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최근에 진행된 시즌, rd1=발로란트 2023 챔피언스 로스앤젤레스)] [include(틀:발로란트)] ---- ||<-4> {{{#!wiki style="margin: 15px" [[파일:vct_logo_white.svg|width=100%]]}}} || || '''{{{#FFF 운영주체}}}''' ||<-3>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svg|width=110]]]] || || '''{{{#FFF 컬러}}}''' ||<-3> {{{+5 {{{#FF4654 ■}}} {{{#131313 ■}}} {{{#6DE788 ■}}} {{{#CB4038 ■}}} {{{#6F4ACC ■}}} {{{#F0DB49 ■}}} {{{#EE8031 ■}}}}}} || || '''{{{#FFF 국제 대회}}}''' || [[발로란트 인터내셔널 킥오프|[[파일:vct_KICKOFF.svg|height=45]]]] || [[VALORANT Masters|[[파일:vct_마스터스.svg|height=45]]]] || [[발로란트 챔피언스|[[파일:vct_챔피언스.svg|height=45]]]] || || '''{{{#FFF 국제 리그}}}''' || [[VALORANT Champions Tour EMEA League|[[파일:valorant_emea_league_심볼.png|height=45]]]] || [[VALORANT Champions Tour Americas League|[[파일:valorant_americas_league_심볼.png|height=45]]]] ||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height=45]]]] || || '''{{{#FFF 지역 리그}}}''' ||<-3> '''[[틀:발로란트 e스포츠 지역별 챌린저스|23개 챌린저스 리그]]''' || ||<-4> [[https://valorantesports.com/| [[파일:발로란트-VCT.svg|width=18]]]] [[https://www.youtube.com/c/ValorantEsport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ValorantEspor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8]]]]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alorantesports, 크기=18)] [[https://www.instagram.com/valorantesport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8]]]] || [목차] [clearfix] == 개요 == [[발로란트]]의 [[e스포츠]]인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 2021~2022년에는 라이엇 주관 서킷에서 포인트를 쌓아 국제대회에 진출하고 최종적으로 챔피언스 진출과 우승을 목표로 하는 타 스포츠의 "투어"에 가까운 시스템이었지만, 2023년부터 국제 리그 설립과 프랜차이즈 도입, 제한적 승강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투어보다는 프랜차이즈 리그에 가까운 모습으로 바뀌게 되었다. == 진행 방식 == ||<-6>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0]] '''{{{#white VALORANT Champions Tour}}}''' || || [[파일:vct_EMEA국제리그_white.svg|width=170]] ---- [[파일:vct_아메리카국제리그_white.svg|width=170]] ---- [[파일:vct_태평양국제리그_white.svg|width=170]] ||<|2> → || [[파일:vct_마스터스.svg|width=170]] ||<|2> → || [[파일:발로란트-VCT-LCQ.svg|width=170]] || [[파일:vct_챔피언스.svg|width=170]] || || {{{#fff VCT International League[br]VCT 국제리그}}} || {{{#fff VCT Masters[br]VCT 마스터스}}} || {{{#fff VCT Last Chance Qualifier[br]VCT 최종 선발전}}} || {{{#fff VCT Champions[br]VCT 