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코미디언)] [목차] == 소개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1972년]] [[7월 8일]] 생. == 활동 내역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와 [[강남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94년]]부터 [[개그맨]] [[공채]] 시험에 응시, 5수 끝에 [[1998년]] [[7월]], 26세의 [[나이]][* MBC 9기 중에서 최연장자.]로 MBC 9기 개그맨으로 데뷔하였다.[* 당시 9기 개그맨 동기로는 방용화 [[본인]]을 포함해서 [[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 [[고정호]], [[이칠선]], 강우석 5명인데 정성호와 고정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개그를 접은 것으로 보인다.] 350 대 1의 경쟁률을 뚫은 개그맨이지만 별 활약은 없었다. 그러던 중 2001년 후반부 동기 정성호, 고정호와 함께 '''천지인의 명상개그'''로 인기를 얻어 이 셋의 팬카페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이 셋을 소개하는 인터넷 뉴스기사가 작성되기도 한다. 명상개그라서 엄숙하고 조용할 것 같으나 실상은 [[언어유희]]를 이용한 개그. 셋이 명상 전도사처럼 명상에 대해 설명을 하는데 설명은 진지하지만 이 셋이 하는 행동은 진지하지가 않다. 예로 들면 '''무'''를 꺼낸 다음 '''"무턱대고"'''라는 말이 나오자 무를 턱에 댄다던가, '''막무가내'''라는 말이 나오자 채로 무를 갈고(막 무가네?), '''무찔러야겠습니다'''라는 말이 나오자 포크로 무를 찌르는 내용의 개그. [[http://www.ibulgyo.com/news/photo/201104/106_35.jpg|20대 시절의 풋풋했던 그들. 왼쪽부터 정성호, 고정호, 방용화]] 명상개그 이후 이렇다할 히트 코너가 없던 중 2004년 말, 김장렬[* 1995년 MBC 6기로 데뷔. 동기로는 [[정준하]]가 있다.]과 함께 무명 개그맨 둘의 서러움을 다룬 '''올드보이'''로 다시 한 번 히트를 치게 된다. 매번 '''"당신의 한번의 웃음이 우리 개그맨 인생을 살립니다. 올드보이!"'''라는 멘트와 함께 코너가 시작되면 방용화와 김장열은 영화 올드보이의 대사를 패러디하며 자신들의 무명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예로 들면 '''"우리는 이유도 모른 채 10년 동안 방송을 쉬어야만 했다. 오랜만에 방송을 위해 준비하던 우리에게 담당 PD는 의아한 듯 말을 건다. 누구냐 너희들은?"'''. '''"친척네 잔치에 초대를 받았다. 개그맨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필사적으로 사람들을 웃겼다. 이를 본 친척분께서 흡족해하시며 하는 말. 너 개그맨 해도 되겠다.'''"] 이때 방용화와 김장열은 인터넷 뉴스 기사를 통해 소개되는데 방용화는 '''스타를 배출하지 못한 일명 '''우울한 기수 출신이라고 소개된다.[* 그도 그럴 만한 게 정성호는 12년 지나서야 [[개그야]]에서 히트를 쳤고 고정호는 고명환 다음 가는 대선배인데 후배들 받쳐주는 역할을 했으며 이칠선은 강사로 전업, 강우석은 뭘 했는지 기록이 없다.] 이후 [[2005년]]에는 고정호, 조해욱, [[전환규]]와 함께 진정한 짱의 자리를 두고 겨루는 '''내가 짱'''[* 근데 그 짱이 점의 크기 짱이라던가, 바지길이 짱이라던가 쓸데없는 짱의 자리다]을 진행했고 고정호와 함께 형제 갈등을 그린 코너 '''항상 이런 식이야'''[* 진지한 상황에서 노래가 나오면 둘 다 춤을 춘다]를 진행하다가 코미디 하우스 종영. 코미디 하우스 종영 이후에는 [[웃으면 복이 와요]]에 합류했지만 폐지됨 이후로 [[현재]]까지 코미디 프로그램에 나온 적이 없었다. [[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1972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출신]][[분류:강남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