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도지방의 던전)] ||<-4><:> {{{+3 {{{#fff '''방울탑'''}}} }}} [br] {{{#fff スズのとう ''Bell Tower''[* 2세대 북미판에서는 スズ를 [[방울]]이 아니라 [[주석(원소)|주석]]이라 오역하는 바람에 '''Tin''' Tower로 적혀 있었다.]}}}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attachment/Bell_Tower_HGSS.png|width=50%]]}}}{{{#!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HGSS_Bell_Tower-Morning.png|width=100%]]}}} || ||<#99cc33><-4> '''지도 설명''' || ||<-4> ''[[칠색조|전설의 포켓몬]]이 내려앉는다고 전해지는 탑'' || ||<#99cc33><-4> '''위치''' || ||<-4> [[파일:attachment/Johto_Bell_Tower_Map.png]] || ||<#99cc33><-4> '''인접 지역''' || ||<-4> 방울소리좁은길[* 2세대에서는 용량 부족으로 인주시티와 합쳐져 있었기 때문에 해당 맵이 없다.][br][[인주시티]] || ||<#99cc33><-4> '''BGM''' || ||<-4><:>{{{#!HTML}}}|| ||<|2><-2> '''금·은·크리스탈'''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마스다 준이치]] || ||<-4><:>{{{#!HTML}}}|| ||<|2><-2> '''하트골드·소울실버'''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카게야마 쇼타]] || ||<-4><:>{{{#!HTML}}}|| ||<|2><-2> '''하트골드·소울실버[br]{{{-2 (GB플레이어)}}}'''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마스다 준이치]] || [목차] == 개요 == [[불탄탑]]과 같이 [[인주시티]]에 존재하는 두 개의 탑 중 하나. 모티브는 외관은 [[도지]](東寺)의 오중탑(五重塔)에서, 입지 및 지리적 위치, 그리고 특유의 봉황상은 [[긴카쿠지]]에서 가져왔다.[* 봉황상(鳳凰像)은 10엔 주화 및 1만엔 지폐(E호)에 그려진 우지 뵤도인의 봉황당에 있는 것이 가장 유명하지만, 방울탑 건물 자체에서 뵤도인이 모티프가 된 점을 찾기는 어렵다.] [[성도지방]]을 묘사한 일러스트에는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사실상 성도지방 자체의 랜드마크로 HGSS의 성도지방 일러스트에서도 방울탑이 중심으로 묘사되었다. == 상세 == 이쪽은 인주시티에서 꽤나 떨어져 있어서 불에 안 탄 모양이다. 탑 내부에는 [[레트라|꼬렛]]과 [[팬텀(포켓몬스터)|고오스]][* 밤 시간대 한정.]가 나오며, 점프나 워프 패널 등의 미로가 존재한다. 리메이크작에서는 이 탑으로 가는 길과 탑 그래픽 자체가 멋지게 리파인되었다. 바다건너 온갖 npc에 치이다가 도착하면 앞도 안보이는 동굴을 헤매야되는 [[소용돌이섬]]과는 달리, 비전머신도 필요없고 대놓고 마을에 위치해 있어 접근이 매우 편리하다. 허나 정작 내부 던전의 미로가 짜증날 정도로 복잡한데다가, 역대 포켓몬 던전 중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길어서 멘붕할 수 있으니 주의. 인주시티 [[체육관 배지]]를 얻은 다음 들어갈 수 있지만 [[포켓몬스터 금·은|포켓몬스터 금]]이나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하트골드]]에서는 칠색조를 잡으려면 [[라디오타워]]를 구하고 난 뒤 국장이 주는 무지개빛 날개를 받아야 [[칠색조]]를 잡을 수 있다. 다만 하트골드의 경우, 무지개빛 날개만 있어서는 방울탑 끝까지 올라갈 수 있어도 칠색조가 나오지 않는다. 스토리 도중 만나는 전통 무용수와의 배틀을 통해 크리스탈방울을 얻어야 탑을 배경으로 한 영상과 함께 칠색조가 나타난다. 포켓몬스터 은이나 소울실버에서는 관동의 [[회색시티]]까지 진행한 뒤 한 할아버지로부터 무지개빛 날개를 얻어야 한다. 다만 이때는 등장 영상이 없다. [[포켓몬스터 크리스탈 버전]]에서는 라디오타워 점거 이벤트가 끝난 후 국장이 투명방울을 준다. 방울을 소지하고 탑에 들어가려는 찰나 스님들과 배틀을 하고, 승리하고 방울탑에 가면 [[스이쿤]]과 배틀할 수 있다. 스이쿤 이벤트 진행 후, 남은 [[라이코]]랑 [[앤테이]]를 잡고 방울탑에 있는 스님에게 보여주면 무지개빛 날개 획득과 동시에 탑을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열린다.[* 에디터나 치트로 잡거나 교환한 라이코와 앤테이도 상관없다.] 이 때문에 다른 작품들보다 칠색조의 포획 난이도가 매우 높아졌다.[* 이는 크리스탈에서 금/은에선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전설의 개 포켓몬들에 대한 스토리를 비중있게 다뤘기 때문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무인편 시절에는 183화에서 처음 나오고 229화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졌고, [[포켓몬스터 W]] 9화에서 또 등장. == 기타 == [youtube(REbAL-7v3bc)] * 하트골드에서 칠색조 등장 및 포획 이벤트에 상술한 영상이 삽입되어 있는데, 시간대에 따라 주변의 밝기도 바뀐다. 보통 인주시티의 단풍이나 칠색조의 색조와의 조화를 고려해서 저녁 시간대에 이벤트를 볼 것을 추천한다. == 공략 == [[파일:external/blog-imgs-29.fc2.com/20090922170602025.jpg]] [[분류:포켓몬스터/지역/성도지방]]