챔피언스}}} || || [[파일:발로란트-VCT-챌린저스.svg|width=170]] ||<|2> → || [[파일:vct_어센션.svg|width=170]] ||<|2> ||<-2> [[파일:vct_체인저스.svg|width=170]] || || {{{#fff VCT Challengers[br]VCT 챌린저스}}} || {{{#fff VCT Ascension[br]VCT 어센션}}} ||<-2> {{{#fff VCT Game Changers[br]VCT 게임 체인저스}}} || || [[파일:VCT 2024 일정.jpg|width=100%]] || || [[파일:VCT_DL_Article_Challenger_Promotion_Path_2023.jpg|width=100%]] || 1년 동안 총 2개 스플릿이 진행되게 되며, 각 스플릿은 아메리카스(미주),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퍼시픽(아시아 태평양)[* 중국 제외한 아시아 동부 + 오세아니아] 3개의 대륙별 국제 리그와 시즌 중 국제 대회인 [[발로란트 마스터스]]로 이뤄져 있다. 각 국제 리그는 10개의 프렌차이즈 팀들로 이뤄져 있으며, 이후 어센션을 통해 각 대륙별 하부의 국가/지역별 리그인 챌린저스의 非프랜차이즈 팀들이 국제 리그 진출권을 두고 경쟁할 예정이다. 어센션 대회 우승 팀에게는 2년간 국제 리그에의 참가권을 부여하여 시즌별로 국제 리그 규모를 1팀씩 확장, 최종적으로 2027년부터 각 리그별 14개 팀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대륙별 국제 리그 참가 팀들은 스플릿 성적을 바탕으로 마스터즈, 그리고 스플릿 및 마스터즈 종합 성적을 바탕으로 챔피언스 진출권을 두고 경쟁하게 된다. 현행 VCT 체제의 발족 년도인 2023 시즌의 경우 스플릿과 마스터즈가 1회에 그치는 대신 1회성 국제 대회인 VCT 킥오프, 통칭 락//인 상파울루를 개최하고 마스터즈 이후에는 챔피언스를 위한 마지막 선발전인 LCQ가 개최될 예정이다. 국가/지역별 챌린저스의 경우 각 챌린저스별로 대회 구조가 조금씩 다른데, 예를 들어 VCT 2023 챌린저스 스플릿 1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Open Qualifier를 통해서, 또 어떤 지역에서는 초대 및 Open Qualifier를 섞는 등의 차이가 있다. 이전 스플릿 챌린저스 상위권 팀들의 경우 챌린저스 참가권을 유지하게 되며, 이후 2024 시즌 부터는 인게임 아마추어 토너먼트 시스템 상위권 팀들이 챌린저스 하위권 팀들과 승강전을 통해 챌린저스 참가권을 두고 경쟁하게 된다. 즉 이론상으로 전세계 프랜차이즈 30개 팀 이외에도 아마추어 팀이 인-게임 토너먼트-챌린저스-어센션을 거쳐 국제 리그 참가, 이후 마스터즈 및 챔피언즈 참가권을 두고 경쟁하여 챔피언즈를 우승하는 것 또한 가능해진다.[* 즉 한때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CK]]에서 LCK로 승격한 첫 해에 국제대회 8강이라는 엄청난 성적을 거둔 現 디플러스 기아라는 팀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담원 게이밍 같은 팀이 VCT에 등장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메이저 리그들의 프랜차이즈화 이후 LCS와 LEC 등지에서 성적에 연연하지 않는 팀들이 생기고 장기적으로 리그 경쟁력이 약화된 것, 또한 유럽의 ERL과 EM의 높은 인기를 바탕으로 이를 VCT에 피드백 한 구조로 보인다.] 그리고 위의 대회들과 별개로 여성 게이머들을 위한 대회인 게임 체인저스를 운영한다. === 국제 대회 === [include(틀:발로란트 e스포츠 국제 대회)] * [[발로란트 인터네셔널 킥오프]]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 이후 2024 VCT부터 새로 도입되는 킥오프. 이번년도 롤의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으나, 롤의 킥오프는 이벤트 성이 강한 반면, 여기는 일종의 국제 대회이다. 2024 시즌 기준 여기서 상위 2팀은 마스터스에 진출한다. * [[VALORANT Masters]] 2023 시즌 마스터스는 6월에 개최되어 중국 2팀 + 각 국제 리그별 상위 3개 팀 + 락//인 상파울루 우승 지역 EMEA의 추가 시드 1팀으로 총 12개 팀이 경쟁하는 시스템이였다. 하지만 2024 시즌부터는 킥오프 이후 각각 3월과 5월에 개최되며 22년도처럼 2개의 스테이지로 진행된다. * [[발로란트 챔피언스]] 챔피언스는 연말에 개최되어 각 년도 세계 최강의 팀을 가림으로서 시즌의 대미를 장식하게 된다. 