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성학]] [include(틀:자음 분류)] [목차] == 개요 == {{{+1 [[半]][[母]][[音]](半子音) / Semivowel(Semiconsonant)}}} 짧게 발음되는 모음으로, 다른 말로 반자음이나 비성절모음이라고도 한다. 대응하는 접근음으로 표기하거나, 대응하는 접근음이 없거나 잘 쓰이지 않을 경우 모음 아래에 ◌̯를 붙여 표기한다.(i의 반모음 = j = i̯) == 대응하는 모음과 접근음 == 각 접근음에 대응하는 모음은 다음과 같다. * [[접근음]] ↔ [[모음]] * [[고모음]] * [[경구개음#접근|[j\]]] ↔ [[고모음#전설평순|[i\]]] * [[이중조음 자음#NgjMr|[ɥ\]]] ↔ [[고모음#전설원순|[y\]]] * [j̠] ↔ [[고모음#중설평순|[ɨ\]]] * [w̟] ↔ [[고모음#중설원순|[ʉ\]]] * [ɰ] ↔ [[고모음#후설평순|[ɯ\]]] * [w] ↔ [[고모음#후설원순|[u\]]] * [ɻ] ↔ [[중모음#중설|[ɚ\]]][* [[영어]], [[중국어]]의 er 발음. 이는 'r화 모음(r-Colored Vowel)'이라고 하는 발음인데, 조음 위치를 뭐라 설명하기 힘든 해괴한 모음이다.] * [ʕ̞] ↔ [[저모음#후설평순|[ɑ\]]] == 언어에서 == 대다수의 언어에서는 모음으로 보나, 영어, 독일어 등의 [[게르만어파]] 언어에서는 자음으로 본다. 이에 따라서 'unique'나 'one' 같은 반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는 'an'이 아닌 'a'가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