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자리수석비서관)] ---- || {{{#ffffff '''반장식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대한민국 정부|[[파일:기획예산처 MI_상하.svg|width=3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기획예산처|{{{#043762 '''기획예산처'''}}}]] [[차관|{{{#043762 '''차관'''}}}]]}}} || ||<-3> [[참여정부|{{{#000 '''참여정부'''}}}]] ||<-2> [[이명박 정부|{{{#ffffff '''이명박 정부'''}}}]] || || 6대[br][[정해방]] || → || '''7대[br]반장식''' || → || ''개편''[*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가 통합하여 [[기획재정부]]가 출범하였다. 후임은 기획재정부 제2차관 [[배국환]]] || ---- [include(틀:역대 한국조폐공사 사장)] ---- }}} || ---- ||<-2> '''문재인 정부 초대 일자리수석비서관[br]{{{+1 반장식}}}[br]潘長植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7070328900001300_P2.jpg|width=100%]]}}} || ||<|2> '''출생''' ||[[1956년]] [[6월 2일]] ([age(1956-06-02)]세) ||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이안면 문창리[* [[반(성씨)|거제 반씨]] 집성촌이다. [[이목희]] 전 국회의원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본관''' ||[[반(성씨)|거제 반씨]] || || '''학력''' ||[[덕수상업고등학교]] {{{-2 (졸업)}}}[br][[서경대학교|국제대학교 법과대학]][* 서경대학교] {{{-2 ([[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66355|우리나라 金融機關의 民營化에 關한 硏究 : 市中銀行을 中心으로]](우리나라 금융기관의 민영화에 관한 연구 : 시중은행을 중심으로).])}}}[br][[위스콘신 대학교|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2 ([[행정학|공공정책학]] / [[석사]])}}}[br][[고려대학교 대학원]] {{{-2 ([[행정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8957325|韓國의 財政健全性 決定要因에 관한 硏究 : 豫算過程의 集中化 및 意思決定시스템이 財政健全性에 미치는 影響을 中心으로]](한국의 재정건전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예산과정의 집중화 및 의사결정시스템이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 '''약력''' ||제21회 행정고시 합격[br]기획예산처 예산총괄심의관[br]기획예산처 재정운용실장[br]기획예산처 차관[br]서강대학교 서강미래기술원장[br]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br][[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비서관]][br]서강대학교 서강미래기술원 교수[br]제24대 [[한국조폐공사]] 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무직공무원, 대학교수. 본관은 [[반(성씨)|거제]](巨濟). 2017년 7월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수석에 임명되었으나, 2018년 6월 부진한 고용 상황으로 인해 물러났다. == 생애 == 1956년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현 [[상주시]]) 이안면 문창리에서 태어났다. [[덕수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외환은행]]에 입사했다. 이후 은행에 다니며 [[서경대학교|국제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한 뒤 1977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똑같은 덕수상고-은행-국제대(야간)-행시-경제관료 테크를 탔다.[* 나이로는 김동연 쪽이 1살 어리며, 행시 기수는 김동연이 5기수 아래.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반장식과 김동연의 차관 임명년도도 5년 차이가 난다.] 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위스콘신 대학교|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에서 공공정책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에는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공직에 입문한 뒤에는 예산 분야를 주로 맡았으며 최종적으로 기획예산처 차관까지 지냈다. 2017년 7월, [[문재인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비서관]]에 임명되었다. 청와대 측은 "유능하다고 정평이 나있는 경제 관료 출신"이라고 소개했다. "재정 분야의 전문성과 뛰어난 정책 조정 능력, 학계에서 연구 활동을 통해 쌓은 이론적 식견을 토대로 새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차질 없이 이끌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며 인선 배경을 밝혔다. 한국경제신문이 경제전문가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청와대 경제팀 10명 중 가장 일 못하는 사람으로 꼽혔다. 악화된 고용 상황으로 인해 일자리와 고용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하위권에 이름을 올렸다는 게 주요한 특징이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50770991|#]] 2018년 6월 일자리수석직에서 물러났다. [[분류:1956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일자리수석비서관]][[분류:기획예산처 차관]][[분류:거제 반씨]][[분류:덕수고등학교 출신]][[분류:서경대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21회]][[분류:서강대학교 재직]][[분류:한국조폐공사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