첫 챔피언스인 [[발로란트 2021 챔피언스|챔피언스 베를린]]은 12월에 개최되었지만, [[발로란트 2022 챔피언스|챔피언스 이스탄불]]부터는 8월에서 9월에 거쳐 개최되게 되었다. 2023 챔피언스까지는 마스터스 성적 상위 3팀, 지역별 선발전을 통과한 1팀, 마스터스 우승 지역에 주어지는 추가 시드 1팀이 참여하게 된다. 바뀐 2024 시즌부터는 LCQ가 사라지고 킥오프부터 마스터스, 그리고 지역리그의 챔피언십 포인트[* 롤 지역 리그의 챔피언십 포인트 개념과 비슷하다.]를 총합해 포인트가 가장 높은 4팀이 참여하게 된다. === 국제 리그 === [include(틀:발로란트 e스포츠 국제 리그)] * [[VALORANT Champions Tour EMEA League|VCT EMEA 리그]]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을 아우르는 리그로, 베를린의 메세 베를린에 VCT EMEA를 위한 새로운 스튜디오를 짓는 중이라고 한다. * [[VALORANT Champions Tour Americas League|VCT 아메리카스 리그]] 북미와 남미 지역을 아우르는 리그로, 로스앤젤레스의 LCS 스튜디오[* 추후 라이엇 게임즈 아레나로 명칭이 변경될 예정이다.]에서 개최된다.[* LCS가 개최되던 주말 프라임 타임 시간대에서 LCS를 주중으로 미뤄내고 개최하게 되었는데 북미에서 발로란트 인기와 성장세가 상당하단 것을 보여주는 단면.] *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VCT 퍼시픽 리그]] 아시아 대륙 동부 전체와 오세아니아를 아우르는 리그로 서울에서 개최된다. 기존에 한국 VCT 챌린저스가 개최되던 [[상암 아프리카 콜로세움|상암 콜로세움]]에서 개최된다. * [[VALORANT Champions Tour China League|VCT 차이나 리그]] 2024년도부터 신설되는 VCT의 4번째 국제 리그이다. === 챌린저스 === [include(틀:발로란트 e스포츠 지역별 챌린저스)] * [[2023 VALORANT Challengers Ascension]] 챌린저스 리그별 상위팀들은 소속 지역의 어센션에 출전하여 국제 리그 승격을 위해 경쟁하게 된다. 어센션 우승팀은 그 다음 해부터 2년간 소속 지역의 국제 리그에 출전하게 된다. 2023년과 2024년 어센션은 우승팀 단 한 팀만 승격하지만 2025년부터는 지역별 2개 팀이 국제 리그에 올라오게 된다.[* 라이엇 게임즈의 다른 e스포츠인 롤과 비교하자면, 국제 리그의 경우 롤 e스포츠의 LEC, 어센션은 EM과 비슷한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여기서 EM 우승 팀이 LEC 진출권을 부여받는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2023 퍼시픽 어센션의 경우 퍼시픽 지역 소속 10개 챌린저스 리그 스플릿 2의 우승팀들 총 10개 팀이 진출하여 경쟁할 예정이다. 2023 시즌 EMEA 어센션은 7월 중에 개최될 예정이며, 아메리카스와 퍼시픽 어센션 또한 비슷한 시기 개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지역 챌린저스 ==== * 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 라틴아메리카 북부 * 라틴아메리카 남부 * 브라질 * EMEA * 북유럽 * 스페인 * 프랑스 & 베네룩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튀르키예 * 동유럽 * 중동 & 북아프리카 * 이탈리아 * 포르투갈 * 아시아 태평양 * [[VALORANT Challengers Korea|대한민국]] *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 *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2]] * 일본 * 태국 * 베트남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홍콩 & 대만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오세아니아 * 남아시아 === 게임 체인저스 === == 프로게임단 == [include(틀:발로란트 프로게임단)] === 국제 리그 === [include(틀:VCT 퍼시픽 리그 참가팀)] [include(틀:VCT 아메리카스 리그 참가팀)] [include(틀:VCT EMEA 리그 참가팀)] [include(틀:VCT China 리그 참가팀)] === 지역 챌린저스 === === 게임 체인저스 === == 개편 이전 == 국제 리그 설립 및 프렌차이즈화 이전 VCT는 지역별 챌린저스-마스터즈-챔피언스의 구조를 띄고 있었으며, 2021 시즌 VCT의 경우 3개 스테이지, 2022 시즌은 2개 스테이지로 각각 3개 챌린저스와 마스터즈, 그리고 2개 챌린저스와 마스터즈가 개최되었다. 