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vN 월화 드라마(2016~2020))] ||<-3>
{{{#ffffff '''[[tvN|[[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width=31]]]] 월화 드라마[br]{{{+1 반의반}}}''' (2020)[br]''A Piece of Your MInd''}}}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반의 반_메인 포스터.jpg|width=100%]]}}}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000 '''15세 이상 시청가'''}}}]] || ||<-2> '''{{{#ffffff 방송 시간}}}''' ||월요일, 화요일 오후 9:00 ~ 10:30 (70분~75분) || ||<-2> '''{{{#ffffff 방송 기간}}}''' ||[[2020년]] [[3월 23일]] ~ [[2020년]] [[4월 28일]] || ||<-2> '''{{{#ffffff 방송 횟수}}}''' ||12부작[* [[http://naver.me/5bIBJYQl|링크]] 4월 8일자 기사로 16부작에서 12부작으로 조기종영이 확정됐다. ] || ||<-2> '''{{{#ffffff 장르}}}''' ||[[로맨스]] || ||<-2> '''{{{#ffffff 기획}}}''' ||[[스튜디오드래곤|[[파일:스튜디오드래곤 로고 2016.svg|width=75]]]] || ||<-2> '''{{{#ffffff 제작사}}}''' ||THE UNICORN | 무비락 || ||<-2> '''{{{#ffffff 채널}}}'''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3> '''{{{#ffffff 제[br]작[br]진}}}''' || '''{{{#ffffff 제작}}}''' ||김재중 || || '''{{{#ffffff 연출}}}''' ||[[이상엽(PD)|이상엽]] || || '''{{{#ffffff 극본}}}''' ||이숙연[*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 드라마 ‘[[공항 가는 길]]’ 등 집필] || ||<-2> '''{{{#ffffff 출연}}}''' ||[[정해인]], [[채수빈]], [[이하나]], [[김성규(배우)|김성규]] 外 || ||<-2> '''{{{#ffffff 링크}}}''' ||[[http://program.tving.com/tvn/yourmin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tv.naver.com/cjenm.yourmind|[[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user/CJENMDRA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tvndrama.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tvNDram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JnDrama,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나는 당신의 반의반이면 충분합니다.''' [br]인공지능 프로그래머 하원과 클래식 녹음 엔지니어 서우가 만나 그리는 시작도, 성장도, 끝도 자유로운 짝사랑 이야기|| [[2020년]] [[3월 23일]]부터 [[2020년]] [[4월 28일]]까지 [[tvN]]에서 <[[방법(드라마)|방법]]> 후속으로 방영했던 [[월화 드라마]]이다. == 기획 의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반의반 기획의도.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word-break: keep-all" {{{#000 {{{+1 '''반의반이란?'''}}} {{{-1 혼자서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 ‘짝사랑’ 말이다. 혼자서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던지고 짝사랑을 들여다보았다. 짝사랑. 작은 근거, 순간의 동기로 유발되지만 떨쳐낼 수 없는 ‘마음’. 이 마음은 일방적이고 불완전하지만 시작도, 성장도, 끝도, 자유롭다. 보이지 않지만 우리가 믿고 사는 것들. 꿈, 행복, 같은 것들과 짝사랑도 맥을 같이 한다. 불완전하고 일방적인 나 혼자의 마음일 뿐이지만 오늘을 견디게 하고 내일로 나아가게 밀어준다. 짝사랑. 잘만 쓰면, 일방적이고 불완전한 마음 ‘짝사랑’이 우리에게 필요한 ‘용기’ 혹은 ‘희망’으로 성장할 수도 있지 않을까? 반의 반. 네 마음의 그저 작은 ‘조각’ 하나면 충분하다 믿는 ‘하원’이라는 인물과 공감하며 나 혼자, 어디까지, 어떻게, 사랑하고 헤쳐 나가며 살 수 있을지 따라가 보고 싶다. }}}}}} }}} ||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kJBVxcXzP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8g6SL7O5Ss)]}}}|| ||<-2> '''1차 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qEv6fr9fy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uasblGAXTs)]}}}|| ||<-2> '''2차 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e0l0-Kkqh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EeOp6du7es)]}}}|| ||<-2> '''3차 