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 여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1942년 출생]][[분류:1964년 데뷔]][[분류:청도군 출신 인물]][[분류:거제 반씨]][[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KBS 연기대상 수상자]] || {{{#!wiki style="margin: -5px -12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 '''반효정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S 공채 탤런트)] ---- || {{{#!wiki style="margin: -5px -12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 '''반효정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60]]]] '''[[KBS 연기대상|{{{#2449A4,#5B7FDA 연기대상}}}]] [[틀:KBS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2449A4,#5B7FDA 대상}}}]]'''}}} || || [[임동진]][br](1987년) || {{{+1 →}}} || '''반효정[br](1988년)''' || {{{+1 →}}} || [[고두심]][br](1989년) || ---- ||<-5> {{{+1 [[한국방송대상|[[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width=40]]]] '''[[한국방송대상|{{{#FFFFFF 한국방송대상}}}]]'''}}} || ||<-5> '''{{{#fff {{{+1 탤런트상}}}}}}''' || || [[유인촌]][br][[한혜숙]][br](1987년) || {{{+1 →}}} || [[이영후]][br]'''반효정'''[br]'''(1988년)''' || {{{+1 →}}} || [[이정길]][br][[김혜자]][br](1989년) || ---- }}} || }}} || ||<-2> '''{{{+1 반효정}}}[br]潘曉靜 | Ban Hyoj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녀의 게임_마현덕.jpg|width=100%]]}}}|| || '''본명''' ||반만희 (潘滿姬[*훈음 찰 __만__ 여자 __희__], Ban Manhee) || ||<|2> '''출생''' ||[[1942년]] [[11월 27일]] ([age(1942-11-27)]세)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청도)|이서면]][* 2013년 5월 1일 청도군 홍보대사에 위촉된 바 있다.[[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30506.010290707440001|#]]]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반(성씨)|거제 반씨]] (巨濟 潘氏) || || '''학력''' ||[[풍문고등학교|풍문여자고등학교]] {{{-2 (졸업)}}}[br] [[서울예술대학교|한국연극아카데미]] {{{-2 (연기과 / 중퇴)}}}[br][[이화여자대학교/학부/음악대학|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2 (무용과 / 학사)}}} || || '''종교''' ||[[개신교]]([[예장통합]])[* [[온누리교회]] ([[예장통합]]) 신자] || || '''가족''' ||아버지, 어머니, 슬하 2남 1녀 || || '''데뷔''' ||[[1964년]] [[한국방송공사|KBS]] 4기 공채 [[탤런트]][br]{{{-2 (데뷔일로부터 '''[dday(1964-01-01)]일, [age(1964-01-01)]주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KBS]] 공채 4기 탤런트로 연예계에 입문하였다.[* 동기생으로 [[이일웅]], [[김진해]], [[장욱제]] 등이 있다.] == 활동 == [[사극]]에서는 대왕대비나 사대부 집안의 마님으로 주로 나오는데, 특이한 기록으로는 '''고려 태조 [[왕건]]의 부인을 2번이나 했다는 것'''이다. [[제국의 아침]]에서 왕건의 2비인 [[장화왕후 오씨]] 역할을,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에서는 4비인 [[신정왕후 황보씨]] 역할을 맡았다. 여배우 중에서도 손꼽히는 [[카리스마]] 계열 [[배우]]이다. 그 나이대 여성 배우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엄마]]나 [[할머니]] 또는 [[시어머니]]로 제한적이었는데, 여성의 사회 활동이 드물었던 1980년대부터 이미 커리어우먼이나 당찬 여장부 스타일 역을 많이 맡았다. 