2022 시즌 VCT의 경우 스테이지 1은 2-4월, 스테이지 2는 5-7월에 개최되었으며, 8월에서 9월에 걸친 챔피언스로 마무리지었다. 당시 북미,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한국, 일본, APAC(아시아-태평양), 브라질, LATAM(라틴 아메리카) 7개 지역에서 VCT 챌린저스가 개최되었으며, 당해 VCT 참여 팀들은 서킷 포인트를 모아서 이를 바탕으로 챔피언스에 직행하거나 최종 선발전을 거쳐서 챔피언스에 출전하였다. 즉 여타 프로 스포츠 중 투어/서킷 구조를 갖추고 있는 스포츠들과 비슷한 구조에 가까웠다. 본래 이 챌린저스-마스터스-챔피언스와 연간 두 개 스테이지의 구조가 계속 유지될 예정이었지만, 2023년부터 프랜차이즈 제도를 도입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와 비슷한 구조로 성격이 바뀌었다. ===# 2021 VCT #=== * 발로란트 챌린저스 참여 지역 * 아시아태평양 * [[2021년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코리아|VALORANT Champions Tour Korea]] * VALORANT Champions Tour [[일본|Japan]] * VALORANT Champions Tour [[아시아 태평양|APAC]] * [[필리핀|Philippines]] * [[베트남|Vietnam]] * [[말레이시아|Malaysia]] & [[싱가포르|Singapore]] * [[홍콩|Hong Kong]] & [[대만|Taiwan]] * [[태국|Thailand]] * [[인도네시아|Indonesia]] * VALORANT Conquerors Championship([[남아시아]]) * 유럽·중동·아프리카 (EMEA) * VALORANT Champions Tour [[유럽|Europe]] * VALORANT Champions Tour [[터키|Turkey]] * VALORANT Champions Tour [[독립국가연합|CIS]] * 아메리카 * VALORANT Champions Tour [[북미|North America]] * VALORANT Champions Tour [[브라질|Brazil]] * VALORANT Champions Tour [[라틴 아메리카|LATAM]] * Last Chance for Champions * EMEA * Strike [[아랍|Arabia]] Championship * 아시아태평양 * ~~[[중국|China]]~~: 시드권 소거[* Technical issue] * 아메리카(NA) * ~~[[오세아니아|Oceania]]~~: 시드권 소거[* VISA issue] * 발로란트 마스터스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1 Masters]] * North America, Europe, CIS, Turkey, Korea, Japan, Southeast Asia, Brazil, Latin America, Latin America(North)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Reykjavík]] - [[레이캬비크]]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3 Masters Berlin]] - [[베를린]] * 발로란트 LCQ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APAC Last Chance Qualifier]]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EMEA Last Chance Qualifier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North America Last Chance Qualifier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South America Last Chance Qualifier * 발로란트 챔피언스 * [[VALORANT Champions 2021]] - [[베를린]] ===# 2022 VCT #=== * 발로란트 챌린저스 참여 지역 * 아시아태평양 * [[2022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VALORANT