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EzHJb0q6i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RQMH0yvTqA)]}}}|| ||<-2> '''하이라이트''' || ===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NuHGgOlzl4, width=100%)]}}}|| ||<-2> '''무빙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반의 반_메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반의 반_단체 포스터.jpg|width=100%]]}}} || || '''메인 포스터''' || '''단체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반의 반_스페셜 포스터_정해인(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반의 반_스페셜 포스터_정해인(2).jpg|width=100%]]}}} || ||<-2> '''스페셜 포스터 2종''' || == 등장인물 == === 인물관계도 === [[파일:반의반_인물 관계도.jpg|width=100%]] === 주요 인물 === * [[정해인]] - 문하원 역: 인공지능 프로그래머. (아역: [[남다름]]) * [[채수빈]] - 한서우 역: 클래식 녹음 엔지니어. * [[이하나]] - 문순호 역: 가드너. * [[김성규(배우)|김성규]] - 강인욱 역: 피아니스트. (아역: [[한세진]]) === AH 비밀연구팀 === * [[김정우(배우)|김정우]] - 김훈 역: 인공지능 프로그래머. * 우지현 - 민진환 역: AH 연구원. * [[김수진(1974)|김수진]] - 송진선 역: 정신과 의사. === 은주 하숙 === * [[이상희(배우)|이상희]] - 전은주 역: 은주 하숙 사장. ==== 은주 하숙 1기 ==== * [[강봉성]] - 김창섭 역: 대기업 사원. * [[김누리(배우)|김누리]] - 최수지 역: 은행원. ==== 은주 하숙 2기 ==== * [[이정은(1970)|이정은]] - 김민정 역: 호텔리어. * [[김우석(배우)|김우석]] - 배진수 역: 의대 본과 3학년.[* 서우를 만났을 때 "어디서 본 적 있는 거 같은데..."라는 대사를 해서 떡밥이 있는 줄 알았으나 조기 종영의 여파인지 그냥 흐지부지 넘어갔다.] * [[예수정]] - 은수정 역: 피아노 조율사. === 순호 주변 인물 === * [[김보연]] - 문정남 역: 외교관. === 인욱 주변 인물 === * [[이승준(배우)|이승준]] - 최진무 역: 클래식 녹음 엔지니어. === 그외 인물 === * 이정은 * [[홍우진]] - 민준 역: 카페 주인 === 특별출연 === * [[박주현(배우)|박주현]] - 김지수 역(아역 : [[신소현]]) : 하원의 첫사랑.[*스포일러 2화에서 고향 [[노르웨이]]를 방문했다가 폭설에 갇혀 목숨을 잃는다.] * [[장혜진(배우)|장혜진]] - 서우의 엄마 역 * [[명세빈]] - 하원의 엄마 역 == [[반의반/OST|OS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반의반/OST)] == 시청률 및 평가 == * [[닐슨]] 시청률 기준. * '''{{{#blue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 '''{{{#red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
'''회차''' || '''방영일''' || '''전국''' || '''수도권''' || || {{{#fff '''1회'''}}} || 2020.03.23 || '''{{{#red 2.449%}}}'''[br],,(=),, || '''{{{#red 2.762%}}}'''[br],,(=),, || || {{{#fff '''2회'''}}} || 2020.03.24 || 2.122%[br],,({{{#blue ▼}}} 0.327%),, || 2.432%[br],,({{{#blue ▼}}} 0.33%),, || || {{{#fff '''3회'''}}} || 2020.03.30 || 1.539%[br],,({{{#blue ▼}}} 0.583%),, || 1.875%[br],,({{{#blue ▼}}} 0.557%),, || || {{{#fff '''4회'''}}} || 2020.03.31 || 1.272%[br],,({{{#blue ▼}}} 0.094%),, || -% || || {{{#fff '''5회'''}}} || 2020.04.06 || 1.451%[br],,({{{#red ▲}}} 0.179%),, || -% || || {{{#fff '''6회'''}}} || 2020.04.07 || 1.178%[br],,({{{#blue ▼}}} 0.273%),, || -% || || {{{#fff '''7회'''}}} || 2020.04.13 || 1.197%[br],,({{{#red ▲}}} 0.019%),, || -% || || {{{#fff '''8회'''}}} || 2020.04.14 || 1.122%[br],,({{{#blue ▼}}} 0.072%),, || -% || || {{{#fff '''9회'''}}} || 2020.04.20 || 1.150%[br],,({{{#red ▲}}} 0.028%),, || -% || || {{{#fff '''10회'''}}} || 2020.04.21 || 1.114%[br],,({{{#blue ▼}}} 0.036%),, || -% || || {{{#fff '''11회'''}}} || 2020.04.27 || '''{{{#blue 1.050%}}}'''[br],,({{{#blue ▼}}} 0.064%),, || -% || || {{{#fff '''12회'''}}} || 