그래서 현대극에서는 그 세대에 매우 드문 여자 [[회장]]이나 [[사장]]으로 많이 출연했고, 사극에서도 왕실 여인(왕비나 대비) 또는 양반 가문의 마님 등 주로 신분 높은 사람으로 등장한다. 1980년대~1990년대에는 대하드라마 [[토지(1987년 드라마)|토지]]의 윤씨 부인[* 주인공 서희의 할머니.]이나 사극 [[장녹수]]의 인수대비로 유명했고, 2009년에는 [[찬란한 유산]]의 장숙자 회장 역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이런 여장부스러움을 비튼 주책스런 역할도 심심치 않게 맡는다. 기본적으로 [[시어머니]] 연기로 정평이 나 있다. 근데 대놓고 악독한 시어머니 배역을 맡는 [[박원숙]]ㆍ[[서권순]] 류의 시어머니 연기하고는 약간 다른 느낌이다. 극 중 분명 [[악역]]은 아닌데 뭔가 시어머니 배역이 사람들에게 눈총을 받기 쉬운 캐릭터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별명조차 '''반[[어그로|그로]]'''가 되었다(...). 다만 1990년대에도 동년배의 여느 배우들처럼 악독한 시어머니 역이나,[* 대표적으로 드라마 [[옥이 이모]].] 데릴사위 구박하는 친정어머니 역[* 드라마 [[은실이]].] 등 드센 어머니 역 위주로 배역을 맡기도 했다. 2000년과 2001년엔 파격적인 이미지 변신을 시도하였는데, 그 작품이 당대 최고의 시트콤 [[세친구]]이다. 의상실 대표이자 [[박상면(배우)|박상면]]의 누나로 나와 코믹연기를 선보였고, 후배 배우 [[최종원]]과 연인 사이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였고, 1980년대처럼 연기의 스팩트럼이 넓어진 적도 있었다. 그러나 워낙 정통 사극에서 걸출하고 극을 장악하는 타입이라 정통 사극의 쇠퇴와 함께 원숙한 노년기에 큰 배역을 맡지는 못하고 전형적이고 평범한 인물들을 주로 연기하는 게 아쉬운 점이다. 최근 들어서는 소위 말하는 [[막장 드라마]] 계통에서 여장부 역을 독점하는 중이다. 반효정과 같이 선 굵은 여장부 연기를 할 만한 후배 연기자가 등장하고 있지 않아서인지 팔순이 지난 2020년대에도 소처럼 일한다는 표현이 딱일 정도로 캐스팅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드라마에서는 선배 [[박근형]], 동년배 [[변희봉]], 후배들인 [[김미숙(배우)|김미숙]], [[이혜숙]] 등과 자주 엮이는 편이다. 특히 박근형과 김미숙과는 사적으로도 친해서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는다고 한다. 연기력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연극이나 영화 출연은 거의 없으며, 드라마 출연에만 집중하고 있다. 노년 배우 중에는 중년층 이상 대상의 기타 프로그램 출연이 잦은 경우가 많지만, 이런 프로그램에도 잘 나오지 않아서인지 사생활 면에서는 남편과 자녀가 있는 것 외에는 알려진 게 거의 없다. 남편의 직업은 극작가로, [[제2공화국]]각본을 맡은 관련 업계 출신이지만, 의외로 그 외에는 알려진 것이 딱히 없다. 그러다가 2022년 12월,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 게스트로 출연하여 오랜만에 드라마 외의 프로그램에 모습을 비췄다. == 주요 출연작 == === 드라마 === * 1981년 KBS1 [[옛날 나 어릴 적에(1981년 드라마)|옛날 나 어릴 적에]] * 1982년 KBS2 [[순애(드라마)|순애]] * 1982년 KBS1 [[지금 평양에선]] - [[북괴]] [[김정일]] 사촌누이 김정숙 * 1983년 MBC [[인간의 문]] * 1983년 KBS1 [[꾸러기합창]] * 1984년 KBS1 [[딸의 미소]] * 1985년 KBS2 [[빛과 그림자(KBS)|빛과 그림자]] * 1985년 KBS1 [[가시고기(KBS)|가시고기]] * 1986년 KBS1 [[멀고 먼 사람들]] - [[조총련]]결탁 기업주, [[재일동포 북송|북송자]] - 어머니 * 1986년 KBS2 [[임이여 임일레라]] * 1987년 KBS1 [[세월(드라마)|세월]] * 1987년 KBS2 [[애정의 조건(1987년 드라마)|애정의 조건]] * 1987년 KBS1 [[이차돈(드라마)|이차돈]] - 이차돈 모 * 1987년 KBS1 [[토지(1987년 드라마)|토지]] - 윤씨 부인 * 1988년 KBS2 [[제7병동]] - 산부인과 과장 * 1990년 KBS2 [[가을에 온 손님]] * 1991년 MBC [[땅(드라마)|땅]] * 1991년 MBC [[산 너머 저쪽]] - 상우 모 * 1992년 SBS [[해빙기의 아침]] - 전 여사 * 1993년 MBC 베스트극장 "거름꽃" - 김씨의 첫째 