 최종 승리팀을 맞춘 청취자 20명에게도 선물을 준다. * '''한국인의 전설''' (금 3,4부) - 전국 방방곡곡에 숨은 '전설'을 모집한다. 예로부터 고향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 할머니 할아버지께 직접 들었던 전설, TV나 영화, 책에서 보았던 전설 등등..여러분이 알고 계신 각 지역에 얽힌 기이한 이야기를 보내도 된다. * '''안봤으면 다행이야''' (토 1,2부) with [[성현주]] * '''금쪽같은 임진모''' (토 3,4부) with [[임진모]] * '''주말엔 노답~노답''' (일 3,4부) with [[박소영(개그우먼)|박소영]] === 전 코너 === * '''내일은 가수왕''' >'''상암동 지하 스튜디오''' >'''트롯계의 별이 되고 싶은 송가락과, 창작의 혼을 불태우는 갈토벤의 막무가내 트로트 제작기''' >'''신바람 트롯 퀴즈, 내일은 가수왕''' >---- >- 코너 오프닝 멘트 추억을 파는 음반가게 이전 코너였으며, '송가락' 정경미와 '갈토벤' 박준형이 막무가내 트로트 퀴즈를 낸다. * '''추억을 파는 음반 가게''' >'''나는야, 음악이 아니라 추억을 파는 고독한 음반 가게의 주인장.''' >'''내 추억팔이의 지갑을 열어줄 오늘의 손님은 과연 누굴까?''' >---- >- 박준형의 오프닝 멘트. BGM은 [[이글스(밴드)|이글스]]의 [[호텔 캘리포니아(노래)|호텔 캘리포니아]]. 2021년 9월까지 매일 다른 컨셉으로, 추억을 파는 음반 가게의 주인 갈사장(박준형)을 찾아오는 정경미에게 딱 맞을 법한 곡을 선곡해주는 코너. 노래 제목 속에 있는 퀴즈의 정답이 되는 단어는 일부러 발음을 뭉개서 말하고, 노래가 끝나기 전까지 청취자들이 문제를 맞추는 식으로 진행되는데, 이따금씩 재밌는 오답을 내준 두 명의 청취자에게도 선물을 준다. * '''야생 속 그녀의 생존기-나는 자연인일까?''' >'''상암동 매봉산 깊은 산 속. 바로 이곳에 오늘의 자연인이 살고 있습니다.''' >'''어? 급하게 어디론가 이동을 하는데요. 수상한 자연인의 하루를 지금 쫓아가 봅니다.''' >'''야생 속 그녀의 생존기. 나는 자연인일까?''' >---- >- 코너 오프닝 멘트 * '''두만배송-소원대잔치''' (2021년 3월~9월 월 3,4부) with 두만공주[* '''두'''시'''만'''세 '''공'''식 '''주'''크박스의 줄인 말이다.] [[윤수현]] - 트로트 가수 윤수현이 사연 소개된 청취자들을 위한 노래 선물을 해주는 코너. 게스트였던 윤수현은 코너 종영 후 2022년 2월부터 [[SBS 러브FM]]에서 동시간대에 방송되는 [[윤수현의 천태만상]]을 진행하고 있다. * '''세대 공감 라뗀 그랬지''' (2021년 3월~9월 목 3,4부) with 두만추요[* '''두'''시'''만'''세 '''추'''억 '''요'''정의 줄인 말이다.] 아나운서 [[박지민(아나운서)|박지민]] - 초반부에는 두 명의 청취자들의 사연을 바탕으로 한 시트콤 상황극 '추억 뚫고 하이킥'이 먼저 나온다. * '''금요특집 대국민 20분 토론''' (금 1,2부) - MBC 100분 토론을 패러디한 코너. 밸런스 게임에 나올 법한 극단적인 두 가지 선택지를 가지고 청취자 대표 한 명씩 초대하여 말 그대로 20분동안 토론을 벌인다. 토론 후, 문자와 미니의 투표에 따라 "청취자 가라사대"가 결정된다. * '''두시만세 신개념 가족오락관-쥐포게임''' (화 3,4부) - 제목부터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패러디했으며, 4개의 퀴즈를 풀며 정답을 맞춘 20명의 청취자들에게 선물을 주는 코너.