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분류:유희왕/러시 듀얼/함정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함정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差し戻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반송, 일어판명칭=()(もど)し, 영어판명칭=Return, 효과1=상대가 묘지의 카드를 패에 넣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패에 넣은 그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린다.)] 상대가 묘지에서 회수한 카드를 패에서 1장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젬나이트#젬나이트 퓨전|젬나이트 퓨전]]처럼 샐비지가 편하되 서치가 곤란한 카드를 저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미 [[전생의 예언]], [[D.D. 크로우]], [[마인드 크러시(함정 카드)|마인드 크러시]], [[어리석은 환생]], [[저택 와라시]] 등 더 쓰기 편한 샐비지 저격 카드가 널렸다는 것이 문제. 이들은 각각 소생이나 서치 효과도 저격할 수 있으니 범용성 면에서 비할 바가 못 된다. 이 카드의 경우엔 덱으로 되돌리니 재활용을 막아준다는 메리트가 있지만, 속공 마법이라 프리 체인이 가능한 [[어리석은 환생]]으로도 같은 결과를 뽑을 수 있다. 저격할 카드가 한 번 패를 거쳐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회수된 카드가 속공 마법이거나 프리 체인형 [[패 트랩]] 몬스터였을 경우라면 이들의 사용을 막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도 융통성이 떨어진다. 그래도 샐비지 효과로 한정한다면 대상 비지정 효과에도 대응한다는 점이나, [[도굴꾼(유희왕)|도굴꾼]] 처럼 자신 묘지에서 뺏어가는 효과에도 대응한다는 메리트를 찾아낼 수 있다. 이런 메리트를 활용할 만한 환경이라면 빛을 볼 날은 있을지도 모른다. 일러스트는 [[멜펑션#고블린의 임시변통|고블린의 임시변통]]에서 [[갑부 고블린]]이 팔았던 [[욕망의 항아리]]가 손잡이가 떨어지는 바람에 고객으로부터 반송을 요구당하는 모습. ||<-5>수록 시리즈 || ||<(> 2012-02-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AOV-JP075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5-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AOV-EN075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5-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AOV-KR075 | '''[[갤럭틱 오버로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파일:差し戻し(LGP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한글판명칭=반송, 일어판명칭=()(もど)し, 영어판명칭=Return (미발매), 조건=상대가 묘지의 카드를 패에 넣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 효과=상대의 패를 무작위로 1장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OCG와는 달리 덱으로 되돌리는 패의 카드 선정을 무작위로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불확실 요소가 생기는 바람에 실질적으로는 약화된 편. 상대의 샐비지 효과를 조건삼아 1:1 교환의 [[핸드 데스]]가 가능하다. 상대가 회수한 카드를 되돌릴 수 있다면 그만큼 상대 전략을 크게 무너뜨릴 수가 있으며, 덱으로 되돌리는 것이라 샐비지를 통한 우려먹기 전술을 쓰는 덱을 상대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했듯 되돌리는 카드는 패에서 무작위로 선정하기 때문에, 상대 패가 1장 뿐이라는 상황이 아니고서야 핸드 데스가 유효하게 먹히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걸린다. ||<-5>수록 시리즈 || ||<(> 2023-03-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LGP1-JP027 | '''[[레전드 각성 팩|レジェンド覚醒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반송, version=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