2020.04.28 || 1.214%[br],,({{{#red ▲}}} 0.164%),, || -% || ||<-2> '''{{{#fff 평균 시청률}}}''' || '''{{{#000000 1.404%}}}''' || '''{{{#000000 -%}}}'''[* 3화 분량까지의 평균 시청률은 2.356%이다.] || ||<-4>{{{-1 ※ [[닐슨미디어코리아|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br]{{{-1 ※ '''[범례]''' '''{{{#blue 최저 시청률}}}''' ・ '''{{{#red 최고 시청률}}}'''}}}|| * 시간대를 옮긴 것을 감안하더라도 [[방법(드라마)|전작]]에 최종 시청률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치로 스타트를 끊었다.[* 마냥 시간대 탓만 하기도 애매한것이 [[블랙독]]은 동시간대에 [[낭만닥터 김사부 2|엄청난 경쟁작]]이 있는 상황에다가 tvn 최초로 지상파와 동시간대 경쟁하는 안 좋은 상황에도 선전했고, [[방법(드라마)|방법]] 역시 경쟁작이 종영한 후부터 괜찮은 성적을 보였기 때문에 그냥 작품이 안 좋았던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3회만에 1%대까지 떨어지더니 이후에도 하락세를 계속 보이고 있어 0%대가 언제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수준이다. 결국 '[[어바웃 타임(드라마)|어바웃 타임]]'이 기록했던 0.887% 이후 2년 만에 tvN 월화드라마 최저 수치를 기록했다. 6회 방영분의 전국 시청률은 1.178%으로 [[방법(드라마)|전작]]의 평균 시청률이 4%대 였다는 점을 떠올리면 시청률이 결국 제목 따라서''' '반의반''''을 기록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지나치게 난해하고 개연성이 떨어지는 전개로 내용의 이해가 안 간다는 평이 많다. 회를 거듭할 수록 악평을 받고 있다. 또한 [[슬기로운 의사생활]], [[하이바이 마마]]와 달리 재방송 편성도 거의 없어 신규 시청자들의 유입이 쉽지 않다는 것도 불리한 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 16부작에서 12부작으로 조기종영하는 사태까지 맞이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CJ ENM은 "속도감 있는 전개를 위한 선택"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속도감 있는 빠른 손절~~ ~~반의반만큼의 회차가 줄었다~~ * 해외판매조차 하지 못한 것이 조기종영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물론 가장 큰 이유는 처참한 시청률로 인한 광고 판매 부진이지만, 이 드라마와 비슷하게 낮은 시청률을 기록한 망한 드라마들도 자세히 까보면 해외판매로 2차 수익이라도 제대로 나와[* 특히 주연배우 중 해외 인기가 높은 배우나 아이돌이 있을 경우는 십중팔구 이쪽 루트를 탄다.] 의외로 큰 적자를 보지는 않은 경우가 대부분인데[* 사실 수익 문제를 떠나 계약 문제 때문에 함부로 조기종영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쪽은 그런 것조차 없으니 가차없이 조기종영 선고를 받은 것.[* 넷플릭스에서 구매해서, 적자비용 보전 받는게 일반적이지만 이 드라마는 전혀 그런게 없었다.] * 드라마 종영이후 처음부터 시청했던 시청자들에게 양 극단에 갈리는 평가를 받고있다. 초반 난해한 소재와 공백이 너무 많은 편집으로 극이해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뒷 회차로 접어들며 생략될 수밖에 없던 앞 회차의 공백이 자연스럽게 메꿔지자, 이제야 이숙연 작가 특유의 감성적인 대사들이 와닿아 힐링을 주는 따뜻한 드라마였다는 극호의 평가를 내리는 쪽과, 여전히 괴랄스러운 개연성없는 작품이라는 극불호 쪽의 평으로 갈리고 있다. * 짝사랑이라는 단순한 소재를 지나치게 꼬아 풀어낸 점이 초반 시청자들을 붙잡지 못하며 끝내 조기종영으로 이끄는 악수를 만들었다. 트라우마를 가진 두 주인공이 함께하며 극복해내가는 과정은 매우 아름답게 그려졌지만, 그 속도감이 너무 느린 탓에 빠른 진행을 보여주는 현재 드라마들의 트렌드와 거리가 멀었던 점 또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작가의 메시지를 이해하는 쪽에겐 인간의 자존감과 행복에 대해 생각해보는 나름대로의 의미를 갖게된 뜻깊은 드라마. * 아무리 조기종영이라 서사가 없었대도 트라우마를 너무 꼬아놨다. 강인욱과 하원의 과거를 중심으로 한 가장 오래된 중심적인 갈등과 트라우마가 극복되고 있는데, 거기서 갑자기 서우의 트라우마로 하원과 서우가 갑자기 멀어진다. 그리고 중심이 되는 네 등장인물이 지나치게 서로의 사생활에 간섭하는 것도 몰입을 방해한다. 트라우마를 한 번에 극복하긴 어려우므로 반복되는 장면에 힘들어하는 모습 역시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 == 여담 == * 전작까지는 9시 30분에 방영되었지만 [[블랙독]]이 방영중이었을 때부터 [[SBS]]가 월화드라마 시간대를 9시 40분으로 갑작스레 편성시간을 변경하여 반의반부터 [[tvN]] 월화드라마의 시간대가 다시 9시로 바뀌었다. * 채수빈의 첫 tvN 출연작이다. == 역대 편성표 == [include(틀:tvN 월화 드라마(2016~2020))] [각주] [[분류:tvN 월화 드라마]][[분류:2020년 드라마]][[분류:2020년 종영]][[분류:로맨스 드라마]][[분류:12부작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