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참게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같은 이름을 가진 캐릭터, rd1=방게(개구리 왕눈이))] ||<-2> '''{{{#fff {{{+1 방게}}}}}}''' || ||<-2> [[파일:helice tridens.jpg|width=100%]] || || [[학명|'''{{{#000,#fff 학명}}}''']] || ''' ''Helice tridens'' ''' (De Haan, 1835)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십각목]](Decapoda) || || '''하목''' ||[[게하목]](Brachyu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참게과(Varu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방게속(''Helice'')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방게'''(''H. tridens'') || ||<-2> '''{{{#fff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방게 || || '''[[일본어]]''' ||アシハラガニ || [목차] [clearfix] == 개요 == 참게과에 속하는 게. == 상세 == 갑각길이 약 30 mm. 갑각은 사각형으로 앞뒤로 굴곡이 져있으며 어두운 [[올리브색]]이다. 갑각의 등면에는 작은 알갱이 모양 돌기들이 포진해있다. 갑각의 양쪽 가장자리에 세 쌍의 톱니가 있고 가운데에 H자 홈이 나있다. 이마는 넓직하고 눈구멍에서 이어지는 얕은 홈이 양쪽으로 나있다. [[각막]]은 둥글고 눈자루에 의해 다소 연장되어 있다. 눈구멍은 두텁고 눈아랫두덕에 알갱이 모양 과립들이 줄을 지어 나있다. 이 과립은 암수에 따라 차이가 나며 암컷의 것이 수가 많고 작다. 집게다리는 좌우가 대칭으로 짧고 둥근 형상이며, 아래는 담황색이고 수컷의 것이 암컷의 것보다 크다. 진흙질 바닥에 굴을 파서 생활하며, 수가 많아서 한 서식지에 수 천마리씩 있는 게 관찰되기도 한다. 갈대잎 등의 부식물을 주식으로 하되 잡식성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가리지 않고 섭식한다. 기회가 되면 자기보다 작은 생물을 사냥하기도 한다. [[한국]]과 [[일본]]의 [[해안]]에 분포하며 하구의 갈대밭이나 [[습지]]에 서식한다. 한국에 서식하는 자매종으로 갈게(''H. tientsinensis'')가 있다. 한자어로 [[螃]](방게 방)자가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낙탕방해(落湯螃蟹)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끓는 물에 떨어진 방게가 당황한다는 뜻인데, 몹시 당황한 모습을 묘사하는 데에 쓰인다. == 이용 == '쌀게'라고도 부르며 [[갯벌]]에서 볼 수 있는 흔한 게 중에서 크기와 맛이 적당하여 식용으로 쓰이며, 제철은 [[봄]]이다. 국물요리에 넣어 재료로 쓰기도 하고 [[튀김]]이나 [[볶음]], [[조림]] 등 다양한 요리방식이 존재한다. [[제주도]]에서는 깅이죽이나 깅이콩조림 등에 방게를 사용한다. [[강원도]]에서는 [[장아찌]]로 만들어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