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도네시아의 도시]] ||<-3> [[파일:인도네시아 국장.svg|height=20]] {{{#white '''[[인도네시아|{{{#white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도시'''}}} || ||<-4> '''{{{+1 반다아체}}}[br]Banda Aceh''' || ||<-4> [include(틀:지도,장소=반다아체,너비=100%,높이=224px)] || ||<-2> '''{{{#ffffff 국가}}}''' ||<-2>[[인도네시아]] || ||<-2> '''{{{#ffffff 지역}}}''' ||<-2>[[아체|아체주]]|| ||<-2> '''{{{#ffffff 면적}}}''' ||<-2>61.36 km² || ||<-2> '''{{{#ffffff 인구}}}''' ||<-2>252,899(2020년 측정) || ||<-2> '''{{{#ffffff 시장}}}''' ||<-2>Bakri Siddiq || ||<-2> '''{{{#ffffff 시간대}}}''' ||<-2>UTC+7 || ||<-4>||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단에 있는 [[아체]] 지방의 [[주도]]이자 아체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 역사 == 수마트라 끝자락에 위치한 반다 아체는 오랫동안 [[인도양]] 동부의 전략적, 교통 및 무역 허브였다. 유럽인의 기록상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1292년 [[마르코 폴로]]와 그의 원정대가 이 도시를 방문 했을 때 나온 것으로, 이전에 그곳에 존재했고 아라비아와 인도에서 [[인도네시아]]로 여행하는 사람들을 위한 논리적인 첫 번째 기항지로 기록 된 Lamuri 왕국의 'Lambri'라고 한다. 또한 [[이븐 바투타]]는 14세기 중반에 북부 수마트라의 당시 지배적이었던 무역 왕국인 [[사무드라파사이 술탄국]]의 지배하에 있을 때 이 도시를 방문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파사이족은 15세기 초 [[말라카]]를 점령한 후 대부분의 지역을 점거한 [[포르투갈인]]과 경제여건 침체로 인해 무너지기 시작했다. 새로 설립된 [[아체 술탄국]]의 통치자 술탄 알리 무가야트시아는 1520년대에 이 지역을 공격적으로 확장했으며 이 지역에서 파사이 술탄국과 다른 멸종된 왕국의 유적 위에 술탄국을 세우고, 수도인 반다아체에 자신의 이름인 'Kutaraja'나 '왕의 도시'로 명했다. 술탄의 오랜 통치 끝에 아체는 18세기 후반에 [[네덜란드]] 및 [[영국]]과 충돌하기 시작했다. 18세기 말에 말레이 반도의 아체 지역, 즉 [[크다]]와 [[플라우 피낭]]이 영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1871년 네덜란드는 아체를 위협하기 시작했고 1873년 3월 26일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아체에 [[선전포고]]를 했다. 네덜란드인은 그 해에 수도를 포격하고 도시에 있는 술탄의 궁전을 점령하여 아체인의 항복을 가져오려고 했다. 이 지역에서 영국인의 상당한 지원은 도시의 현대화와 요새화를 주도했으며 해안 지역이 손실되는 동안 네덜란드인은 도시의 방어를 과소 평가했다. 네덜란드 원정대의 사령관 요한 쾰러 장군도 시 주변에서 벌어지는 전투에서 전사하여 첫 번째 원정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2차 침공을 일으킨 네덜란드는 1874년 1월 반다아체를 점령했고, 1904년에는 아체 술탄국을 멸망시켜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병합했다. 이후 인도네시아가 독립하면서 아체 주의 주도가 되었다. 2004년 12월 26일에 발생한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인도양발 규모 9.3의 대지진]]으로 쓰나미가 도시를 강타했을 때는 60,000명의 주민이 사망하고 도시 건물의 60% 이상이 무너졌고 이후 복구되었다. == 관광 == 다소 엄숙한 분위기만 감수한다면, 반다아체는 수마트라 도시 가운데 [[메단]], [[파당]]과 함께 역사가 깊고 관광하기 좋은 도시로 꼽힌다. 반다아체의 대표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 바이투라만 대모스크(Mesjid Raya Baiturrahman) * 반다아체 국립박물관(Museum Negeri Banda Aceh): 특히 아체 전통 가옥을 보여주는 루마 아체(Rumah Aceh)가 유명하다. * 아체 쓰나미 박물관(Museum Tsunami Aceh) * 케르크호프 묘지(Kherkhof Poetjoet): 바로 옆에 박물관이 있다. * 구농안(Gunongan): 역사에 큰 관심이 없다면 지나쳐도 좋지만, 아체 술탄 이스칸다르 무다가 파항 공주 출신 왕비를 위해 지은 기념물이다. * PLTD 아풍 1(PLTD Apung 1): 쓰나미 당시 해변에 있어 쓰나미가 덮쳐 해안 안쪽으로 끌려와 망가진 선박. 당시 배가 가옥과 충돌해 사망자가 발생했다. 오늘날 배 자체가 기념물로 쓰이고 있다. [[분류:인도네시아의 옛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