Champions Tour Korea]] * VALORANT Champions Tour [[일본|Japan]] * VALORANT Champions Tour [[아시아 태평양|APAC]] * [[필리핀|Philippines]] * [[베트남|Vietnam]] * [[말레이시아|Malaysia]] & [[싱가포르|Singapore]] * [[홍콩|Hong Kong]] & [[대만|Taiwan]] * [[태국|Thailand]] * [[인도네시아|Indonesia]] * VALORANT Conquerors Championship([[남아시아]]) * VALORANT Oceania Tour([[오세아니아]]) * 유럽·중동·아프리카 (EMEA) * VALORANT Champions Tour [[유럽|Europe]] * VALORANT Champions Tour [[터키|Turkey]] * VALORANT Champions Tour [[독립국가연합|CIS]] * VALORANT Champions Tour EMEA Challengers Promotion * VALORANT Regional Leagues [[스페인|Spain]] * VALORANT Regional Leagues [[프랑스|Francen]] * VALORANT Regional Leagues [[북유럽|Northern Europe]]([[북유럽 협의회]], [[영국]], [[아일랜드]]) * VALORANT Regional Leagues East([[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발트 3국]], [[발칸 반도]] 접경 국가, [[이스라엘]]) * VALORANT Regional Leagues [[CIS]] * VALORANT Regional Leagues MENA([[중동]]&[[북아프리카]]) * VALORANT Regional Leagues [[터키|Turkey]] * VALORANT Regional Leagues DACH([[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 아메리카 * VALORANT Champions Tour [[북미|North America]] * VALORANT Champions Tour [[브라질|Brazil]] * VALORANT Champions Tour [[라틴 아메리카|LATAM]] * 발로란트 마스터스 *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1 Masters Reykjavík]] - [[레이캬비크]] *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Copenhagen]] - [[코펜하겐]] * 발로란트 LCQ *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East Asia Last Chance Qualifier]] *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EMEA Last Chance Qualifier *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North America Last Chance Qualifier *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South America Last Chance Qualifier *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APAC Last Chance Qualifier * 발로란트 챔피언스 * [[VALORANT Champions 2022]] - [[이스탄불]] == 역대 우승팀 == [include(틀:발로란트 챔피언스 역대 우승팀 목록)] [include(틀:VALORANT Masters 역대 우승팀)] == 기타 == === 출범 당시 전망 ===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HealthyErraticShaggyRegret, 합의사항1=10.1 문단의 제목을 '전망'으로 하고 e스포츠 종목의 규모나 발로란트의 개발 의도에 대해 서술하지 않기)] 공개와 동시에 차세대 [[e스포츠]] 종목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의 스포츠 매체 [[Vox Media|SB Nation]]은 [[https://www.sbnation.com/2020/4/28/21209730/valorant-esports-future-hype-riot-games|2020년 4월 28일 기사]]에서 발로란트가 차세대 e스포츠 종목의 대세가 될 것이라 전망하며,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었다 : * 퍼블리셔 라이엇 게임즈는 이미 [[LoL e스포츠]]를 성공시킨 경험이 있다. * 낮은 사양으로 다양한 경제적 기반의 게이머들에게 접근성이 좋다. * 이미 e스포츠계에서 검증된 CS:GO의 게임플레이 모델을 따왔다. * 미디어 중계 면에서 CS:GO와 차별화되는 장점이 있다.