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2889.jpg]] || 한글판 명칭 ||'''반역극'''|| || 일어판 명칭 ||'''[ruby(造反劇, ruby=ぞうはんげき)]'''|| || 영어판 명칭 ||'''Rebellion'''|| ||<-2> 일반 마법 || ||<-2>대상 몬스터 1마리는 그 필드 위에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원작 최종 에피소드에서 [[어둠의 유우기|아템]]이 [[무토우 유우기]]와의 싸움의 의식 듀얼 중 사용. 첫 턴에 발동하여 유우기의 [[그린 가제트]]를 조종했다. 컨트롤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그 상태 그대로 공격하게 만드는 것이에 유우기가 발동한 [[빛의 봉인검]]을 무시하고 직접 공격을 시도했으나, 유우기가 발동한 [[가제트(유희왕)#기동요새 스트롱 홀드|기동요새 스트롱 홀드]]에 의해 공격이 무효화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스트롱 홀드가 OCG 사양으로 등장했기에 공격이 무효화되지 않고 진행되어 유우기 본인에게 반사 데미지를 준 것으로 나온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造反劇(DR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반역극, 일어판 명칭=造反劇(ぞうはんげき), 영어판 명칭=Rebell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얻는다. 이 턴에\, 대상의 몬스터 이외의 자신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배틀 페이즈 동안 상대 몬스터의 컨트롤을 일시적으로 얻는 효과를 가진 속공 마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종영 후 10년이 넘게 지난 2015년 12월에 OCG화되었다. 발동 타이밍이 애매해서 사용할 여지는 그리 많지 않다만, 컨트롤 변경 내성을 가진 몬스터는 그리 많지 않으므로 쓸 수 있는 상황이라면 못 쓸 건 없다.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1장밖에 없다면 빼앗아서 다이렉트 어택을 해 줄 수도 있고, 싱크로 소환 위주의 덱이라면 [[긴급동조]]와 연계할 수도 있다. 대신 긴급 동조로 싱크로 소환을 해도 그 몬스터를 공격에 쓸 수는 없기에 속공성은 떨어지며, 당연하게도 [[세뇌 해제]]가 필드 위에 있다면 사용할 수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 MP01-JP016 || [[밀레니엄 레어|밀레니엄]]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리즈마틱 갓 박스|PRISMATIC GOD BOX]] || PGB1-JP035 || [[밀레니엄 레어]] || 일본 || ||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 DR01-JPA29 || [[노멀]] || 일본 || ||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 MIL1-EN013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밀레니엄 팩]] || MP01-KR016 || [[밀레니엄 레어|밀레니엄]]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