[* 뿐만 아니라 쥐포게임이 개최될 때 1등부터 5등까지 n순위로 각각 문자와 미니로 정답을 보낸 청취자들과 100등으로 문자로 정답을 보낸 청취자에게, 재미있는 오답을 보내준 소위 '[[깍두기(동음이의어)#s-2|깍두기]]' 청취자들도 추려서 선물을 준다.] [[컨닝]] 방지를 위해 미니 게시판이 블라인드 처리가 되는 것도 특징이다. 매주 다른 게스트[* 주로 여성 트로트 가수가 출연하며, 2023년 5월 9일 출연한 [[바버렛츠]] [[이경선|경선]]처럼 어쩌다 다른 장르의 가수가 출연하는 경우도 있다.]가 출연해 진행 요원으로 활약한다. * 1라운드 - 삼구동성 퀴즈: 박준형, 박영진, 그리고 일일 진행요원이 동시에 각자가 맡은 한 단어를 말하면 그것을 듣고 추려서 무슨 단어인지 맞추는 퀴즈.[* 아나운서 톤으로 먼저 들려준 뒤, 랜덤하게 산울림 톤, 성악가 톤, 영구 톤, 맹구 톤, 동굴 메아리 톤으로 들려준다.] * 2라운드 - 세 토막 음악 퀴즈: 노래의 마지막 부분, 전주, 중간 간주를 들려주면서 무슨 노래인지 맞추는 퀴즈. 중간에 박준형의 깨방정[* 주로 [[내 나이가 어때서]]를 부르면서 방해를 한다(...).]에 박영진과 청취자들이 츳코미를 넣는 것도 소소한 재미이기도 하다(...).[* 다만 2021년 12월 9일 방송에서는 중간 반주 부분을 빼고 두 토막 음악 퀴즈로 진행했다.] * 3라운드 - 멜로디 퀴즈: [[남행열차]] 반주에 맞춰서 부른 노래 가사를 듣고 무슨 노래인지 맞추는 퀴즈. 두 DJ가 남행열차가 아니라고 해도 꿋꿋하게 남행열차라고 정답을 보내는 청취자들도 있다고(...). * 4라운드 - 있다, 없다 퀴즈: 다섯 개의 있다, 없다 예시를 통해 정답을 맞추는 퀴즈.[*예시들 예시 1) '양반은 있고 평민은 없다', 정답) '다리' / 예시 2) '주사는 있고 반창고는 없다', 정답) '바늘' / 예시 3) '이상은 있고 정상은 없다', 정답) '형' / 예시 4) '명심보는 있고 홍명보는 없다', 정답) '감'] == 진행 방식 == 청취자들의 참여로 이뤄지는데, 주로 박준형이 개드립을 치거나[* 그 중에서는 서울 어린이 드립을 치거나, 남부 지방 쪽 날씨가 겨울에도 그다지 춥지 않을 거라는 소리를 한다(...).] 깨방정을 떨면, 박영진이 츳코미를 걸거나 무시하고 다음 멘트를 이어가는 경우가 아주 많고(...), 한술 더 떠 청취자들이 박준형에게 '점마'라 하면서 까거나 이따금씩 박준형은 언제 하차하고 [[박보검]]이 들어오냐는 등의 드립[* 다만 2022년 3월 27일에 정경미가 먼저 하차하면서 결국 이 드립도 옛날 드립이 되고 말았다.]도 나오는데, 1부의 2행시에서도 자주 쓰이기도 한다. 박준형은 이따금씩 '''"허리 펴세요!"''' 라는 멘트를 날리기도. 최근에는 청취자와의 전화연결 중에 남는 음식이나 물건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 박준형이 '''"그때는 소포상자에 잘 싸서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 MBC 본사 주소, MBC라디오의 손편지 사연을 보낼 때 이 주소를 사용한다.]'''(도미솔 음계로)'''로 보내주세요."'''라고 구걸 드립을 친다. 박영진이 끊거나 눈치껏 스스로 끊는 경우도 있다. == 지역방송 == '''현재 [[전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춘천문화방송]]만 전 요일, 전 시간대 수중계 중이다.''' ||<-3> '''전체 시간대 자체방송''' || || 지역국 || 프로그램명 || 진행자 || || [[MBC경남|경남]][*주중 주중에만 편성. 주말은 본사 수중계.] || 오승철, 백율희의 즐거운 오후 2시 || 오승철, 백율희 || || [[대구문화방송|대구]] || [[대구MBC 즐거운 오후 2시|류강국, 조영주의 즐거운 오후 2시]] || 류강국, 조영주 || || [[대전문화방송|대전]][*주중] || [[대전MBC 즐거운 오후 2시|김주홍, 이수진의 즐거운 오후 2시]] || 김주홍, 이수진 || || [[목포문화방송|목포]][*화~금 화요일~금요일에만 편성. 