[* 기사에서는 CS:GO는 테러리스트와 반 테러리스트 특수부대가 싸운다는 배경을 가지고 있고 그래픽 스타일이나 피가 튀는 모습도 현실에 가까운 모습이라 (테러로 곤욕을 치른 미국의 정서에서) 미디어 중계가 꺼려지는 면이 있지만, 발로란트는 배경 면에서 그런 부분이 없고 피를 보일지를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래픽도 좀 더 '게임'스러운 모습이라 중계 부담이 덜하다고 주장했다.] 사실 위에서 설명한 CS:GO와 기본적인 게임플레이 뼈대가 비슷하다는 점도 세세히 따져보면 둘이 상당히 다른 게임인 점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당장 CS:GO의 연막탄과 섬광, 그리고 발로란트의 스킬만 봐도 차이가 명확하며, 특히 발로란트의 스킬들은 글로벌 궁극기나 CC기, 이동기 같은 CS:GO에 없지만 게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클러치 플레이가 CS:GO에 비해 자주 나올 수 있다. CS:GO에 질린 소비자층에게 이런 차별점은 확실히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실제 e스포츠 씬의 행보 역시 이러한 전망에 힘을 보태주고 있다. 정식 오픈하는 6월 2일 이전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 기간에 많은 팀들이 발로란트 프로팀을 창단하고 선수를 영입했으며, 적지 않은 타 종목 프로게이머들이 종목 전환을 선언했다. 특히 게임플레이 방식이 비슷한 CS:GO에서의 종목 전환이 많은 편으로, [[MVP PK]][[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36&aid=0000201837|#]]나 [[Absolute JUPITER]]처럼 기존 CS:GO팀 전체가 발로란트로 종목을 전환하는 경우도 보인다. CS:GO 외의 FPS 종목에서도 전향자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에는 [[2019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MVP, [[2019 오버워치 월드컵]] MVP인 [[제이 원]](sinatraa)[[http://www.dailyesports.com/view.php?ud=202005011729138870283f60ce7c_27|#]]이나 [[포트나이트 월드컵]] 준우승자 Psalm[[https://www.espn.com/esports/story/_/id/28998500/fortnite-world-cup-runner-psalm-announces-retirement|#]] 같은 거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라이엇은 4월 16일 공식 홈페이지에 [[https://beta.playvalorant.com/ko-kr/news/dev/valorant-esports-and-community-competition/|발로란트 e스포츠 및 커뮤니티 대회]]라는 제목의 공지를 올려 3가지 핵심 원칙(경쟁의 공정성, 접근성, 진정성)과 [[https://assets.contentstack.io/v3/assets/bltb6530b271fddd0b1/bltef8d84e5c8284c09/5e9748f36d0d9c325b210433/VALORANT_Community_Competition_Guidelines.pdf|커뮤니티 대회 지침]]을 발표했다. 이 중 커뮤니티 대회 지침을 보면 라이엇이 발로란트 e스포츠화에 대해 그리는 청사진을 엿볼 수 있는데 [[리그 오브 레전드]]와는 체계가 사뭇 다르다. 발로란트 대회를 스폰서와 상금 규모에 따라 소규모, 중형급, 메이저 대회로 분류하고 그에 따라 대회 명칭이나 해외 팀 참여에 제약을 두는데, 이 모델은 라이엇이 모든 지역 및 국제 대회를 주최하고 관련 컨텐츠를 제작하며 프랜차이즈화가 적극적으로 진행되어 프랜차이즈 제기성 프로 스포츠 모델과 유사한 리그 오브 레전드[* 블리자드의 오버워치 리그 역시 이러한 기성 스포츠 모델을 채택한 케이스다.]