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b15_i634.jpg]]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목차] == 개요 == [[노걸대]]와 더불어 고려 말부터 사용되던 중국어 교육서인 박통사에 한글로 독음을 달고 언해한 책으로 1677년 권대운과 박세화가 간행하였다. 6권 3책의 활자본. 박통사를 언해한 또 다른 책으로는 중종 12년(1517년)의 훈몽자회를 지은 최세진이 원문을 한글로 정음과 속음을 달고 번역하여 간행한 [[번역박통사]]와 영조 41년(1765년)에 김창조가 만든 박통사신석언해 등이 있다. 1677년 편찬 당시에는 이전의 최세진의 번역박통사를 볼 수 없어 노걸대와 박통사를 추려 노박집람을 참고하여 편찬하였다고 한다. == 이본 및 소장처 == ||이본 종류 ||연도 ||소장처|| ||원간본 ||1677년(숙종 3년) ||서울대 규장각[br]고려대 도서관 만송문고|| == 참고 사이트 == [[http://archives.hangeul.go.kr/scholarship/totalArchives/view/12732|디지털 한글 박물관 - 박통사언해]] [[분류:훈민정음]][[분류:조선의 도서]][[분류:100대 한글 문화 유산]][[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