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자)] [목차] == 개요 == '''방언자'''([[方]][[言]][[字]])는 [[한문]]에는 없으나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을 음 그대로 옮겨적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들을 말한다. 각 지역의 고유 한자라는 면에서 [[한국]]이나 [[일본]]의 [[국자(한자)|국자]], [[베트남]]의 [[쯔놈]]과 비슷하다. == 상세 == 동아시아의 각종 문헌에서 쓰이는 한자들은 대부분 2000여 년 전에 쓰인 [[상고한어|고대 중국어]]에 기반한 [[한문]]에서 유래한 것이다. [[중국]] 역사 중 극초기를 제외하면, 중국에서 글말로 썼던 한문은 역사적으로 중국어 입말인 구어체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미 [[한나라]] 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구어체와 문어체의 차이가 생기기 시작하고, [[수나라]]나 [[당나라]] 대에 이르러는 구체적인 한문 지식이 없으면 둘이 완전히 다른 언어로 보일 정도로 달라지게 된다. 기본적인 어휘와 문법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가령 [[중국어]]로 "가다" 는 [[去]]지만 한문으로는 [[往]] 등을 쓴다. "나는 그것을 먹었다."라는 간단한 문장조차도 중국어는 我吃那个了인데 한문은 吾食之(矣)라 한다. 공식적인 기록은 대부분 한문으로 남아 있지만, 가끔 입말 그대로 옮겨적는 기록도 있는데 이러한 문체를 '[[백화문]]'이라 한다. 백화문을 쓸 때는 입말 그대로 옮기기 위해 기존의 한자를 빌려와 표기하거나 새로이 한자를 만든다. 드넓은 [[중국]]에서는 당연히 서로 크게 이질적인 방언(다른 언어라고도 볼 수 있는)이 쓰였으므로 자연히 특정 지역에서만 쓰이는 한자의 훈/음이나 한자가 생겨나게 된다. 좁게는 후자를, 넓게는 전자와 후자 모두를 방언자라 한다. 오늘날에도 중국의 지명, 혹은 음식 명칭에서 이 방언자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중 잘 알려진 사례로 [[섬서성]]의 향토요리 [[뱡뱡면]]을 칭하는 '국수 이름 뱡' ([[𰻞]]), [[선전시|선전]]의 圳과, [[귀주성]]의 뱡아오를 표기하는데 사용된 '범 세 마리 뱡' ([[𱿗]])과, 역시 같은 귀주성의 치벙차이라는 마을을 표기하는 [[𱤺]]가 있다. 중국어([[표준중국어]])를 배우게 되면 한국에서 한자를 열심히 배웠다 하더라도 생판 처음 보는 한자들을 보게 될 것인데, 이것들은 본래 전통 한문에서 쓰이지 않는 [[북경]] [[관화]]의 방언자가 대부분이다. 물론 백화운동으로 한문을 안 쓰고 북경 관화 [[백화문]]을 표준화해 [[표준어]]로 쓰게 된 지금은 엄밀하게 이를 '방언자'라 하기 어려워졌다. 물론 다른 중국어의 방언들, 예를 들면 [[상해어]]나 [[광동어]]나 [[대만어]], [[객가어]] 등에서도 이런 방언자를 볼 수 있다. 조금 예를 들자면 [[광동어]]에서 보이는 㗎, 乜, 嘢, 喺, 氹, 冇, 嘅, 哋, 嚟, 啲, 𡃁 등이나 [[대만어]]에서 찾아볼 수 있는 埕[* tiânn. 뜰이라는 뜻이다. [[가오슝]]에 鹽埕區(얌땨쿠)가 있는데, 소금 말리는 뜰이 있는 동네란 뜻이다. 표준중국어 발음인 옌청 구라고도 부른다.], 𠕇[* tīng. 단단하다는 뜻이다.], 冇[* 광동어에선 '없다'란 뜻으로 mou5라 읽지만, 대만어에선 '부드럽다'는 뜻으로 phànn라 읽는다.] , 𨑨迌[* tshit-thô. 논다는 뜻이다.] 등이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중국어권은 한문, (20세기부터) 북경 관화를 표준어로 써왔기에 북경 관화를 제외한 다른 사투리의 방언자들은 [[광동어]] 방언자 정도를 제외하면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유니코드]]에 해당 한자가 없는 경우가 많다. 드물게 [[일본어]]에도 존재하는데, 중국어처럼 지명에 많이 존재한다. 일본에는 물론 고유 한자인 [[국자(한자)|국자]]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전국적으로 쓰이는 게 아닌 특정 지역에서만 쓰는 한자가 있었는데 이를 방언자라 한 것이다. ([[류큐어]]를 [[일본어]]의 사투리로 보는 관점을 따른다면) [[오키나와]]에 방언자를 쓴 지명들이 많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분류: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