와는 달리 CS:GO 등의 기존 e스포츠 모델과 유사하다. 물론 리그 오브 레전드 역시 초창기에는 타 e스포츠와 비슷하게 다양한 주관사가 주최하는 대회들이 존재했으나 라이엇 게임즈의 정책에 따라 [[Intel Extreme Masters]], IPL 등에서 개최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대회가 중지되고 그 이후로도 오랜 변화 끝에 현재의 리그 모델을 갖추게 되었으므로, 장기적인 발로란트 e스포츠의 형태는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구축되는지를 두고 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1년에 들어서며 라이엇의 발로란트 e스포츠 청사진이 매우 명확해졌는데, 아무래도 2020년 4월 공개되었던 CS:GO e스포츠와 비슷한 형태의 커뮤니티 대회 지침은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발로란트의 흥행이 상당히 빨리 현실화된 것이 그 이유일 것으로 보인다.] 리그 오브 레전드 같이 발로란트의 뼈대가 되는 대회들은 라이엇이 주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VCT가 개최된다. 요약하면 CS:GO보다는 리그 오브 레전드에 가까운 형태를 갖췄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한 시즌 스플릿이 2개가 아닌 3개고, MSI급 대회 역시 1개가 아닌 3개라는 점은 분명히 다르다. 이러한 시즌 형태를 고려했을 때 설사 2020년 4월의 커뮤니티 대회 지침이 유지되어 라이엇이 다른 대회 운영사에 라이센스를 제공하여 메이저급 대회를 개최하는 것을 허락한다고 하더라도 CS:GO처럼 연중 ESL, 드림핵, 스타래더 등의 개별 단체에서 개최하는 주요 대회가 개최되는 것은 불가능하여 극히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첫 번째 대규모 국제 LAN 경기인 [[2021 VCT Stage 2 Masters Reykjavík]]가 개최되었고, 트위치에서 매 경기마다 60만 명 이상의 시청자를 끌어모으면서 성공적인 국제 e스포츠 무대 데뷔를 보여주고 있다. 결승전이었던 Sentinels vs Fnatic전은 무려 100만 명 이상의 시청자를 동원하면서 발로란트의 차세대 e스포츠로서의 위력을 다시 한 번 실감시켜 주었다. 이 때까지는 오버워치 초창기와 같은 폭발적인 성장세로 엄청난 기대를 받고 있었다. 적어도 이 때까지는. CS:GO의 다양하고 많이 열리는 대회 시스템에 비교하면서 그로 인해 기대치가 낮아진다는 의견이 소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것이 탄탄한 카스 시리즈 자체의 브랜드 파워의 근원이 되고 있다. 오히려 한 대회가 끝나고 또 다른 대회가 연이어 시작되니, 최고의 선수들이 펼치는 대회를 계속 볼수 있어서 시청자 입장에서는 즐길 컨텐츠가 더 많아 지고 대회에서도 슈퍼플레이와 클러치가 나와서 오히려 매 대회마다 Hype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국제대회가 적다는 것이 발로란트 e스포츠에 긍정적인 면을 가져다 주기는 커녕, 가파르던 성장세가 둔화된 것이다. 초기 쭉쭉 뻗어나가야할 중요한 시기의 2년차인 2022년 뚜렷한 정체 상태가 확인되었으며, 2023년 기준 1년에 치러지는 대회가 오히려 줄어들었고 대회 상금 규모도 줄어들어 선수들은 다음 대회가 열릴 때까지 몇 개월 씩이나 기다려야 한다. 또, 대회의 MVP를 차지했던 선수나 최고의 성적을 낸 선수가 바로 다음 대회에 출전하지 못하니, 몇 개월 뒤 다시 대회가 열려서 낸 성적은 처참하기 그지없다.예를 들어 2022년 준우승자로 GOAT 후보로까지 거론되던 yay, 당시 MVP를 차지했던 pANcada 두 명 모두 2023년 성적 또한 처참하고 yay는 심지어 월급까지 반납했다. 또한, 대회의 라이엇 독점으로 써드파티 대회가 제한되었는데, 이 또한 선수들과 시청자들에게 아무런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조건만 맞으면 열 수는 있다고 하나 말이 제한이지 라이선스 이용료, VCT 경기 기간, 스트리밍 규정 등 대회를 열면 완벽한 돈낭비 밖에 안되는 환경을 조성해서 사실상 다 쫓아냈다.] 월드컵, 유로, 챔피언스리그 등 기성 운동 스포츠처럼 훌륭한 팀과 선수들의 플레이를 자주 보고 싶은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인데, 그것들을 금지해놓았고 스킬/캐릭터 위주 기반 게임 특성 상 슈퍼 플레이와 클러치가 적다보니 Hype도 CS:GO보다 한참 모자르다. 