월요일은 14~15시만, 주말은 전 시간 본사 수중계.] || [[목포MBC 즐거운 오후 2시|임사랑, 전세영의 즐거운 오후 2시]] || 임사랑, 전세영 || || [[안동문화방송|안동]][*주말 주말에만 편성. 주중은 본사 수중계.] || 홍형철, 반은혜의 즐거운 트로트 세상 || 홍형철, 반은혜 || || [[여수문화방송|여수]] || [[신나는 오후(여수MBC)|양성화의 신나는 오후]] || 양성화 || || [[울산문화방송|울산]][*주중] || [[확깨는 라디오|이관열, 이남미의 확깨는 라디오]] || 이관열, 이남미 || || [[원주문화방송|원주]][*주말] || 노기환, 김용석의 트로트 팡팡 || 노기환, 김용석 || || [[제주문화방송|제주]][*주중] || [[오창훈, 임서영의 즐거운 오후 2시]] || 오창훈, 임서영 || || [[MBC충북|충북]][*주중] || [[즐거운 오후(MBC충북)|하미진, 송민수의 즐거운 오후]] || 하미진, 송민수 || || [[포항문화방송|포항]] || [[포항MBC 즐거운 오후 2시|즐거운 오후 2시 김화선, 이병호입니다]] || 김화선, 이병호 || ||<-3> '''3~4부 (15:05 ~ 16:00) 자체방송''' || || 지역국 || 프로그램명 || 진행자 || || [[광주문화방송|광주]][*주중] || 김태일, 정혜정의 놀라운 3시 || 김태일, 정혜정 || || [[목포문화방송|목포]][*월 2023년 7월 3일부터 월요일에 방송하고 있다.] || [[MBC 스테이션|3시엔 MBC 스테이션]] || 임사랑 || || [[부산문화방송|부산]] || [[오후만세|유기경, 김진수의 오후만세]] || 유기경, 김진수 || == 역대 갤러리 == ||<-2> {{{+1 '''로고와 타이틀'''}}} || || [[파일:박준형, 정경미의 2시만세.png|width=100%]][br][[파일:박준형, 정경미의 2시만세.jpg|width=100%]] || [[파일: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png|width=100%]] || || '''박준형, 정경미의 2시만세''' || '''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 || == 여담 == * 역대 DJ 중 [[정경미]]가 딸 윤진의 출산 당시 [[김지혜(코미디언)|김지혜]]가 대신 진행하였다. 부부 방송이었던 셈. * 2021년 6월 29일 MBC 창사 60주년 특집으로 [[싱글벙글쇼]], [[지금은 라디오 시대]]와 함께 진행자들끼리 프로그램을 바꿔 진행했다. 이날은 [[지금은 라디오 시대|지라시]]의 [[정선희]], [[문천식]]이 와서 진행했고, 박준형, 정경미는 [[싱글벙글쇼]]를 진행했다. * [[2022년]] [[3월 28일]] 개그우먼 [[정경미]] 씨의 DJ 하차 이후 스페셜 DJ 체제로 이어가다가, [[2022년]] [[4월 11일]]부터 [[2022년]] [[4월 17일]]까지 스페셜 DJ를 맡은 [[박영진]]이 [[2022년]] [[5월 2일]] 방송부터 정식 DJ로 발탁되었다. * 박영진이 [[구해줘! 홈즈]] 촬영으로 자리를 비울 경우 [[박성광]]이나 [[배칠수]]가 대신 진행한다. * 방송 종료 시, 신청곡이 흘러나오지 않으면 [[레드 제플린]]의 [[Immigrant Song]]을 엔딩곡으로 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MBC 라디오)] [include(틀:MBC 표준FM)] [[분류:MBC 라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