부인 * 1993년 KBS1 [[당신이 그리워질 때]] - 황 여사 * 1995년 KBS2 [[장녹수(드라마)|장녹수]] - [[인수대비]] * 1996년 KBS1 [[사랑할 때까지]] - 송정신 * 1997년 SBS [[행복은 우리 가슴에]] - 태수 모 * 1997년 KBS2 [[그대 나를 부를 때]] * 1998년 SBS [[바람의 노래]] - 민 여사 * 1998년 SBS [[은실이]] - 강명화 * 2000년 MBC [[세 친구]] - [[박효정]] * 2000년 KBS [[천둥소리]] - 허균 생모 * 2002년 KBS [[당신 옆이 좋아]] - 오말희 * 2002년 SBS [[대박가족]] - 반효정 * 2002년 KBS [[제국의 아침]] - [[장화왕후 오씨]] 왕건의 2비 * 2003년 SBS [[오픈드라마 남과 여]] - 그 남자의 선택 * 2003년 SBS [[오픈드라마 남과 여]] - 조각난 사랑 * 2004년 KBS [[백만송이 장미(드라마)|백만송이 장미]] - 한귀분 * 2005년 KBS [[어여쁜 당신]] - 유영순 * 2005년 SBS [[하늘이시여]] - 모란실 * 2007년 KBS [[산 너머 남촌에는(드라마)|산 너머 남촌에는]] - 한길선 * 2009년 MBC [[인연 만들기]] - 정옥란 * 2009년 KBS [[집으로 가는 길(드라마)|집으로 가는 길]] - 국효순 * 2009년 SBS [[찬란한 유산]] - 장숙자 * 2009년 KBS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 - [[신정왕후 황보씨]] 왕건의 4비 * 2010년 MBC [[글로리아(드라마)|글로리아]] - 이옥경 * 2010년 SBS [[이웃집 웬수]] - 이정순 * 2011년 KBS [[브레인(드라마)|브레인]] - 황영선 * 2011년 KBS [[우리집 여자들]] - 김말남 * 2011년 MBC [[천 번의 입맞춤]] - 차경순 * 2011년 SBS [[호박꽃 순정]] - 장 여사 * 2011년 SBS [[49일]] - 선배 스케줄러 * 2012년 KBS [[내 딸 서영이]] - 법률자문 구하는 할머니 * 2012년 KBS [[별도 달도 따줄게]] - 강필순 * 2012년 SBS [[옥탑방 왕세자]] - 여길남 * 2013년 SBS [[결혼의 여신]] - 이진희 * 2013년 MBC [[금 나와라, 뚝딱!]] - [[김필녀]] * 2013년 KBS [[삼생이]] - 조씨 * 2014년 KBS [[사랑은 노래를 타고]] - 조귀분 * 2014년 MBC [[장미빛 연인들]] - [[마필순]] * 2014년 SBS [[청담동 스캔들]] - 장혜임 * 2015년 KBS [[가족을 지켜라]] - [[차옹심]] * 2015년 tvN [[두번째 스무살]] - 서운해 * 2015년 JTBC [[라스트(드라마)|라스트]] - [[라스트(드라마)/등장인물#장군할매|장군할매]] * 2015년 KBS [[오 마이 비너스]] - 이홍임 * 2016년 tvN [[기억(드라마)|기억]] - 김순희 * 2016년 KBS [[별난 가족]] - [[박복해]] * 2016년 MBC [[불어라 미풍아]] - [[불어라 미풍아/등장인물|천귀옥]] * 2016년 MBC [[아름다운 당신(MBC)|아름다운 당신]] - 한순희 * 2017년 KBS [[그 여자의 바다]] - 조금례 * 2017년 SBS [[브라보 마이 라이프]] - 박순진 * 2017년 SBS [[사임당, 빛의 일기]] - 대고모 이씨 * 2018년 MBC [[내사랑 치유기]] - 정효실 * 2018년 KBS [[파도야 파도야]] - 홍기전 * 2019년 KBS [[우아한 모녀]] - 조순자 * 2020년 KBS [[누가 뭐래도]] - 진옥황 * 2020년 KBS [[영혼수선공]] - 구원숙 (특별출연) * 2020년 tvN [[하이바이, 마마!]] - [[하이바이, 마마!/등장인물#s-2.6.1|정귀순]] * 2021년 KBS [[오케이 광자매]] - 봉자 집의 가사도우미 (특별출연) * 2021년 KBS [[빨강 구두]] - [[빨강 구두/등장인물|최숙자]] * 2022년 KBS [[현재는 아름다워]] - 윤정자 * 2022년 JTBC [[디 엠파이어: 법의 제국]] - 함숙자 * 2022년 MBC [[마녀의 게임]] - [[마현덕]][* 여타 일일드라마에서 맡아왔던 다른 캐릭터들과 달리 본 작에서는 드물게도 무려 주연에 해당된다.] * 2023년 ENA [[남남(드라마)|남남]] - 박진홍 母 * 2023년 MBC [[세 번째 결혼]] - 윤보배 * 2023년 MBN [[완벽한 결혼의 정석(드라마)|완벽한 결혼의 정석]] - 이태자 === 영화 === * 1963년 쌀 * 1975년 욕망 * 1977년 너는 달 나는 해 * 1988년 [[연산일기]] - [[정현왕후]] * 2002년 [[몽중인]] - 외할머니(특별 출연) * 2007년 [[오래된 정원(영화)|오래된 정원]] - 윤희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