프로 선수들의 입장에서도 상금을 벌어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프로 선수들의 입장은 전혀 다르다. CS:GO와 발로란트를 비교할 시 CS:GO는 가장 중요한 대회인 메이저를 기준으로 상금의 규모가 100만 달러로, 이는 한화로 11억 가량이며 다음과 같이 분배된다. 1위 - 50만 달러 2위 - 25만 달러 3위 - 12만 달러 4위 - 5만 달러 CS:GO의 경우 위에서도 설명했듯 한 해에 위와 같은 상금 규모의 대회가 3개 이상 열리며, 그 이하의 대회 또한 상당히 많이 개최된다. FPS 장르에서 월드컵과 같은 대회가 많이 개최된다는 것은 선수들에게는 생계 유지 보장과 지속성이라는 관점에서 충분히 매력적이다. 그렇다보니 CS:GO 프로에서 발로란트로 전향했다가 다시 CS:GO로 회귀하는 선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Team Liquid 소속의 Nitr0는 발로란트의 서드 파티 금지, 라이엇의 독점--공산당--으로 대회에서 한 번 떨어지면 3개월이나 손가락을 빨고 있어야 한다는 현실을 말한 바 있다. CS:GO의 카피 게임 답게 프로 팀&선수들은 굉장히 많은데 그에 반해 대회와 상금 규모가 턱 없이 작기 때문에 어쩌면 당연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비교하면 2023년 2월에 열린 VCT:Lock In의 대회 총 상금이 50만 달러로, CS:GO 메이저 우승팀 상금이 50만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그리 크지 않은 상금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작년과 재작년의 대회와 비교해보면 더 많은 팀이 참가하는데도 총 상금 규모는 되려 감소하여 각 팀이 가져가게 될 상금은 줄기만 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의 영향일까, 2023년 2월 23일에 소식으로 북미의 강호인 The Guard가 스태프의 대규모 해고를 단행했다. 발로란트로 시작한 프로 클럽이자 발로란트 e스포츠를 상징하는 팀 중 하나인 The Guard가 휘청이고 있는데 중소팀은 과연 어떻게 운영이 될 지 의문이다. 2023 Valorant Champions가 Evil Geniuses의 우승으로 끝이 났지만, 발로란트 e스포츠씬의 부정적인 면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우승팀의 멤버들이 연봉삭감 혹은 팀 해체와 같은 수순에 직면해 있다는 소식이 있었다. 연봉을 삭감하고 팀에 계속 남아있거나 다른팀을 찾아야 한다는 선택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다. 매번 발로란트 챔피언스나 큰 대회가 끝난 직후 우승팀이 해체되거나 MVP가 팀을 옮기거나 하는 일이 번번히 이루어 지고 있다.[* 사실 이런 문제들은 롤 판에서도 몇 번 나왔었다. 예를 들면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14년도 롤드컵]]의 우승팀인 [[삼성 갤럭시 화이트]]도 롤드컵 이후 한 달도 채 안되어 팀이 [[리그 오브 레전드 엑소더스#s-4|공중분해가 되었으며]], 바로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작년 롤드컵]]의 우승팀인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도 롤드컵 우승 이후 팀이 [[DRX 2020 스토브리그 팀 공중분해 사건|공중분해]]가 되었다.] 발로란트의 팬보이들은 "이럴거면 프랜차이즈 한 이유가 뭐냐", "우승하고 돈을 벌면 연봉을 삭감해야 한다?" 등 부정적인 여론이 대부분이고 일부 프로 선수들은 대회 성적이 좋지 않아서 일찍 대회를 마치게 되면 몇개월을 기다려야 하는게 너무 지친다고 토로한바 있다.(ScreaM은 최근 대회에서 일찍 탈락하고 "이렇게 빨리 집에 돌아온 적이 없다. 내 미래에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것 같다. 새로운 FPS게임이 나온다는 소식을 들었는데..."라고 반농반진의 트윗을 올린적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발로란트, version=2583)] [[분류: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