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1949년|{{{#fff 1949년}}}]] [[노벨생리의학상|{{{#fff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17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48년 ||<|2> → || 1949년 ||<|2> → || 1950년 || || 파울 헤르만 뮐러[* [[DDT]] 발견] || '''발터 루돌프 헤스''' [br] A.E 모니스[* [[전두엽 절제술]] 고안] || 필립 S. 헨치 [br] 에드워드 켄들[* [[부신]]피질 호르몬과 그 기능 연구] || ||<-2>
'''{{{#white {{{+1 발터 루돌프 헤스}}}[br]Walter Rudolf He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alter Rudolf Hess.png|width=100%]]}}} || ||<|2> {{{#white '''출생'''}}} ||[[1881년]] [[3월 17일]] || ||[[프라우엔펠트]] || ||<|2> {{{#white '''사망'''}}} ||[[1973년]] [[8월 12일]] (향년 92세) || ||[[로카르노]]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크기=22)] || || {{{#white '''분야'''}}} ||[[생리학]] || || {{{#white '''학력'''}}} ||[[취리히 대학교]] [[킬 대학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간의 [[뇌]]를 주로 탐구한 스위스의 생리학자이다. [[간뇌]]의 기능적 활동을 발견한 공로로 A.E 모니스와 같이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루돌프 헤스|이 사람 아니다]]-- == 생애 == 1881년 스위스 프라우엔펠트에서 태어났다. 1899년 [[로잔]]에서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1906년 [[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 그 뒤로 1917년 부터 1951년까지 취리히 대학 생리학 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하였다. 1925년에 [[간뇌]]를 비롯한 여러 [[뇌]]의 부위들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1949년 A.E 모니스와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수상했다. 그 뒤로도 대학에서 계속 근무를 하다가 1973년 [[심부전증]]으로 급사하였다. == 연구 == 연구 초기에는 혈액역학·호흡조절에 관한 연구를 하다가 1920년대에 본격적으로 뇌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1920년대 후반에 개발된 뇌 [[자극]] 기술을 사용했다. 그는 해부학적 관점에서 뇌를 바라보았고 [[전극]][* 보통 0.5V에서 1.5V의 약한 전극이었다.]을 사용하여 뇌를 자극했다. 또한 그는 미세한 [[전극침]]을 만들어서 한정된 부위에 자극을 주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는 특히 간뇌의 [[시상하부]]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했는데 주로 [[고양이]]를 이용한 실험을 했다. 자극하는 지점에 따라 [[흥분]] 상태가 되기도 하고 무관심 상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시상하부의 전방을 자극하면 [[혈압]]과 [[호흡]]이 떨어지고 [[배변]] 반응, [[배고픔]], [[갈증]]이 나타나며 후방을 자극하면 전방을 자극한 것과는 달리 흥분 상태가 되며 방어적인 현상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분류:스위스의 생물학자]][[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취리히 대학교 출신]][[분류: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출신]][[분류:1881년 출생]][[분류:1973년 사망]][[분류:투르가우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